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2011.10.31 23:10

포노 앰프 'TCR MK2'

조회 수 5762 댓글 0

지난 9월 말 경 동시에 3대를 제작하다 전면 판넬의 입고 지연으로 보류하여 놓았던 TCR MK2입니다.


sd20111102 008.jpg



대부분의 작업은 완료되어 있었기에 메타를 장착하는 일이라든지 전면 판넬쪽으로 가는 배선 일부를 끝내므로서 동작을 하였고 시청실에서 청음하고 있습니다.

전기적 특성을 모두 체크하였고 에이징 중이므로  목요일 이후 납품이 가능합니다.

이번 제품은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호두나무 원목으로 제작된 케이스를 사용하였습니다.

sd20111102 009.jpg



저의 제품은 대를 물려 사용할 수 있도록 고음질로 튼튼하게 제작되고 있지만 우드케이스는 가격상의 문제로 MDF에 월넛 무늬목으로 마감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 우드케이스도 상당히 고급스럽다는 평을 듣고있지만 월넛 원목의 중후한 분위기는 검토해 보실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제기되었던 사항을 수렴하여 옵션으로 마련하였고, 선택하실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오늘 처음 적용되었습니다.

사진상 질감 표현이 안되고 있지만 원목 우드케이스의 존재감은 묵직하고 월넛 원목 특유의 질감에서 오는 품위가 다릅니다.

sd20111102 012.jpg



진공관 포노앰프는 반도체 포노앰프에서 느낄 수 없는 온화하고 부드러운 음색이 특징인데 모든 진공관 포노앰프가 같은 음질이지는 않습니다.

오랜 경험으로 이미 알고 계신 분도 많이 계시지만 처음 접하시는 분도 많으시니 잠깐 말씀드리면 크게 CR형과 부귀환형으로 나뉩니다.

LCR형도 있지만 소자 일부가 바뀌었을 뿐 CR형과 다르지 않습니다.

부귀환형은 부귀환 이론이 발표되고 난 후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니 CR형이 먼저입니다.

CR형은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감쇠특성을 이용하여 등화합니다.
이런 방식의 음은 기본적으로 시원하고 해상도가 좋은 음으로 됩니다.

그 외에 증폭방식에 따라 배음이 풍성해지고 또 온화한 음으로 되기도 합니다.

즉, CR형은 기본적으로는 과도특성이 뛰어난 음으로 되지만 사용되는 증폭방식에 따라 다양한 음으로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부귀환(NFB)형은 부귀환에 의해 등화를 하므로 중역(1KHz)이상에서는 많은 부귀환이 걸리게 됩니다.  

부귀환이 많이 걸린다는 것은 진공관 고유의 고조파가 감쇠된다는 것을 뜻하므로 배음이 줄어들게 되며, 과도특성의 저하로 해상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부귀환형은 양산에 적합하였기에 가장 많이 제작된 방식이기도 합니다.    


각각의 방식도 어떻게 제작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겠지만 제대로 제작할 경우 CR형이 월등한 음질로 됩니다.
다만,  제작방식이나 회로에 따라 변수도 많으므로 어설프게 제작된 CR형은 부귀환형보다 오히려 못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이유로 포노앰프의 고급품은 대부분 CR형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R형 방식을 더욱 발전시킨 회로 방식이 TCR이며 현재 TCR MK2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TCR MK2의 논클립 최대 출력은 53V입니다.
이 수치는 기존 진공관식 포노앰프의 2배 이상입니다.
포노앰프에서 유례가 없는 정도의 출력전압을 확보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포노앰프 자체에서 음이 포화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런 내용이 TCR MK2의 음질이 온화하고 다이내믹하며 부드러운 음색으로 되는 이유가 됩니다.


TCR방식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상품 카데고리 "TCR MK2"를 읽어 보시거나 작업실에서 TCR로 검색하시면 다양한 정보도 같이 얻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술컬럼"게시판 7번 게시물도 읽어보시길 권유합니다.

후면입니다.
sd20111102 010.jpg



3개의 카트리지 입력을 받을 수 있고 그 중 1개는 승압트랜스를 내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출력은 2계통으로 언밸런스출력과 밸런스출력 모두 지원됩니다.



사진상 원목의 질감을 살리려 노력하였으나 고급스럽고 품위있는 질감이 잘 표현되질 않았습니다.

sd20111102 013.jpg



한가지 추가하여 말씀드리면 두께가 12.5mm MDF 무늬목에서 15mm호두나무 원목으로 바뀌었지만 전체적인 높이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고무발의 높이를 줄여 고무발을 포함한 전체적인 높이를 185mm으로 하였습니다.

작은 차이지만 랙의 높이에 따라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기에 이런 조치를 하였습니다.

고맙습니다.

  1. 184 신모델 EL34 푸시풀 파워앰프 SERENO

    EL34 푸시풀 파워앰프 "쎄레노"입니다. EL34를 채용한 파워앰프는 참 많습니다. 가정용으로 적당한 출력을 갖는 EL34를 채용하여 각 제조사 별로 각각의 장점을 갖는 회로를 앞다투어 발표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수많은 종류의 회로 방식이 발전되어 왔다고 생...
    Date2012.02.17 By서병익 Reply0 Views20506 file
    Read More
  2. 183 EL84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SE"

    오늘 완성된 델리카투스 SE입니다. 오래 전 장전축에 흔히 사용되었고 거기에서 축출한 기기로 유통이 되기도 하는 EL84는 음색적으로도 우리 정서에 부합되는 매력적인 진공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외형의 왜소함에서 오는 느낌으로 그리 풍성해 보이지...
    Date2012.02.08 By서병익 Reply3 Views20975 file
    Read More
  3. 182 모노 블록 디퍼렌셜 파워앰프 "포르투스 SE"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포르투스 스페셜 에디션 모델이 완성되었습니다. 어제 한쪽 채널을 완성하고 오늘 나머지 채널을 완성하여 에이징 겸 청음실에서 듣고있습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포르투스의 업그레이드 모델입니다. 구형 버전에서는 6550이 채널당 ...
    Date2012.02.02 By서병익 Reply6 Views6281 file
    Read More
  4. 181 EL84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스페셜 에디션"

    EL84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SE입니다. 그동안 모노블록 파워앰프 포르투스 SE버전을 제작하고 있었으나 입고된 케이스에 하자가 있어 작업이 중단되었습니다. 포르투스 SE의 작업도 상당히 진척이 된 상태였는데 부득이 그시간에 델리카투스 SE를 작업하게 되었...
    Date2012.01.13 By서병익 Reply4 Views21948 file
    Read More
  5. 180 EL34 파라 싱글 파워앰프 "CALLISTO"

    신모델 EL34 파라 싱글 파워앰프 칼리스토입니다. 어제 오후 늦게 완료한 후 오늘 전기적특성을 점검하고 에이징 중에 있습니다. 5극 진공관 EL34는 진공관앰프 역사상 가장 많은 앰프에 탑재된 출력관입니다. 25W의 플레이트 손실을 가지고 있어 가정에서 사...
    Date2011.12.27 By서병익 Reply3 Views20729 file
    Read More
  6. 179 파워앰프 "칼리오페"

    KT120 푸시풀 파워앰프 CALLIOPE입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칼리오페가 어제 완성되어 청음실에서 에이징 겸 듣고 있습니다. 이번에 제작된 칼리오페는 베이스를 장미나무로 하여 더욱 보기 좋습니다. 처음 칼리오페를 제작할 당시 장미목이 품절이라 부득...
    Date2011.12.20 By서병익 Reply5 Views6839 file
    Read More
  7. 178 인티앰프 파소스 MK2

    2A3 디퍼렌셜 인티앰프 파소스 MK2입니다. 칼리오페를 완성 한 후 부지런히 작업하여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파워앰프와 인티앰프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가 보이도록 찍어 보았습니다. 아래 쪽으로 파워 초단 증폭과 드라이브를 담당하고 있는 ECC99가 있으며...
    Date2011.12.08 By서병익 Reply0 Views6143 file
    Read More
  8. 177 신모델 KT120 푸시풀 파워앰프 "CALLIOPE" 칼리오페

    파워앰프 칼리오페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KT120을 채용하여 푸시풀로 구동하는 파워앰프입니다. KT120은 플레이트 손실이 60W로 향상되어 파워앰프로 구성시 6550이나 KT88과 비교시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대출력시 유리합니다. KT88의 플레이트의 면적...
    Date2011.12.01 By서병익 Reply6 Views6847 file
    Read More
  9. 176 쏘나레MK 레퍼렌스 포노앰프

    진공관 포노앰프 쏘나레MK2입니다. 그동안 파소스MK2와 칼리오페, 그리고 쏘나레MK2 포노앰프를 동시에 제작하고 있었습니다. 공교롭게도 중요 부품이 한가지씩 누락되어 벌려놓기만 하였지 완성할 수는 없었습니다. 그러던 차에 나중에 시작하였던 쏘나레MK2 ...
    Date2011.11.28 By서병익 Reply2 Views6776 file
    Read More
  10. 175 파소스 MK2

    파소스 MK2입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파소스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파소스 MK2에서는 파워앰프/ 인티앰프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를 장착하여 앰프의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인티앰프로 사용하다 상황이 변하여 프리앰프와 조합하여 사용하시려면 사진...
    Date2011.11.18 By서병익 Reply3 Views5965 file
    Read More
  11. 174 플로랄 MK2입니다.

    그동안 케이스류의 입고 지연으로 작업이 순조롭지 않았습니다. 그러는 동안에 플로랄 MK2를 진행하여 어느 정도 완성하였고 지난 주 목요일부터 에이징을 겸하여 듣고 있습니다. 원하던 음질의 앰프로 되어 기분도 좋았습니다만, 아직 전면판넬이 미입고 상태...
    Date2011.11.14 By서병익 Reply4 Views5771 file
    Read More
  12. 173 싱글 파워앰프 2A3유피테르 "JUPITER"

    2A3유피테르의 두 번째 작품입니다. 몇 일 전 완성되어 납품된 2A3유피테르와 같이 시작하였으나 제가 실수를 하여 상판 판넬을 다시 제작하느라 조금 늦었습니다. 2A3싱글앰프는 출력이 작아 쉽게 선택받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지만 통상의 감도를 갖는 스피커...
    Date2011.11.05 By서병익 Reply0 Views7279 file
    Read More
  13. 172 2A3싱글 파워앰프 유피테르입니다.

    유피테르 씨리즈 중 2A3싱글 파워앰프입니다. 수 일 전 완성하여 시청실에서 듣고 있었지만 우드베이스가 오늘 입고되었습니다. 수 년 전부터 2A3 싱글 파워앰프를 출시하려고 마음으로는 항상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제 비로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구동되는 B...
    Date2011.11.02 By서병익 Reply4 Views8013 file
    Read More
  14. 171 포노 앰프 'TCR MK2'

    지난 9월 말 경 동시에 3대를 제작하다 전면 판넬의 입고 지연으로 보류하여 놓았던 TCR MK2입니다. 대부분의 작업은 완료되어 있었기에 메타를 장착하는 일이라든지 전면 판넬쪽으로 가는 배선 일부를 끝내므로서 동작을 하였고 시청실에서 청음하고 있습니다...
    Date2011.10.31 By서병익 Reply0 Views5762 file
    Read More
  15. 170 300B싱글 파워앰프 유피테르 "JUPITER'

    300B싱글 파워앰프 유피테르입니다. 먼저 제작했던 300B 유피테르와 같이 진행하던 중 자재의 품절로 인하여 잠시 보류하였습니다만, 델리카투스를 제작하는 과정에 자재도 입고되어 있었기에 오늘 작업을 마무리하여 완성하였습니다. 300B를 싱글앰프로 구성...
    Date2011.10.18 By서병익 Reply2 Views6689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