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2012.03.28 21:19

쏘나레 플러스

조회 수 5722 댓글 2



무귀환 방식의 CR형 포노를 내장하고 무귀환 방식의 라인단으로 구성된 프리앰프 "쏘나레 플러스"입니다.

sd20120328 007.jpg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되었고 오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에이징 겸 하루 종일 음악을 들었습니다.


쏘나레 인테그라의 업그레이드 모델입니다.

sd20120328 004.jpg



2009년 출시된 이후 처음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게 되었습니다.
사용하시는 분들로부터 제기되었던 몇 가지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개선된 내용으로는
1. 전면에서 볼때는 중후한 멋이 느껴지나  후면을 보게되면 허전하여 디자인적인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2. 출력단의 RCA단자를 1개조 더 추가하여 달라는 의견이 다수 있었습니다.

sd20120328 005.jpg


제시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면판을 마련하였고 우드케이스를 다시 설계하여 후면판과 일치하도록 하였습니다.

쏘나레 플러스를 비롯하여 출시되는 모든 프리 앰프의 출력단자를 1조 더 장착하여 사용하시는 분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전원부를 개선하였는데 전원트랜스를 몰딩하여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트랜스 울림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였고 리플 필타회로를 개선하여 조금 더 순도 높은 전원부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쏘나레 플러스는 LP를 즐겨들으시는 분을 위하여 출시된 프리앰프입니다.

특히, 포노단에는 CR형 포노를 사용하여 부귀환형 포노앰프와는 사뭇 다른 음으로 되었는데 고역에서의 상큼한 해상도와 더불어 시원하게 전개되는 음은 CR형 포노앰프의 음질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sd20120328 006.jpg


요즘에는 포노단을 내장한 프리앰프가 귀하다 보니 사용하시는 분은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마란츠 #7 프리앰프가 포노단이 있어 대중적인 인기를 많이 받고 있지만 부귀환형이라 음질적으로는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취향적인 부분도 있지만 대체로 마란츠 프리에 만족하시는 분과 그렇지 않은 분으로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만족하시는 분은 부드러운 고음을 꼽으며 그렇지 않은 분은 고음부의 낮은 해상도를 지적합니다.
이것은 기술적인 문제로 그렇게 느끼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부귀환형 포노앰프의 음질적 단점은 고음 대역으로 갈수록 해상도가 떨어지는데 이것은 고음으로 갈수록 부귀환이 증가하여 과도특성이 떨어지는 것에 기인합니다.

부귀환형에서 등화를 하려면 1KHz를 기준으로 고역으로 갈수록 더 많은 부귀환을 걸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해상도의 저하를 고음이 부드럽다고 느끼시는 분이 가끔 있지만,  해상도가 좋다고 고음이 날카롭게 들린다면, 그기기 역시 정상은 아니라고 봅니다.

전체적으로 유려하면서도 부드럽게 올라가는 고음에서 음악다운 감칠맛이 난다고 생각합니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지만 결코 거칠거나 강조되지 않는 고음,  이런 음이 좋은 음이라는 것은 이미 모든 분이 알고 있는 내용일 것입니다.  


sd20120328 008.jpg



부귀환형 등화회로는 전기적 개선을 동시에 하므로 보여지는 정특성은 수치적으로 향상되지만  음질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는 동특성은 오히려 떨어진다는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부품이나 다른 요인에 의하여 다소 특성이 떨어진다 하여도 부귀환에 의하여 어느 정도 개선이 되어 품질이 유지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부귀환형은 양산형 앰프에 주로 채용되었습니다.

반면,  CR형은 부귀환에 의해 특성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설계초기부터 실장까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양산에 적합하지 않다는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음질적으로는 과도특성이 우수하여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세련된 음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sd20120328 010.jpg



그동안 제작되던 쏘나레 인테그라는 부귀환형 포노부를 내장한 프리앰프를 사용하시는 분의 음질적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발표되었으며,  이제는 "쏘나레 플러스"로 모델명이 바뀌었습니다.

쏘나레 플러스는 모델명에서 연상할 수 있듯이 라인단 이후는 쏘나레 콘솔릿과 회로 구성이 똑같습니다.
쏘나레 콘솔릿의 라인단에 CR형 포노앰프를 실장한 모델이 쏘나레 플러스입니다.


sd20120328 011.jpg


특히, 포노단을 특화하였는데 카트리지의 로드 임피던스를 설정할 수 있는 로드 저항 셀렉타를 실장하였고 럼블필타와 스크래치필타도 준비하였습니다.

LP 상태가 좋지 않으면 저역 공진 현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것이 럼블필타입니다.
30Hz이하를 컷트하여 저역 공진을 잡아줍니다.

소장한 음반이 잡음이 유난히 심할 때는 스크래치 필타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쏘나레 플러스를 우드케이스에 넣기 전입니다.
sd20120328 001.jpg



쏘나레 플러스의 후면입니다.
sd20120328 012.jpg


좌측으로 포노 MM카트리지를 연결할 수 있는 입력단자가 있으며 그 옆으로 4계통의 언밸런스 입력 단자와 REC단자가 있습니다.

중앙 부근에 두 조의 언밸런스 출력 단자가 있습니다.

후면 사진 몇 장 더 있습니다.
sd20120328 013.jpg



후면 판에는 충분한 통기공을 마련하였습니다.

중앙 하단 부분에는 시리얼 넘버가 각인되어 있습니다.
sd20120328 014.jpg



*. 쏘나레 플러스의 전기적 특성입니다.
1) 이득:
포노부: 180배 (1KHz기준)
라인부: 14배 (0~14배로 연속 가변됨)

2) 주파수 특성  (출력 전압 5V일 때)
고역 상한 주파수: -3dB   35.64KH
 저역 하한 주파수:  -3dB   6Hz

3) 톤 콘트롤 특성:
BASS:
100Hz 기준   MAX 11.5dB    MIN 10.5dB
50Hz  기준    MAX 16dB      MIN 15dB
TLEBLE:
10KHz 기준   MAX 18.5dB    MIN 15.5dB
5KHz  기준   MAX 11dB       MIN 10dB
*. 톤 콘트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디피트스위치를 마련하였습니다.

4) 사용 진공관: 12AX7 * 4개,  12AY7 * 2개,  6CA4 *1개
5) W455  H173  D320    중량: 11.5Kg
6) REC단자 있음
7) 입력 언밸런스 5계통,  출력 언밸런스 2계통

sd20120328 015.jpg


쏘나레 플러스의 음질적 특징은  공간을 가득채우는 배음과 함께 달콤하게 재현되는 음질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쏘나레 플러스에는 출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아우트레벨 조절기가 있습니다.
매칭하는 파워앰프에 가장 이상적으로 결합할 수 있습니다.

레벨 조절기를 가감하여도 출력 임피던스가 변화하지 않도록 버퍼단을 마련하였습니다.

sd20120328 016.jpg



조*근 선생님의 쏘나레 플러스입니다.

29일 이후 언제든지 납품할 수 있습니다.

sd20120328 017.jpg



고맙습니다.  


  1. 197 유피테르 2A3 싱글 파워앰프

    2A3싱글 파워앰프 유피테르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이곳 청주의 무심천 벚꽃은 만개하였다고 합니다만, 저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아 가보지 못하였습니다.... ^^ 잘 만들어진 2A3싱글앰프의 음질은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작은 출력으로 8W 출력의 300B...
    Date2012.04.15 By서병익 Reply2 Views6634 file
    Read More
  2. 196 프리앰프 "쏘나레 플러스"

    포노앰프를 실장한 프리앰프 "쏘나레 플러스"입니다. 10일 오후에 완성되었습니다만, 오늘에야 사진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 에이징을 겸하여 듣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LP를 들으시는 분이 많지는 않겠지만 좋은 음질과 더불어, LP를 듣는 과정을 즐기는 ...
    Date2012.04.12 By서병익 Reply0 Views5858 file
    Read More
  3. 195 DAC "플레누스"입니다.

    아날로그 엔지니어의 시각으로 검토되고 제작된 DAC 플레누스입니다. 토요일 오전에 완성되었으며 지금 에이징 겸 제가 듣고 있습니다. 주말을 이용하여 막내딸한테 다녀오느라 이제야 사진을 올립니다. 작년, 처음 DAC를 출시할 때는 제가 추구하는 논리로 제...
    Date2012.04.09 By서병익 Reply2 Views5763 file
    Read More
  4. 194 EL34 파라 싱글 파워앰프 "칼리스토"

    싱글앰프를 좋아하시는 분을 위하여 제작된 파워앰프입니다. EL34로 5극관 결선으로 하여 싱글앰프를 만든다면 대략 11W 정도를 뽑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칼리스토에서는 음질을 우선하였기에 울트라리니어 모드로 하여 8W + 8W를 출력하도록 하였습니다. 싱...
    Date2012.03.31 By서병익 Reply0 Views19783 file
    Read More
  5. 193 쏘나레 플러스

    무귀환 방식의 CR형 포노를 내장하고 무귀환 방식의 라인단으로 구성된 프리앰프 "쏘나레 플러스"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되었고 오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에이징 겸 하루 종일 음악을 들었습니다. 쏘나레 인테그라의 업그레이드 모델입니다. 2009년...
    Date2012.03.28 By서병익 Reply2 Views5722 file
    Read More
  6. 192 EL34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입니다.

    EL34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입니다. 비올레타는 출력 8W + 8W로 설계, 제작되었습니다. 더 큰 출력을 뽑을 수도 있으나 음질을 우선하여 설계하다 보니 출력은 조금 작아졌습니다. 플레이트손실 87%의 범위에서 울트라리니어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계하였기에 3...
    Date2012.03.23 By서병익 Reply0 Views19590 file
    Read More
  7. 191 KT120 디퍼렌셜 파워앰프 "포르투스 SE"

    KT120 파워앰프 포르투스SE 입니다. 수 일 전 완성되었지만 전면판에 부착하는 명판이 오늘 입고되었습니다. 포르투스 SE는 진공관 앰프에서 느낄 수 있는 유려한 음질을 유지한채 스피커의 구동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제작된 앰프입니다. 유려한 음질을 얻...
    Date2012.03.21 By서병익 Reply0 Views5064 file
    Read More
  8. 190 EL34푸시풀 파워앰프 "쎄레노"의 메탈형 버전입니다.

    쎄레노를 메탈형 버전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이번 쎄레노에 적용된 케이스는 포르투스 스페셜 에디션의 케이스입니다. 전기적인 특성은 똑 같으며 단지 외관만 다르게 제작되었습니다.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쎄레노는 가장 보편적인 진공관을 사용하여 가장...
    Date2012.03.15 By서병익 Reply0 Views19972 file
    Read More
  9. 189 주문에 의해 특별 기능이 추가된 "칸타레 SE"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SE입니다. 요즘 4월에 있을 전시회 준비와 함께 주문받은 제품을 제작하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작년에는 준비된 청음용 기기가 몇 대 없어 찾아주셨던 많은 분들에게 제대로 보여드리지 못했습니다. 지난 해부터 제가 제작하는 모든 제...
    Date2012.03.09 By서병익 Reply0 Views5985 file
    Read More
  10. 188 멀티앰핑 겸용 패시브 2웨이 스피커

    그동안 저의 청음실에서 사용되고 있던 멀티앰핑 전용 스피커를 LC 소자로 구성된 패시브 형태의 2웨이 네트워크를 실장한 멀티앰핑 겸용 스피커로 개선하였습니다. 저의 청음실에는 에어리얼 스피커 모델 6이 있는데 감도가 86dB로 낮고 상당히 하이엔드적인 ...
    Date2012.03.02 By서병익 Reply1 Views6979 file
    Read More
  11. 187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입니다. 수 일전 완성되었으나 완성후에 저의 실수가 발견되어 후면판을 새로 제작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큰 실수는 아니었으므로 사진과 함께 소개해 드릴 수도 있었는데 미처 사진도 못찍고 해체하였답니다. 오늘 새로 제작된 후면...
    Date2012.02.29 By서병익 Reply0 Views6944 file
    Read More
  12. 186 EL34 파라싱글 파워앰프 칼리스토 CALLISTO

    새로운 칼리스토를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칼리스토는 EL34 파라 싱글 파워앰프입니다. 새로운 칼리스토라고 말씀드린 것은 먼저 제작하여 납품하였던 칼리스토와 이름만 같을 뿐 외관과 회로를 다시 구성하여 제작하게 되었기에 그렇습니다. 이번에 제작한 칼...
    Date2012.02.25 By서병익 Reply2 Views20638 file
    Read More
  13. 185 신모델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VIOLETA

    EL34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가 오늘 완성되었습니다. EL34싱글 인티앰프의 출시를 공지사항으로 알린 것은 작년 8월이었습니다. 그 후,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치며 조금이라도 예쁘게 만들고 싶은 마음에 이렇게 늦어졌습니다. 앰프로서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
    Date2012.02.18 By서병익 Reply4 Views20661 file
    Read More
  14. 184 신모델 EL34 푸시풀 파워앰프 SERENO

    EL34 푸시풀 파워앰프 "쎄레노"입니다. EL34를 채용한 파워앰프는 참 많습니다. 가정용으로 적당한 출력을 갖는 EL34를 채용하여 각 제조사 별로 각각의 장점을 갖는 회로를 앞다투어 발표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수많은 종류의 회로 방식이 발전되어 왔다고 생...
    Date2012.02.17 By서병익 Reply0 Views20506 file
    Read More
  15. 183 EL84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SE"

    오늘 완성된 델리카투스 SE입니다. 오래 전 장전축에 흔히 사용되었고 거기에서 축출한 기기로 유통이 되기도 하는 EL84는 음색적으로도 우리 정서에 부합되는 매력적인 진공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외형의 왜소함에서 오는 느낌으로 그리 풍성해 보이지...
    Date2012.02.08 By서병익 Reply3 Views2097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