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칼럼

조회 수 11720

근래 들어 밸런스앰프가 많아졌고, 광고에 의해 고급앰프로서의 이미지가 더해져 궁극의 앰프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 밸런스앰프의 기술적 내용을 알아봅니다..

 

 

먼저 밸런스 전송에 관한 내용입니다.

 

기기와 기기 사이가 멀어지게 되면 자연히 케이블이 길어지게 되고 잡음의 유입이 그만큼 많아집니다.
(일반적인 가정의 경우 케이블이 길어진다 하여도 3m 전, 후이므로 케이블을 통하여 잡음이 유입될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봅니다. )

흔히 업무용(상업용)으로 사용 할 때 전송라인을 타고 유입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밸런스 전송 기술입니다.
(예를 든다면 잡음 발생원이 많은 곳에서 케이블이 길어지면 잡음이 상당히 유입되겠지만 밸런스 전송으로 할 때는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  )

+10과 -10이 있을 때 이것을 더하면 답은 제로가 되는 원리로 잡음을 제거하게 되는데 출력 트랜스에 중간탭을 만들어 접지를 시키고 전송을 하게 되면 중간에 잡음이 유입되더라도 나중에 같은 방법으로 받게 되면 신호에 중첩된 잡음이 앞서 말씀드린 대로 +와 -가 상쇄되어 없어지듯 잡음만을 제거하게 되는 것입니다.

효과는 대단히 우수하여 트랜스(권선 횟수가 정확하다면)가 잘 만들어 졌다면 아무리 많은 잡음도 거의 완벽하게 제거됩니다. 근래에는 트랜스 대신 반도체소자로 구성하는 경우가 더 많아졌습니다.

이렇듯 우수한 잡음 제거 효과가 전송 케이블내에 유입되는 잡음에만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아쉬움입니다.
(앰프 자체의 잡음에는 작용하지 못합니다.)  

 

 

 

 

밸런스 앰프는 출력 소자를 브리지 형태로 접속하여 DC적으로 밸런스를 잡아놓은 상태에서 동작합니다.

 

이런 구조로 인하여 브리지 앰프라 하기도 하고, 밸런스 앰프라 하기도 합니다.

 

흔히 BTL이라 하는데,

BTL은 (Bridge Transformer Less) 또는, (Balance Transformer Less)의 약자입니다.  

 

 

밸런스 앰프의 장점은 같은 조건에서 출력이 4배 증가하는 특징 때문에 큰 출력을 낮은 B+전압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대표적인 적용 사례가 자동차 배터리 13.2V의 B+전원으로 25W를 실현하는 BTL 앰프인데, 일반 OTL회로의 4배의 출력을 얻습니다.) 

이것은 2개의 앰프가 상,하 대칭 동작하여 파형을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2개의 앰프가 상호 동작하는 이유로 이득은 6dB(두 배) 증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푸시풀앰프는 싱글앰프의 4배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푸시풀앰프를 다시 밸런스로 동작시키면 푸시풀앰프의 4배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출력은 크게 증가하지만 왜율도 크게 증가한다는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10kHz 이상에서의 왜율이 수직으로 급격히 상승합니다. 

 

이 부분이 밸런스 앰프의 가장 큰 취약점입니다.

 

이런 내용이 잘 알려지지 않은 채, 출력이 높다는 이유로 고급앰프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BTL 회로 방식은 B+전원 전압을 올릴 수 없는 한정된 상황에서,

큰 출력을 얻기 위해 고안된 회로입니다.

 

 

이런 이유로 잡음 유입의 염려가 없고 큰 출력의 앰프가 필요치 않을 때에는 밸런스방식의 앰프가 음질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기사 출처: 운영자 직접 작성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술칼럼 안내 서병익 2008.07.09 16095
64 승압 트랜스의 승압 비 산정 방법 서병익 2022.03.28 1075
63 일본 내수용 튜너를 국내에서 사용할 때의 주의 사항 서병익 2018.06.06 2940
62 디지털 음원과 D/A Converter 서병익 2017.10.18 3686
61 A급 앰프의 음질에 대하여 서병익 2017.09.08 4877
60 싱글 앰프와 푸시풀 앰프의 음질 특성 서병익 2017.09.04 6230
59 포노앰프는 진공관 포노앰프가 유리한 이유 서병익 2017.09.02 4512
58 AC INLET 단자의 접지에 대하여 file 서병익 2015.10.28 8434
57 인티앰프를 파워앰프로 사용하는 방법 서병익 2015.06.22 16572
56 직열형 진공관과 방열형 진공관의 구조와 특성 서병익 2015.04.15 6395
55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와 선택 시 참고사항에 대하여(3) 서병익 2014.10.31 8743
54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와 선택 시 참고사항에 대하여(2) 서병익 2014.08.24 11061
53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와 선택 시 참고사항에 대하여(1) 서병익 2014.08.22 8510
52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4) 서병익 2014.08.17 6807
51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3) 서병익 2013.12.30 10724
50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2) 서병익 2013.11.11 10470
49 진공관 앰프와 반도체 앰프의 음질적 특성(1) 서병익 2013.11.02 13404
48 진공관은 구관이 좋은가! 서병익 2013.04.11 14735
47 진공관의 구조와 결선 방법에 대하여 서병익 2012.06.17 14419
46 영사기용 앰프를 가정용으로 사용하게 되면? 서병익 2012.06.01 11042
45 고음이 유연하지 않은 앰프의 특성 서병익 2012.01.15 13305
44 과도특성에 대하여 (2) 서병익 2011.12.07 9864
43 과도특성에 대하여 (1) 서병익 2011.11.27 10329
42 오디오 취미와 블라인드 테스트 서병익 2011.07.21 12701
41 멀티 앰핑의 장점과 단점 (2) 서병익 2011.06.18 10134
40 멀티 앰핑의 장점과 단점 (1) 서병익 2011.05.08 1083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