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678 댓글 0

칸타레 SE입니다.

20171016칸타레 SE 015.jpg

 

 

 

 

 

수일 전 완성하여 청음실에서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하고 있었으나,

오늘 호두나무 원목 케이스가 입고되어 사진 찍어 소개합니다.

 

 

고음질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아무래도 프리와 파워앰프를 분리하여 각각의 특성을 최대한 구현하는 방식을 생각하게 됩니다.

 

 

 

 

20171016칸타레 SE 011.jpg

 

 

 

 

  

 

 

프리앰프도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음질적 특징이 있습니다.

 

모든 증폭회로가 그렇겠지만,

진공관을 이용한 증폭회로도 당연히 직류로 된 B+ 전원 전압으로 동작합니다.

 

그러나 증폭의 대상인 신호 전압은 1초당 20회에서 20,000회 이상 +와  -가 교차하는 교류 전압입니다.  

 

이렇게 직류와 교류가 중첩된 상태에서,

직류를 차단하고 교류 성분만을 다음 단으로 넘겨줄 수 있는 소자가 필요합니다. 

 

 

 

이런 용도로 사용되는 콘덴서를 커플링 콘덴서라고 합니다.

 

트랜스는 진공관의 부하저항으로 작용하면서 증폭된 신호 전압(교류성분)을 2차 측으로 넘겨주는 역할을 같이 합니다.

 

프리앰프에 사용되는 소신호용 트랜스는 라인 트랜스라 하고,

파워앰프처럼 스피커를 드라이브하는 용도로 사용될 때는 출력 트랜스 또는 아웃 트랜스라고 합니다. 

 

 

 

 

20171016칸타레 SE 012.jpg

 

 

 

 

 

트랜스를 사용한 프리앰프는 독특한 음색을 구현합니다.

 

 

왜..! 그런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장황하여 글이 길어지므로 오늘은 생략합니다만,

기술칼럼 게시판 24번~ 26번 게시물에 상세히 소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은 참조하여 주십시오

 

 

 

 

칸타레 SE는 허용 입력 전압이 높아 어떤 상황에서도 칸타레 내부에서 파형 클립핑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증폭기의 허용입력은 이렇게 표현됩니다.

 

허용 입력전압= 증폭기의 이득(증폭도)/논클립 최대 출력전압

위 식에 대입하면

 

12배/53V=4.4167V

 

즉, 칸타레 SE의 입력에 4.4167V 이상이 입력되어야 비로소 칸타레 SE의 출력 파형이 클립핑 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파형이 클립핑되는 경우는 시스템 구성상 발생할 가능성은 있을 수 없습니다. 

 

 

 

 

20171016칸타레 SE 014.jpg

 

 

 

 

 

왜..! 그런지 알아봅니다.

파워앰프의 이득은 통상 20배에서 30배 이내입니다.

 

만약, 파워앰프의 입력에 4.4167V가 입력된다면,

4.4167V × 20배= 88.33V가 출력에 나타납니다.

 

88.33V를 출력으로 환산하면 975W입니다. 

이때는 파워앰프의 이득이 20배인 경우입니다.

 

파워앰프의 이득이 30배인 경우는

4.4167 × 30배=132.5V가 출력에 나타나고 이 전압을 출력으로 환산하면,

2195W가 됩니다.

 

물론, 이런 출력이 나오는 파워앰프를 연결하였을 때의 수치이지만,

이 정도의 음량으로 듣는 경우도 없을 것입니다.

 

앞에서 칸타레SE의 내부에서 파형이 클립핑 될 가능성이 있을 수 없다고 말씀드린 이유입니다.

 

 

 

 

20171016칸타레 SE 017.jpg

 

 

 

 

 

 

 

칸타레 스페셜 에디션 버전의 전기적 제원입니다.
형식: 무귀환 방식의 진공관 트랜스 프리앰프(서병익 발명의 특허회로 채용)
1. 이득: 12배
2. 주파수 특성: 5V 출력 시 1kHz -3dB기준
고역 상한 주파수: 75.17kHz
저역 하한 주파수: 5Hz
3. 논 클립핑 출력 전압: 53V
4. 크로스 토크: 49dB  1kHz기준
5. 사용 진공관: 12AU7 × 2,  ECC99 × 2,  6CA4/EZ81 × 1
6. 입력 임피던스: 100k
7. 크기: W455 × D320 × H195
8. 중량: 13.5Kg

 

 

 

 

칸타레 SE의 내부입니다.

20171016칸타레 SE 006.jpg

 

 

 

 

부품의 리드가 러그에 직접 납땜되는 하드와이어링으로 제작하여 잔고장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대를 물려 사용할 수 있도록 경년변화가 적은 고급 부품을 사용하였습니다.

경년변화가 적은 부품을 사용하면 초기 품질이 오래도록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칸타레 SE의 하판을 체결한 사진입니다.

20171016칸타레 SE 007.jpg

 

 

 

 

 

호두나무 원목 케이스에 넣기 전입니다.

20171016칸타레 SE 001.jpg

 

 

 

 

 

칸타레 SE의 후면입니다.

20171016칸타레 SE 027.jpg

 

 

 

 

좌측부터 5계통의 RCA 입력 단자가 있으며, 중앙에는 RCA와 XLR 출력 단자가 있습니다.

 

출력 단자 밑으로는 제품 일련번호가 각인되어 있습니다.

 

 

 

20171016칸타레 SE 026.jpg

 

 

 

 

 

 

 

 

 

칸타레 SE의 음질은 온화하고 나긋나긋한 음색입니다.

무귀환으로 구성되어 진공관 고유의 고조파가 줄어지지 않아 유려한 배음이 공간을 가득 채웁니다.

 

한없이 부드러운 음색은 피곤함에 지친 심신을 편안히 이완합니다.

 

논클립 출력 전압 53V로 스윙하는 다이내믹레인지는 오케스트라의 총주에서 악기가 엉키는 일이 없습니다. 

 

 

김* 선생님의 칸타레 SE입니다.

 

내일부터 같이 주문하신 칼리오페 파워앰프를 제작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다음 주에는 스피커 SP-03 MK2를 제작할 계획입니다.

 

목공소로부터 SP-03MK2의 인클로저를 아직 받지는 못하였지만,

부지런히 진행하여 이달 말쯤에는 칸타레 SE, 칼리오페 PE 파워앰프, 스피커 SP-03 MK2 모두를 납품하겠습니다.

 

 

 

 

 

 

20171016칸타레 SE 019.jpg

 

고맙습니다.


  1. 512 차폐 트랜스 ST-2000 XE

    차폐 트랜스 ST-2000 XE입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차폐 트랜스 ST-2000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ST-2000은 차폐 트랜스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적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만,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강하여 XE 버전으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ST-200...
    Date2018.01.20 By서병익 Reply0 Views413 file
    Read More
  2. 511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 메탈버전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온종일 히어링테스트를 하였습니다. 2007년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의 초기 버전이 발표되었으니, 10년이 지났습니다. 하나의 모델이 출시된 지 10년이 넘도록 여전히 제작되고 있다면, ...
    Date2018.01.16 By서병익 Reply0 Views373 file
    Read More
  3. 510 22W + 22W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 MK2

    KT120을 싱글로 구동하는 크리스틴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KT120을 싱글로 구동하면 출력 22W +22W를 얻을 수 있습니다. 수치상으로 작은 듯 보이기도 하지만, 반도체 앰프와 비교하면 출력 220W +220W에 버금가는 음감이 나오므로 그리 작은 출력이...
    Date2018.01.09 By서병익 Reply0 Views335 file
    Read More
  4. 509 가변 EQ 기능을 실장한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

    모노 음반을 사용할 수 있는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포노앰프 중에서 모노 음반을 사용할 수 있는 포노앰프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있다 하여도 만만치 않은 가격이라 접근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마니...
    Date2018.01.03 By서병익 Reply0 Views285 file
    Read More
  5. 508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플래티늄

    칸타레 플래티늄입니다. 칸타레의 음색이 마음에 들지만, 라우드네스 콘트롤 기능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라우드네스 기능이 있는 쏘나레로 할 것인지, 라우드네스 기능을 포기하고 칸타레로 할 것인지를 정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를 고려하여 칸타...
    Date2017.12.26 By서병익 Reply0 Views543 file
    Read More
  6. 507 네트워크 플레이어 M-1

    네트워크 플레이어 M-1입니다. 지난 일요일 출근하여 5대를 제작하였습니다만, 오늘 비로소 소개해 올립니다. 제품이 완성되면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사진을 찍지만, 일과 시간 중에는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지 않습니다. 글 쓰는 데 두어 시간 걸리다 보니, ...
    Date2017.12.22 By서병익 Reply0 Views343 file
    Read More
  7. 506 22W + 22W 300B -XLS 싱글앰프 토니타 플래티늄

    300B-XLS 진공관을 채용한 싱글 파워앰프 토니타입니다. 지난주 금요일(15일) 늦은 시간에 완성하였습니다. 토요일 출근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납품 일정을 고려하여 일요일(17일)에도 출근하여 에이징을 겸...
    Date2017.12.20 By서병익 Reply0 Views440 file
    Read More
  8. 505 44W + 44W KT120 파라싱글 파워앰프 아마레 플래티늄

    파라 싱글 파워앰프 아마레 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KT120을 싱글로 구동하는 파워앰프 크리스틴이 있지만, 조금 더 높은 출력이 필요한 경우를 위하여 KT120 두 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두 배의 출력을 얻도록 제작된 파워앰프입니다. 크리스틴 22W의 두 ...
    Date2017.12.15 By서병익 Reply0 Views344 file
    Read More
  9. 504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동시에 두 대를 제작하였습니다. 한 대는 어제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청음실에서 히어링테스트를 겸하여 듣고 있었으며, 한 대는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두 대를 동시에 제작하면 ...
    Date2017.12.08 By서병익 Reply0 Views487 file
    Read More
  10. 503 CR형 포노앰프를 실장한 프리앰프 쏘나레 플러스

    쏘나레 플러스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까지 작업하여 99% 완성하고 퇴근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완성한 후,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온종일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쏘나레 플러스는 마란츠 #7 프리를 사용하시는 분의 음질적 업그레이드...
    Date2017.11.29 By서병익 Reply0 Views533 file
    Read More
  11. 502 8W + 8W 2A3-40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새티늄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하여 동작하는 것만 확인하고 퇴근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온종일 히어링테스트를 하였습니다. 2A3의 전기적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플레이트 손실이 40W로 높아진 2A3-40 진공관을 채용...
    Date2017.11.24 By서병익 Reply2 Views440 file
    Read More
  12. 501 KT120 60W + 60W A급 푸시풀 앰프 파워앰프 칼리오페 플래티늄

    칼리오페 P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같은 구성의 인티앰프도 있지만, 오늘 제작한 칼리오페 플래티늄은 파워앰프입니다. 외형적으로는 우드형과 메탈형 두 가지가 준비되어 있지만, 회로 구성은 똑같습니다. 오늘 제작한 칼리오페 PE는 메탈형입니다. 가...
    Date2017.11.21 By서병익 Reply0 Views506 file
    Read More
  13. 500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

    플레누스 MK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플레누스 MK2는 아날로그 단을 특화한 진공관 DAC입니다. 아날로그 단에 진공관을 사용한 DAC도 이제 제법 많습니다. 그러나 진공관을 사용하였다 하여 모두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플레누스 MK2는 논클...
    Date2017.11.10 By서병익 Reply2 Views531 file
    Read More
  14. 499 2웨이 멀티 채널 디바이더를 실장한 프리앰프 베리타스 SE

    베리타스 SE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멀티앰핑을 할 때는 채널 디바이더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채널 디바이더가 본래 흔치 않은 제품이기도 하지만, 오디오용으로 제작하여 음질까지 고려한 제품은 찾기 쉽지 않습니다. 베리타스 SE는 진공관식 2웨이 채...
    Date2017.11.07 By서병익 Reply0 Views514 file
    Read More
  15. 498 스피커 SP-03 MK2

    SP-03 MK2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하였습니다. 주문 받은 지 조금 오래되었고, 목공소로부터 늦은 시간에 인클로저를 납품받았으므로 밤늦게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디바이딩네트워크와 모든 준비작업은 미리 해놓았기에 그리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는 않...
    Date2017.11.02 By서병익 Reply0 Views60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