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2017.09.15 21:30

CR형 포노앰프 로샤

조회 수 392 댓글 0
CR형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20170915로샤 017.jpg





어제 늦은 시간에 마무리되어 동작하는 것만 확인하고 퇴근하였고,

오늘 출근하여 전기적 특성과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2012년 7월 출시한 로샤는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CR형 이퀄라이저(등화) 회로를 채용한 포노 앰프입니다.

모든 방식이 그렇듯이 CR형 등화 방식도 장,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70915로샤 003.jpg





CR형 방식의 장점은 우수한 과도특성에 있으며,

과도특성이 우수한 앰프의 음질은 생동감이 잘 느껴집니다.


그러나 CR형 포노앰프 회로는 회로도 대로 제작하여도 만든 사람의 기술 정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내용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내용으로 양산형에 적합하지 않아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고, 고급 앰프에 주로 채용되고 있습니다. 



LP에서 카트리지로 픽업된 신호는,
저음을 줄이고 고음은 늘린 상태(RIAA 곡선)입니다.

한정된 LP의 면적에서 가능한 한 많은 음악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이퀄라이저(등화) 음악 신호 원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회로가 필요한데 그 기능을 포노앰프에서 합니다.


재생할 때는 LP에 음악 신호를 기록할 때와는 반대로 저음은 키우고 고음은 줄입니다.
어느 정도 줄이고 늘릴 것인가는 1955년 통합된 RIAA 규정을 따릅니다.

RIAA의 기준을 보면,
재생할 때는 1kHz를 기준으로 20Hz에서는 10배(20dB) 키우고,
20kHz에서는 1/10(-20dB)로 줄이게 되어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C(콘덴서)와 R(저항)을 이용한 감쇠 특성 이용하여 등화 하는 방식을 CR형이라고 합니다.

반면, 증폭기에 부귀환을 적용하면 이득이 저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등화 하는 방식을 부귀환형 또는 NFB형이라고 합니다.


각각의 장, 단점이 존재하지만,
부귀환형은 부귀환을 통하여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소자의 불균일이 있더라도 부귀환에 의해 어느 정도 보정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부귀환의 양이 증가하는,

고음으로 갈수록 과도특성이 악화한다는 숙명적인 단점도 있습니다.



숙명이란 피할 수 없는 운명을 말하듯 부귀환 방식의 포노앰프에서 고음의 해상도가 저하하는 현상은 극복할 수 없는 내용입니다.

고음으로 갈수록 부귀환이 증가하여 과도특성이 악화하는 것이므로, 

부귀환 방식에서는 어쩔 수 없는 것입니다.




20170915로샤 002.jpg





부귀환 방식으로 널리 알려진 포노앰프는 마란츠 #7의 포노부입니다.
포노부는 독립된 포노앰프로 구성되어 판매되기도 합니다.


CR형 포노앰프는 두 개의 증폭 유닛을 만들고 증폭 유닛 사이에 등화소자를 넣어 구성합니다.
카트리지에서 발생한 음악 신호는 매우 미세하여 바로 감쇠회로(RIAA 등화회로)를 거치면 신호 레벨이 최소 1/10(-20dB) 이상 줄어집니다.

즉, S/N 비가 나빠집니다.



이렇게 S/N 비가 악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 증폭 유닛으 크게 증폭하여 신호와 노이즈의 차이를 크게 벌여 놓습니다.
S/N 비는 신호와 잡음의 비교이기에 노이즈보다 신호의 레벨이 크면 S/N 비는 좋아집니다.

이렇게 충분히 증폭된 신호는 CR 감쇠회로(등화회로)를 거쳐 LP에 녹음되기 이전의 평탄한 특성으로 복원됩니다만, 감쇠회로(등화회로)를 거치며 1/10로 줄어든 상태입니다.

이때, 제2 증폭 유닛에서 증폭되어 출력됩니다.



CR형 포노앰프의 대략적인 증폭 과정을 소개하면 이렇습니다.

MM 카트리지의 1kHz 시의 기준 출력 전압: 5mV 

1 증폭 유닛 이득: 45배(33dB)
RIAA 등화회로 손실: 0.1배(-20dB)
2 증폭 유닛 이득: 45배(33dB)


MM 카트리지 출력 전압이 제1 증폭 유닛에서 45배 증폭되어
225mV가 됩니다.
등화회로를 거치며 -20dB(0.1배) 줄어져 22.5mV가 됩니다.
2 증폭 유닛에서 45배 증폭되어 약 1,000mV가 됩니다.

즉, MM 카트리지의 5mV의 출력 전압은 두 개의 증폭 유닛과 등화회로를 거치며,
1,000mV(1V)가 되어 출력되는 것입니다.

*. 위의 내용은 하나의 사례로 제시된 것이며,
모든 CR형 포노앰프가 위 내용대로 구성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20170915로샤 008.jpg






로샤의 전기적 제원입니다.
형식:CR형 RIAA 등화회로를 탑재한 귀환 포노앰프
1. 증폭도: 180배 1kHz 기준
2. 클립 출력전압: 44V
3. 사용 진공관: 12AX7/ ECC 83S × 3,  6CA4× 1
4. 크기: W390 D370(단자류 포함) H93mm
5. 옵션: 내부에 승압 트랜스를 내장할 수 있습니다.





로샤의 후면입니다.
20170915로샤 016.jpg





좌측에 두 계통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RCA 단자가 있습니다.

중앙에는 RCA 출력 단자가 있으며, 우측으로는 AC 인렛이 있습니다.



20170915로샤 011.jpg





로샤의 음질은 CR형 포노앰프지만, 온화하고 나긋나긋합니다.
무귀환으로 구성되어 진공관 고유의 부드러운 음색이 잘 나타나며 유려한 배음이 공간을 가득채웁니다. 



특히, 로샤는 CR형 포노앰프지만,
반도체 포노앰프에 버금가는 높은 S/N 비를 실현하였습니다.


김** 선생님의 로샤입니다.
3일간의 에이징이 끝나는 19일(화) 이후 언제든지 납품할 수 있습니다.



20170915로샤 006.jpg



고맙습니다.


  1. 514 CR형 포노앰프 로샤 "ROCHA"

    로샤입니다. 월요일(29일) 완성하였지만, 전면 판 명판이 입고되지 않아 사진으로 소개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로샤는 CR형 포노앰프입니다. 그동안 부귀환 방식의 포노앰프를 즐겨 사용하셨다면, 이제 CR형 방식의 포노앰프를 눈여겨보아 주십시오... 널리 ...
    Date2018.01.31 By서병익 Reply0 Views253 file
    Read More
  2. 513 차폐 트랜스 ST-2000

    오늘 뉴스를 보니 참 많이도 추운 날이더군요... 이럴때일수록 감기 조심하시어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차폐 트랜스 ST-2000입니다. 오디오를 즐기다 보면, 노이즈때문에 신경 쓰일 수도 있고 100V 전압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
    Date2018.01.25 By서병익 Reply0 Views475 file
    Read More
  3. 512 차폐 트랜스 ST-2000 XE

    차폐 트랜스 ST-2000 XE입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차폐 트랜스 ST-2000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ST-2000은 차폐 트랜스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적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만,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강하여 XE 버전으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ST-200...
    Date2018.01.20 By서병익 Reply0 Views413 file
    Read More
  4. 511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 메탈버전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온종일 히어링테스트를 하였습니다. 2007년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의 초기 버전이 발표되었으니, 10년이 지났습니다. 하나의 모델이 출시된 지 10년이 넘도록 여전히 제작되고 있다면, ...
    Date2018.01.16 By서병익 Reply0 Views373 file
    Read More
  5. 510 22W + 22W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 MK2

    KT120을 싱글로 구동하는 크리스틴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KT120을 싱글로 구동하면 출력 22W +22W를 얻을 수 있습니다. 수치상으로 작은 듯 보이기도 하지만, 반도체 앰프와 비교하면 출력 220W +220W에 버금가는 음감이 나오므로 그리 작은 출력이...
    Date2018.01.09 By서병익 Reply0 Views336 file
    Read More
  6. 509 가변 EQ 기능을 실장한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

    모노 음반을 사용할 수 있는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포노앰프 중에서 모노 음반을 사용할 수 있는 포노앰프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있다 하여도 만만치 않은 가격이라 접근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마니...
    Date2018.01.03 By서병익 Reply0 Views288 file
    Read More
  7. 508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플래티늄

    칸타레 플래티늄입니다. 칸타레의 음색이 마음에 들지만, 라우드네스 콘트롤 기능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라우드네스 기능이 있는 쏘나레로 할 것인지, 라우드네스 기능을 포기하고 칸타레로 할 것인지를 정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를 고려하여 칸타...
    Date2017.12.26 By서병익 Reply0 Views545 file
    Read More
  8. 507 네트워크 플레이어 M-1

    네트워크 플레이어 M-1입니다. 지난 일요일 출근하여 5대를 제작하였습니다만, 오늘 비로소 소개해 올립니다. 제품이 완성되면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사진을 찍지만, 일과 시간 중에는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지 않습니다. 글 쓰는 데 두어 시간 걸리다 보니, ...
    Date2017.12.22 By서병익 Reply0 Views343 file
    Read More
  9. 506 22W + 22W 300B -XLS 싱글앰프 토니타 플래티늄

    300B-XLS 진공관을 채용한 싱글 파워앰프 토니타입니다. 지난주 금요일(15일) 늦은 시간에 완성하였습니다. 토요일 출근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납품 일정을 고려하여 일요일(17일)에도 출근하여 에이징을 겸...
    Date2017.12.20 By서병익 Reply0 Views441 file
    Read More
  10. 505 44W + 44W KT120 파라싱글 파워앰프 아마레 플래티늄

    파라 싱글 파워앰프 아마레 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KT120을 싱글로 구동하는 파워앰프 크리스틴이 있지만, 조금 더 높은 출력이 필요한 경우를 위하여 KT120 두 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두 배의 출력을 얻도록 제작된 파워앰프입니다. 크리스틴 22W의 두 ...
    Date2017.12.15 By서병익 Reply0 Views344 file
    Read More
  11. 504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동시에 두 대를 제작하였습니다. 한 대는 어제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청음실에서 히어링테스트를 겸하여 듣고 있었으며, 한 대는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두 대를 동시에 제작하면 ...
    Date2017.12.08 By서병익 Reply0 Views487 file
    Read More
  12. 503 CR형 포노앰프를 실장한 프리앰프 쏘나레 플러스

    쏘나레 플러스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까지 작업하여 99% 완성하고 퇴근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완성한 후,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온종일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쏘나레 플러스는 마란츠 #7 프리를 사용하시는 분의 음질적 업그레이드...
    Date2017.11.29 By서병익 Reply0 Views533 file
    Read More
  13. 502 8W + 8W 2A3-40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새티늄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하여 동작하는 것만 확인하고 퇴근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온종일 히어링테스트를 하였습니다. 2A3의 전기적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플레이트 손실이 40W로 높아진 2A3-40 진공관을 채용...
    Date2017.11.24 By서병익 Reply2 Views442 file
    Read More
  14. 501 KT120 60W + 60W A급 푸시풀 앰프 파워앰프 칼리오페 플래티늄

    칼리오페 P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같은 구성의 인티앰프도 있지만, 오늘 제작한 칼리오페 플래티늄은 파워앰프입니다. 외형적으로는 우드형과 메탈형 두 가지가 준비되어 있지만, 회로 구성은 똑같습니다. 오늘 제작한 칼리오페 PE는 메탈형입니다. 가...
    Date2017.11.21 By서병익 Reply0 Views506 file
    Read More
  15. 500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

    플레누스 MK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플레누스 MK2는 아날로그 단을 특화한 진공관 DAC입니다. 아날로그 단에 진공관을 사용한 DAC도 이제 제법 많습니다. 그러나 진공관을 사용하였다 하여 모두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플레누스 MK2는 논클...
    Date2017.11.10 By서병익 Reply2 Views531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