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드라이브 방식의 CR형 RIAA 포노앰프
TCR SE
CR형 포노앰프인 TCR SE는 NON NFB 방식으로 진공관 고유의 고조파가 줄어지지 않아 공간을 가득 채우는 풍성한 배음과 나긋나긋한 음색으로 일상의 피곤함에 지친 심신을 편안히 이완합니다.
TCR SE의 매혹적인 음색은 무귀환으로 이루어지는 증폭단과 트랜스 드라이브로 출력되는 독특한 출력단 구성에 있습니다.
서병익 발명특허회로로 구성된 이 특별한 출력단은 53V의 논클립 출력을 얻고 있습니다.
(지금은 특허회로 아닙니다.)
기존 버전에서도 높은 논클립 출력전압으로 인한 여유 있는 입력마진과 더불어 유연한 음질이 돋보였지만,
SE 버전에서는 회로를 개선하여 더욱 향상된 음질도 마무리하였습니다.
여유 있는 허용 입력으로 증폭기 내부에서 파형 클립핑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출력 시에도 청감상 탁한 느낌이 전혀 없고 온화하게 들립니다.
CR형 포노앰프의 음질적 특성이 고음대역에서 과도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인데 단지, 높은 주파수대역까지 뻗어있는 정도로는 부족합니다.
높은 주파수에서도 파형의 일그러짐 없이 증폭될 필요가 있습니다.
매우 낮은 레벨을 취급하는 증폭기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정밀한 회로 설계를 하고 정밀도 높은 부품을 사용하여 정확한 동작점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이유입니다.
TCR SE에 적용된 회로는 무귀환 증폭기로 구성되어 진공관 고유의 고조파가 감쇠되지 않아 배음이 풍성하고 유려한 음질이 특징입니다.
TCR SE는 3 계통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중 포노 1에는 옵션으로 승압트랜스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TCR SE의 특징 중 하나는 S/N비가 매우 높다는 것입니다.
음원 소스의 가장 앞에 위치한 포노앰프에서 험이 발생한다면, 사용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진공관 CR형 포노앰프의 가장 큰 약점이 S/N비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TCR SE에서는 반도체 포노앰프에 버금가는 높은 S/N비를 실현하였습니다.
TCR SE의 전기적 제원
형식
증폭도(1kHz 기준)
논 클립 출력전압
입력 임피던스
입력
출력 형식
사용 진공관
크기
무게
트랜스 드라이브 방식의 CR형 RIAA 포노앰프
200배
53V
47k
언밸런스 3 계통(옵션 선택 시 승압 트랜스 내장됨)
밸런스 1 계통, 언밸런스 1 계통
전압 증폭관으로 12AY7 × 2개, 출력관으로 ECC 99 × 2개가 사용됩니다.
W455 × D320 × H193
무게: 13.5kg
좌측은 전원 ON/ OFF 스위치입니다.
일본 세이덴 사의 셀렉타를 사용하며 이 셀렉타는 은도금된 접점 위에 금도금을 하여 내구성을 향상하여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셀렉타의 허용전류는 약 50mA이기에 직접 전원을 ON/ OFF 할 수 없기에 질소 봉입된 릴레이를 통하여 전원을 제어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런 회로적 조치로 인해 고장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전원 스위치에 관련된 고장이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우측은 입력 선택을 할 수 있는 셀렉타입니다.
포노 1, 포노 2. 포노 3으로 총 3대의 턴테이블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그중 포노 1은 내장된 승압트랜스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포노 1을 선택하면 내장된 승압트랜스를 통해 입력되므로 MC 카트리지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별도의 승압트랜스를 소장하신 분은 포노 2, 또는 포노 3 단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승압트랜스 내장은 옵션으로, 16배 또는 32배 중에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TCR SE의 내부입니다.
(사정상 해상도를 낮추었습니다.)
부품의 리드가 러그 단자에 직접 납땜되는 하드와이어링 방식으로 제작되어 잔고장이 없을 뿐 아니라,
이론에 입각한 이상적인 배선이 가능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300V 이상의 높은 B+ 전원 전압으로 동작하는 진공관 앰프를 하드와이어링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너무도 당연한 일이지만,
수입되는 양산형 앰프에서는 PCB로 제작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해 주십시오.
하드와이어링 방식의 우수성을 몰라서가 아니라,
양산형 앰프의 최대의 화두는 원가절감이기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인 것입니다.
TCR SE의 하판입니다.
TCR SE는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정성을 들였습니다.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45mm 통 알루미늄을 절삭 가공한 후 실리콘 고무를 덧대어 만든 받침대를 사용하였습니다.
음질 향상을 위해 별도의 오디오용 인슐레이터를 구입하실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TCR SE의 입력 단자입니다.
좌측부터 포노 1, 포노 2, 포노 3으로 총 3 계통의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그 중 포노 1에는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승압 트랜스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중간 부분에는 XLR과 RCA 출력 단자가 있습니다.
두 계통의 출력 단자가 있지만, 반드시 하나의 출력 단자만을 사용하시기를 권유합니다.
두 개의 출력 단자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미세하지만, 음질이 열화 될 수 있어서입니다.
우측으로는 AC인렛이 있습니다.
인렛 단자 하단에는 비상용 퓨즈가 들어 있습니다.
TCR을 사용하시는 분께서 말씀하시길 하이엔드와 빈티지를 절묘하게 블랜딩해 놓은 것 같다는 평가를 해주십니다.
무귀환으로 구성되어 배음이 풍성하고 유연하게 들리는데, 고음으로 치고 올라가는 충격음에도 찌그러짐 없이 재현하는 능력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TCR SE에서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승압트랜스 안내
옵션 : 승압트랜스를 내장할 경우 40만 원 추가됩니다.
최대 2조의 승압트랜스를 내장하실 수 있습니다.
이때는 각각 16배, 32배의 승압비를 갖는 트랜스를 실장 합니다.
. TCR SE에 대하여 조금이라도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전화 주십시오.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서병익 휴대폰: 010-5544-0052
판매가격 : 430만원
유의사항
- 결제 버튼을 누르시기 전에 전화 주시어, 납품 가능 일자와 입금에 대한 안내를 받아주십시오.
- 홈페이지에서 카드 결제하실 때, BC카드는 결제 안 됩니다.(BC카드 규정)
- 500만원 이상의 금액일 때는 두 번으로 나누어 결제해 주십시오.(1회 500만원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