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20231025새티늄 XE13.jpg

 

 

 

2A3-40과 300B를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파워앰프 새티늄 XE입니다.

같이 시작하여 먼저 완성한 새티늄 XE는 지난 26일 납품하였고 지난 27일(금) 완성한 새티늄 XE는 오늘 납품하였습니다.

 

 

며칠 사이로 같은 앰프를 다시 소개하자니 겹치는 내용이 대부분이어서 오늘은 콘덴서에 대해 간략히 말씀드리려 합니다.

 

오디오를 어느 정도 하신 분이라면 

콘덴서가 좋아야 소리가 좋다는 말을 들으셨을 것입니다.

 

특히, 오일콘덴서를 사용하면 소리가 유연해진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20231025새티늄 XE10.jpg

 

 

여기에 대한 말씀을 드리기 이전에 먼저

오디오 기기는 전자공학을 기반으로 제작된 전자기기입니다.

 

따라서 오디오를 즐기면서 경험하는 모든 현상은 이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허황한 주장들이 더 많습니다.

주장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확인할 길이 없다 보니 그렇습니다.

 

 

20231025새티늄 XE11.jpg

 

 

그중 대표적인 것이

1. 인터케이블

2. 콘덴서

3. 출력 트랜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3가지에 대한 내용들만 자세히 알게 된다면, 오디오에 대한 수업료를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의 3가지 내용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은 유튜브 서병익오디오TV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습니다.

 

다만, 전자이론에 대한 설명이므로 대단한 각오 없이는 보기 어려우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주요 내용은 자주 반복되므로 고비만 잘 넘기시면 오디오를 즐기시며 겪게되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20231025새티늄 XE08.jpg

 

 

그리고 회로설계가 목표가 아니라면 오디오이론 영상만 수회 반복 시청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디오상식에 대한 유튜브영상도 꾸준히 제작할 계획입니다.

 

평소 궁금하셨던 점이 있으신 분은 

서병익오디오 홈페이지 질문게시판에 질문을 남기시면 유튜브 영상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0231025새티늄 XE12.jpg

 

 

앞서, 말씀드렸던 오일콘덴서를 사용하면 소리가 야들야들해진다는 주장은,

소리가 오일을 통과하게 되니 매끄럽고 부드러워질 것이라고 생각한 결과입니다.

 

그리고 이런 주장은 전기의 작용을 전혀 모르기에 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전기는 작용이 있을 뿐 실체가 없습니다.

 

실체가 없는데 어떻게 오일이 전기에 묻을 수 있을까요...

 

증폭기(앰프)에서 증폭하지만, 스피커에서 소리로 구현되기 이전에는 전기의 작용일 뿐입니다.

 

 

20231025새티늄 XE15-1.jpg

 

 

증폭기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DC(직류)가 필요합니다.

즉, 증폭기는 DC로 동작합니다.

DC는 +와 -가 일정하게 흐르는 전기를 말합니다.

 

반면, AC(교류)는 +와 -가 교차하며 흐르는 전기를 말합니다.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교류는 1초 동안에 +와 -가 60번 교차하므로 60Hz라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 가정에 유입되는 전기는 교류 220V이고 60Hz입니다.

 

우리가 듣는 음악도 +와 -가 교차하는 교류입니다.

적게는 1초에 5번 정도 +와 -가 교차하지만, 많게는 30,000번 이상도 교차합니다.

 

사람의 청각이 통상 20Hz에서 20,000Hz 정도를 듣는다고 하지만,

특성 향상을 위해 앰프는 그보다 더욱 광대역 특성을 갖도록 제작합니다.

 

 

20231025새티늄 XE04.jpg

 

 

 

이런 이유로 직류로 구동되는 증폭기가 실제로 증폭하는 것은 교류입니다.

따라서 증폭기의 증폭 소자에는 증폭기가 동작할 때 필요한 직류와 증폭되어 나온 교류 성분이 중첩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증폭된 교류성분이므로 

직류는 차단하고 교류는 통과시키는 부품이 필요한데 그런 작용을 하는 것이 콘덴서입니다.

 

 

20231025새티늄 XE05.jpg

 

 

콘덴서의 구조는 넓은 면적을 갖는 전극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입니다.

이런 상태에서는 용량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두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넣습니다.

 

따라서 어떤 유전체를 사용했는지에 따라 성능이 거의 결정됩니다.

이런 이유로 콘덴서의 명칭은 사용된 유전체로 합니다.

 

초창기 콘덴서는 

알루미늄 호일에 기름먹인 종이를 겹친 후 돌돌 말아 파라핀으로 밀봉하여 만들었습니다.

 

이 경우 유전체가 기름먹인 종이이므로 페이퍼 콘덴서 또는 페이퍼 오일콘덴서라 부릅니다.

파라핀 밀봉은 종이에 먹인 오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20231025새티늄 XE21.jpg

 

 

이렇게 제작된 페이퍼 오일콘덴서는 사용기간이 경과하면 오일이 증발하면서 용량이 점점 줄어집니다. 

오래된 빈티지 기기는 페이퍼 콘덴서를 커플링 콘덴서로 사용하였으므로 경년변화로 용량이 퇴화하여 최초 용량의 1/10도 안 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이렇게 용량이 줄어지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페이퍼 콘덴서를 오일로 가득 채운 철제 케이스에 넣어 만든 것이 외형상 사각형 철제 케이스에 담긴 오일콘덴서입니다.  

 

이렇게 만든 오일콘덴서는 구조상 경년변화가 적습니다. 

형상이 다르더라도 페이퍼를 유전체로 만들었기에 페이퍼 오일콘덴서라 부릅니다.

 

 

20231025새티늄 XE22.jpg

 

 

 

여러 특성에 맞는 콘덴서를 제작하기 위해 다양한 유전체로 제작하며 각각의 전기적 특성을 갖습니다.

 

세라믹을 유전체로 하는 콘덴서는 세라믹콘덴서라고 합니다.

세라믹 콘덴서는 두 개의 전극이 마주 보는 형상으로 고주파 특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그러나 마주 보는 구조로 인해 큰 용량을 만들 수 없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세라믹콘덴서는 뛰어난 고주파 특성을 이용하여 높은 주파수가 증폭회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주파 바이패스 회로에 주로 사용합니다.

 

콘덴서의 종류는 다양하고 나름대로의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기에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각 콘덴서의 특성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기회에 소개하겠습니다.

 

 

20231025새티늄 XE14.jpg

 

 

재미있게 읽으셨는지요....!!

콘덴서에 대한 내용만으로도 몇 시간을 말씀드려야 하는데 압축하다 보니 콘덴서의 동작 기조에 대해서는 말씀드리지 못하였습니다.

 

콘덴서와 상반된 특성의 코일에 대한 내용까지 아시게 되면 점점 흥미로워질 겁니다.

기회 될 때마다 조금씩 전자 이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배*호 선생님의 새티늄 XE입니다.

오늘 납품되었습니다.

 

 

20231025새티늄 XE07.jpg

  

 

고맙습니다.


  1. 949 톤 컨트롤 프리앰프 유니크

    유니크 3대와 RCVP 1대 총 4대를 이번 주 완성하였습니다. 유니크의 전원 스위치는 좌측의 입력 선택 셀렉타와 베이스 노브 중간의 하단에 있습니다. 지금은 톤 컨트롤 기능을 실장 한 프리앰프가 특별해 보일 정도로 귀하지만, 예전의 프리라면 당연히 있던 ...
    Date2024.03.30 By서병익 Reply0 Views188 file
    Read More
  2. 948 진공관 리모컨 프리앰프 RCVP

    오늘 프리앰프 총 5대를 로젠택배로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입니다. 이*호 선생님 김*욱 선생님 김*규 선생님 이*석 선생님 성*수 선생님 이렇게 다섯 분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프리앰프는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실장 한 RCVP입니다. 다른 ...
    Date2024.03.22 By서병익 Reply0 Views177 file
    Read More
  3. 947 진공관 톤 컨트롤러 TCV

    TCV 2대와 벨루스 XE 2대입니다. 오늘 로젠택배로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은 김*엽 선생님 김*호 선생님 박*연 선생님 홍*혁 선생님 이렇게 4분입니다. TCV와 벨루스 XE는 받으시는대로 사용하실 기기와 연결하면 즉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
    Date2024.03.15 By서병익 Reply2 Views151 file
    Read More
  4. 946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 프리앰프 RCVP

    신모델 프리앰프입니다.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실장 한 프리앰프 RCVP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RCVP는 제품 사진 없이 공제를 시작하여 충분히 살펴보실 시간을 드리지 못한 점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2020년 9월 진공관으로 구동되는 RCV를 출시한 지 4...
    Date2024.03.10 By서병익 Reply4 Views161 file
    Read More
  5. 945 2웨이 채널디바이더 베리타스베이직

    2웨이 멀티 채널디바이더 베리타스베이직입니다. 어제(22일) 납품하였습니다. 베리타스베이직은 2웨이 멀티앰핑을 고려하고 계신 분을 위해 출시하였습니다. 멀티앰핑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시는 분이라면 궁극의 오디오라고 하는 멀티앰핑으로 시스템을 구...
    Date2024.02.23 By서병익 Reply2 Views268 file
    Read More
  6. 944 2A3-40/ 300B 겸용 8W+8W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XE

    서병익오디오의 새로운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제가 무언가 실수하여 작업실 게시판 내용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곧 정리하여 복원해 놓겠습니다. 새티늄 XE입니다. 16일 플로랄 XE와 같은 날 발송하였습니다. 주문하신 후 약 3개월 만에 ...
    Date2024.02.18 By서병익 Reply0 Views301 file
    Read More
  7. 943 32W+32W EL34 푸시풀 앰프 플로랄 XE

    플로랄 XE입니다. 파워 2대 인티 4대입니다. 어제(16일) 총 6대를 납품하여 이번 플로랄 XE 2종 공동제작을 완료하였습니다. 혹시라도 택배 운송 중에 진공관이 파손될 수도 있어서 진공관을 모두 뽑은 후 별도 포장하였습니다. 받으신 후 진공관의 형명을 찾...
    Date2024.02.17 By서병익 Reply0 Views186 file
    Read More
  8. 942 CR형 포노앰프 TCR SE2

    CR형 포노앰프 TCR SE2입니다. 지난달 1월 31일 완성하여 히어링 테스트를 거친 후 2월 2일 발송하였습니다. 기회있을 때마다 말씀드리는 것인데 LP를 들으실 때 좋은 음질을 위하신다면 포노앰프만큼은 반드시 진공관 포노앰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
    Date2024.02.07 By서병익 Reply0 Views123 file
    Read More
  9. 941 EL34 32W+32W 푸시풀 앰프 플로랄 XE

    플로랄 XE 파워앰프와 인티앰프입니다. 총 4대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은 이** 선생님 김** 선생님 임** 선생님 박** 선생님 이렇게 4분입니다. 두 분은 직접 수령하신다고 하시어 택배로 발송된 것은 두 대입니다. 20kg이 넘는 무게지만, 완충...
    Date2024.02.02 By서병익 Reply0 Views169 file
    Read More
  10. 940 6L6G/ 350B A급 18.5W+18.5W 푸시풀 파워앰프 칼리스토 SE

    칼리스토 SE입니다.지난 금요일 완성하여 청음실에서 듣고 있었으나 명판이 입고되지 않아 사진으로 소개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명판이 입고되어 소개합니다.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칼리스토 MK2가 스페셜 에디션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외관도...
    Date2024.01.30 By서병익 Reply0 Views160 file
    Read More
  11. 939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CR형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지난 16일 완성하였습니다. 오랜만에 로샤 SE를 소개하면서 CR형 포노앰프에 대해 말씀 올립니다. 직경 30cm의 LP에 가능한 한 많은 음악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진폭이 큰 저음은 적절히 줄이고 진폭이 작은 고음은 적절히 늘려 ...
    Date2024.01.23 By서병익 Reply0 Views111 file
    Read More
  12. 938 진공관 DAC 메디움 MK3

    진공관 DAC 메디움 MK3 2대입니다. 오늘 로젠 택배로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실 분은 심** 선생님 우** 선생님 이렇게 두 분입니다. 오늘로 메디움 MK3 공동제작이 무사히 마무리되었습니다. 메디움 MK3의 특징은 음질이 열화 되는 OP AMP를 전혀 사용하...
    Date2024.01.10 By서병익 Reply0 Views201 file
    Read More
  13. 937 진공관 DAC 메디움 MK3

    메디움 MK3 4대입니다. 금요일(5일) 로젠 택배로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 성함입니다. 이재* 선생님 이인* 선생님 장** 선생님 전** 선생님 이렇게 4분입니다. 무상 AS 관련 내용을 계속하여 공지하고 있으나 미처 못 보셨다는 분도 계시어 반복되...
    Date2024.01.06 By서병익 Reply2 Views117 file
    Read More
  14. 936 2 웨이 밀폐형 스피커 SP-200 SE

    8인치 우퍼의 밀폐형 2 웨이 스피커 SP-200 SE입니다. 신모델입니다. 2세트 4개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지난해 11월 24일 인클로저를 납품받아 제작을 시작하여 12월 1일 2세트를 모두 완성하였습니다. 내부에 들어가는 네트워크 판을 미리 만들어 놓은 상...
    Date2024.01.02 By서병익 Reply0 Views242 file
    Read More
  15. 935 진공관 DAC 메디움 MK3

    메디움 MK3 4대입니다. 어제 로젠 택배로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 성함입니다. 권** 선생님 김** 선생님 정** 선생님 전** 선생님 이렇게 4분입니다. 매번 소개하는 내용이지만, 무상 AS 관련 내용을 꼭 숙지해 주십시오.. 서병익오디오의 모든 제...
    Date2023.12.30 By서병익 Reply0 Views11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