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7746 댓글 2

오디오 전용 차폐트랜스입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11.jpg


일반 가정의 계약 전력이 통상 3KW인 것을 고려하면 정격 2KW의 용량이라면 오디오 기기를 운용하면서 용량이 부족하여 낭패를 겪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차폐 트랜스의 용량이 조금 여유 있다 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를 차폐 트랜스와 공유하면 얻고자 하는 잡음 제거 효과는 전혀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것은 차폐 트랜스에 의해 노이즈가 차단된 깨끗한 전압을 얻었다 하여도,
가전기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이 그대로 오디오 기기로 유입되기 때문입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01.jpg


그런 이유로 오디오 전용이라는 문구를 강조하게 되었습니다.

차폐 트랜스는 전원 라인을 타고 들어오는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하여 만들어졌습니다.

트랜스의 1차 측과 2차 측을 감는 사이에 실드를 하고 그것을 접지하므로서 노이즈를 차단하는 원리입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02.jpg 


차폐용 트랜스로는 E.I 트랜스가 주로 사용됩니다.

 

알파벳 E와 I를 겹쳐놓은 구조여서 E.I코아라 부릅니다.
여러 장을 겹쳐 사용하며 트랜스의 용도에 따라 적층하는 방법도 달라집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03.jpg


E.I 코아를 사용한 트랜스는 구조상 1차 측과 2차 측 사이를 완벽하게 분리하여 실드하기 쉽습니다.

이런 이유로 차폐 트랜스로 즐겨 제작됩니다.

트랜스는 동작 원리상 어느 정도 열이 납니다. 따라서 열이 신속히 방출되는 구조로 제작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유도전압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케이스를 철재로 제작하면 미세하게 떨리는 소리가 더 크게 납니다.

이런 몇 가지의 이론적인 내용을 고려하여 현재와 같은 구조의 차폐 트랜스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케이스는 비자성체인 3t 알루미늄을 절곡하여 사용하였습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04.jpg


우리나라는 전기 사정이 매우 좋다고 합니다.  
외국의 기업들이 우리나라 투자하는 이유도 좋은 전기 사정때문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면적이 큰 나라는 송전하는 과정에서 전압강하가 크게 나타납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05.jpg


우리나라는 공칭 AC 전압 변동이 비교적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접지가 제대로 된 건물이 드물고 주거 환경상 옆집에서 발생한 노이즈성분이
전원선을 타고 들어오는 경우가 많기에 차폐 트랜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06.jpg 




차폐 트랜스의 핵심이 되는 트랜스는 CE 규격을 통과한 트랜스 제조공장에 주문하여 사용하였으며, 용도를 설명하고 특히 실드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그 결과 차폐 효과만큼은 기대 이상입니다.

이번에는 세 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그중 두 대는 정상적으로 완성되었지만, 한 대는 고무발을 미처 부착하지 못하였습니다.
받침용으로 사용되는 3t 알루미늄판이 한 개 누락되어 그런 것인데 내일이면 입고되어 완성해 놓을 것입니다.


내일 실험한 후 화요일 납품하도록 하겠습니다.

차폐 트랜스의 밑면입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08.jpg


무거운 트랜스를 안정감있게 받쳐주는 고무발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습니다.

흑색으로 아노다이징된 판재 한 개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10.jpg


노이즈가 제거된 깨끗한 전압으로 출력되는 100V 콘센트 2구와 220V 3구의 콘센트는 전면에 배치하였습니다.
AC 입력 콘센트는 후면에 있으며 15A의 퓨즈가 내장되어 있는 퓨즈홀다도 후면에 있습니다.

 

20130609차폐트랜스 012.jpg


고맙습니다.


  1. 258 오디오 전용 2KW 차폐트랜스

    오디오 전용 차폐트랜스입니다. 일반 가정의 계약 전력이 통상 3KW인 것을 고려하면 정격 2KW의 용량이라면 오디오 기기를 운용하면서 용량이 부족하여 낭패를 겪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차폐 트랜스의 용량이 조금 여유 있다 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
    Date2013.06.09 By서병익 Reply2 Views7746 file
    Read More
  2. 257 포노앰프 TCRmk2

    TCRmk2입니다. 지난 금요일 완성하였습니다. 근래 LP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이어지더니 요즘은 가요도 LP로 출시되나 봅니다. 아무래도 좋은 음질로 여유롭게 즐기는 취미로는 LP만한 게 없다고도 생각합니다. LP에서는 고음 대역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고...
    Date2013.06.02 By서병익 Reply0 Views6512 file
    Read More
  3. 256 CR형 포노앰프 로샤 "ROCHA"

    진공관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로샤는 CR형 포노앰프입니다. CR형 등화방식은 진공관 포노앰프의 음질적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로샤의 논클립 출력전압은 44V입니다. 회로적인 개선으로 그동안 출시되었던 40V보다 10% 향상된 논클립 출력전압...
    Date2013.05.13 By서병익 Reply0 Views6169 file
    Read More
  4. 255 2A3 푸시풀 모노블록 파워앰프 멜레터스 SE "MELETUS SE"

    2A3 푸시풀 파워앰프입니다. 2A3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파워앰프 멜레터스 SE입니다. 3극 출력관은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소자 자체의 찌그러짐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A3는 RCA에서 발표한 직열 3극 출력 진공관입니다. 웨스턴 일렉트릭의 300B에...
    Date2013.05.10 By서병익 Reply0 Views20535 file
    Read More
  5. 254 EL34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 "OLOROSA"

    EL34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입니다. 오늘 완성되어 하루 종일 에이징겸 듣고 있습니다. 올로로사는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인티앰프입니다. 출력 30W + 30W로 가정에서 사용하기 적당한 출력에 톤이 굵은 음색과 함께 배음이 풍성한 유연한 음색을 가지...
    Date2013.05.03 By서병익 Reply0 Views19972 file
    Read More
  6. 253 3웨이 멀티 채널 디바이더 베리타스 플러스

    3웨이 채널 디바이더 베리타스입니다. 멀티앰핑을 운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각 주파수별로 대역을 나누어 주는 채널 디바이더입니다. 이번에 제작한 베리타스 플러스는 3웨이용 채널 디바이더로 프리부를 추가하여 제작한 특별 주문품입니다. 처음 ...
    Date2013.04.30 By서병익 Reply0 Views6860 file
    Read More
  7. 252 2A3 싱글 파워앰프 유피테르

    2A3을 싱글로 구동하는 파워앰프 유피테르입니다. 그동안 꾸준히 작업하여 거의 90% 이상 제작되어 있었지만, 깁스를 한 상태라 제가 들지를 못하여 완성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월넛 우드베이스에 체결하므로서 완성되었습니다. 지금은 B&W 매트릭스 80...
    Date2013.04.29 By서병익 Reply0 Views9551 file
    Read More
  8. 251 포노앰프 TCRmk2

    TCR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여 에이징 겸 청음실에서 듣고 있습니다. 약 1개월 만에 작업실에서 소개하는 제품입니다. 오랬 동안 기다려 주신 고마운 마음에 조금이나마 보답하고자 부지런히 작업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깁스를 한 상태에서도 조금씩은 제작하고...
    Date2013.04.28 By서병익 Reply0 Views5559 file
    Read More
  9. 250 디퍼렌셜 모노블록 파워앰프 포르투스 SE2

    포르투스 SE2입니다. KT120을 파라렐로 하여 디퍼렌셜로 구동하는 모노블록 파워앰프 포르투스 SE2입니다. 얼마전에 발표한 포르투스 130과 같은 물량 투자를 하고 있지만, 출력은 절반 정도 밖에 얻지 못하기에 상업성이 취약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좋은 음...
    Date2013.03.29 By서병익 Reply0 Views20167 file
    Read More
  10. 249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비올레타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작업은 지난 주에 끝나 있었는데 월넛 베이스의 입고가 늦어져 완성하지 못하고 있다가 오늘 입고되어 체결하므로서 완성되었습니다. 경험이 많으신 오디오 마니아께서는 이미 잘 알고 계시겠지만, 싱글앰프의 ...
    Date2013.03.19 By서병익 Reply0 Views20118 file
    Read More
  11. 248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SE2

    델리카투스 SE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EL84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델리카투스 SE2는 진공관 EL84가 가지고 있는 음질적 특징과 장점들을 최대한 구현하기 위하여 설계, 제작되었습니다. EL84의 외형은 작고 가냘퍼 보이기에 왠지 저역 특성은 충분하지 ...
    Date2013.03.12 By서병익 Reply0 Views22902 file
    Read More
  12. 247 KT120 푸시풀 칼리오페 인티

    칼리오페인티입니다. 전시회 전에 제작하였으나, 미처 작업실에 올리지 못하고 있었던 칼리오페 인티를 오늘 소개해 올립니다. 칼리오페 인티는 KT120를 푸시풀로 구동하여 논클립 출력 60W + 60W로 여유있는 출력과 더불어 KT120의 중후한 음색이 돋보입니다....
    Date2013.03.05 By서병익 Reply4 Views6198 file
    Read More
  13. 246 신모델 모노블록 파워앰프 포르투스 130

    KT120 파라 푸시풀 파워앰프 포르투스 130입니다. 그동안 제작하고 있던 포르투스 130이 오늘 완성되었습니다. KT120을 파라렐 푸시풀로 구성하여 논클립 출력 130W를 얻고 있습니다. 출력만이 목적이라면 130W + 130W 정도는 파라렐 구성으로 할 필요도 없이 ...
    Date2013.02.26 By서병익 Reply0 Views5933 file
    Read More
  14. 245 신모델 300B XLS 싱글 파워앰프 "TONITA' 토니타

    300B XLS 싱글앰프 토니타입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토니타가 오늘 완성되었습니다. 어제 늦은 시간까지 작업한 후 오늘은 전기적 제원을 측정하고 메타회로를 배선하므로서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되었습니다. 토니타에 채용된 300B XLS는 EMISSION LABS사에...
    Date2013.02.23 By서병익 Reply0 Views20277 file
    Read More
  15. 244 새로운 스피커 베라복스MK2입니다.

    새로운 스피커입니다. 설 연휴에 제작하였습니다. 나름대로 연휴를 즐기면서도 틈틈이 제작하였습니다. 매트릭스 801-3 옆에 있는 스피커입니다. 구성은 지난번 청음실에서 사용하던 스피커와 같지만, 전면폭을 500mm로 줄였고 높이도 조금 줄였습니다. 이제 ...
    Date2013.02.14 By서병익 Reply7 Views636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