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앰핑 우퍼 전용 15인치 밀폐형 스피커 콜라보 COLLABO

2025.07.27·by 서병익
33

 

2025-07-18 SP-09콜라보 024.jpg

 

 

SP-09 콜라보는 15인치 우퍼 스피커를 밀폐형으로 동작하는 저음 전용 스피커입니다.

 

 

신모델입니다.

 

모델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스피커는 북셀프 스피커와 조합하여 멀티앰핑을 운용하기 위해 제작된 스피커입니다.

 

 

2025-07-29 20250729SP-09콜라보 013.JPG

북셀프 스피커와 SP-09 콜라보를 조합하여 2웨이 멀티앰핑으로 청음실에서 히어링테스트 중입니다. 

 

 

 

스피커의 구경이 커질수록 저음을 잘 재현하지만, 고음 특성은 열화 됩니다.

구경이 작아질수록 고음특성은 향상하나 저음특성은 열화 됩니다.

 

이런 상반된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저음용과 고음용으로 최적화된 유닛으로 구성된 2웨이 및 3웨이 스피커 시스템이 출현하였습니다.

 

이렇게 주파수를 나누어 각각의 유닛에 할당된 주파수로 나누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디바이딩 네트워크 회로입니다.

 

디바이딩 네트워크 회로는 코일과 콘덴서로 구성하는데

우퍼로 가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기 위해 큰 용량의 코일을 사용합니다.

 

 

2025-07-18 SP-09콜라보 022.jpg

 

 

코일의 직경은 통상 1mm ~ 1.5mm 정도이며 길이는 통상 20M ~ 30M 정도입니다.

결국, 저음 신호는 이렇게 가늘고 긴 코일을 통과한 후에 비로소 우퍼 유닛에 도착합니다.

 

이런 과정 속에 손실이 발생하는데

단지, 출력에 대한 손실이라면 큰 출력 앰프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결되겠지만,

네트워크 소자인 코일을 통과하며 DF(댐핑팩터)가 현저히 낮아지는 것이 문제입니다.

특히, 이런 현상은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출수록 현저히 증가합니다.

 

이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스피커 제조 사에서는 작은 우퍼를 여러 개 장착하거나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게 설정하여 코일의 용량을 줄여 DF의 저하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내용은 어느 정도 DF를 개선하고 있다는 것일 뿐,

네트워크 소자를 사용하는 기존의 패시브 방식의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근본적인 개선이 불가능합니다. 

 

 

2025-07-18 SP-09콜라보 028.jpg

(그릴을 체결한 사진입니다.)

 

이런 내용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저음의 응답특성을 비약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식은 저음 대역의 신호가 직접 우퍼 유닛에 공급되는 멀티앰핑 방식이 유일합니다.

 

수입되는 수억 원의 스피커라 하여도 결국 원활한 판매를 위해 보편타당한 음색으로 튜닝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저음에서의 댐핑팩터가 저하하여 저음이 풀어지는 현상을 극복할 수 없다는 내용도 여전히 그대로입니다.

 

통상의 스피커 시스템은 네트워크 소자를 통해 저음, 중음, 고음으로 나뉜 후 각각의 유닛에 공급되는 것에 반해, 

멀티앰핑은 채널 디바이더에서 이런 기능을 수행합니다.

 

디바이딩 네트워크 회로는

전력 증폭되어 출력 신호가 커진 상태에서 코일을 통과하며 나타나는 손실로 음질이 열화 되었다면,

채널디바이더는 파워앰프에 공급되기 이전에 소신호 전압 증폭관으로 구현할 수 있어 음질적 손실이 없으며 저음 및 고음의 레벨을 취향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나의 취향에 맞는 최적의 스피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멀티앰핑을 궁극의 오디오라고 합니다. 

 

2025-07-18 SP-09콜라보 027.jpg

 

SP-09 콜라보의 후면 단자류 입니다.

 

멀티앰핑용의 단자도 있지만,

북셀프 스피커와 패시브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자도 있습니다.

 

이때는 2웨이용 채널디바이더와 여분의 파워앰프가 없어도 되지만,

별도의 설명이 필요합니다.

 

어려워서가 아니라 글로 쓰면 너무 장황해져 그렇습니다. 

 

 

 

청음실에 세팅된 멀티앰핑 기기입니다.

1. 네트워크 플레이어 M-1 (지금은 단종된 네트워크 플레이어)

2. 메디움 MK3 (진공관 DAC)

3. RCV (진공관으로 구성된 리모트 컨트롤러)

4. 벨루스 XE (고음질 진공관 프리앰프)

5. 베리타스 베이직 (2웨이 멀티앰핑 채널 디바이더)

6. 플로랄 XE (EL34 푸시풀 파워앰프 2대)

7. SP-200 SE (고음용으로 2웨이 밀폐형 북셀프 스피커)

8. SP-09 콜라보 (저음용 15인치 밀폐형 스피커)

 

 

 

편리성을 위한 세팅이라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멀티앰핑을 구성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채널 디바이더 베리타스 베이직입니다.

 

그 외 파워앰프를 여유로 1대 더 소장하고 계신다면 궁극의 오디오로 평가받는 멀티앰핑을 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5-07-29 20250729SP-09콜라보 014.JPG2웨이 

2웨이 멀티앰핑용 저음 스피커 SP-09 콜라보와 2웨이 북셀프 스피커 SP-200 SE

 

 

고맙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Comments0

결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