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20207 댓글 2

EL34 싱글앰프 비올레타입니다.


sd20130109 003.jpg


올 들어 처음 제작한 앰프이군요..
지난 한해 저의 홈페이지를 찾아주셨던 많은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품질, 고음질 앰프를 제작한다는, 평소의 저의 생각을 실현하기 위하여 올 한 해도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sd20130109 001.jpg

비올레타는 더 높은 출력을 뽑을 수도 있지만, 되도록이면 음질이 좋아지는 쪽으로 설계하였습니다.

내용을 잘 모르시는 오디오 마니아분들은, 출력도 많이 뽑아내고 음질도 좋게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세상사 그렇듯이 모두 취하기는 어려운 것이 전자회로의 특징입니다.

그런 이유로 어느 정도의 출력을 얻으면서도 음질 또한, 만족하는 선에서 밸런스를 잡는 것이 설계의 주 목적이 되는 것입니다.  


sd20130109 002.jpg


그런데, 출력을 크게 얻으려면 가능한 B+전압을 높이고 전류는 가능한 줄이도록 설계하면 됩니다.
그러면 출력은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같은 A급 동작의 싱글앰프라도 설계자의 목적하는 바에 따라 각각 원하는 음으로 완성됩니다.

부하저항을 크게 늘리고 동작전류를 가능한 줄이며, B+전압을 가능한 높여 정격 플레이트 손실의 100%를 모두 사용하여 제작된 싱글앰프는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제작된 앰프는 음이 거칠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sd20130109 004.jpg


반면, 출력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EL34의 직선성이 가장 좋아지는 동작점을 설정하여 동작시키면 비록, 출력은 어느 정도 저하 하지만 좋은 음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치상 출력은 줄어들지만 실제로 들어보면 큰 차이를 느끼지는 못합니다.


sd20130109 005.jpg


EL34를 플레이트 손실 100%로 동작시킬 때 11W를 얻을 수 있고, 안정된 동작을 하는 합리적인 설계로 86%에서 동작시키면 8W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때의 출력을 전압으로 환산하면
11W는 약 9.4V  
8W는 8V로 1.4V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최대치이므로 실제 청감상 출력의 차이를 쉽게 느끼지는 못하지만, 출력만 높여놓은 조건보다는 더 좋은 음질로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플레이트 손실 100%로 동작하는 진공관과 86%로 동작하는 진공관의 수명은 크게 달라집니다.


sd20130109 006.jpg


여러분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설계된 앰프를 선택하시겠습니까..!

처음 오디오를 취미로 시작하게 되면, 8W보다는 11W가 더 고급인 것같이 보이고 당연히 소리도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정도면, 수없이 반복되는 혼란의 시절을 보낸 후이기도 할 것입니다.



sd20130109 007.jpg



진공관 앰프를 설계해 본 분이라면 잘 알겠지만, 가장 음질이 좋아지는 부분은 가장 출력이 높은 지점이 아닙니다.
한편, 가능한 출력을 높여야 판매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부분에서 설계자는 깊은 고민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음질을 목표로 할 것인가!
출력을 목표로 할 것인가!

그 고민에 답을 얻은 결과 저는 음질을 선택하였습니다.
따라서 비슷한 조건이라면 제가 제작한 앰프의 출력이 작습니다.

하지만 스피커 구동력마저 포기하지는 않았습니다.
작은 출력으로도 높은 스피커 구동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sd20130109 008.jpg



일본에 있는 진공관 앰프 제작사인 우에스기도 저와 같은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곳에서 제작된 앰프도 한결같이 출력이 작습니다.

출력보다는 음질을 선택한 경우지만,  좋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듯 전자회로에서도 세상사와 비슷하여, 하나를 얻기 위해서는 하나를 버려야 하나 봅니다.



비올레타의 후면입니다.
sd20130109 009.jpg



좌측에 4계통의 RCA단자가 있습니다.

중앙으로 4옴과 8옴을 지원하는 스피커 바인딩 포스트 단자가 있습니다.


sd20130109 009.jpg


우측으로는 AC인렛이 있으며, 내부에는 5A 휴즈가 들어 있습니다.


sd20130109 011.jpg




비올레타의 전기적 스펙입니다.
형식: 울트라리니어 접속에 의한 EL34싱글 인티앰프
1. 출력: 8W + 8W
2. 이득: : 180배
-6dB 아테네이타 최소시: 90배
3. 주파수 특성: -3dB   8W 출력시 기준
상한 주파수:  36.47KHz
하한 주파수:  10Hz
4. 입력: 언밸런스 4계통
5. 출력: 4옴, 8옴
6. 사용 진공관: 12AX7 *1   12AY7  * 2     EL34 * 2
7. 크기: W400  H195  D300
8. 중량: 16kg



비올레타의 전원회로는 정전압 전원회로를 실장하였습니다.
해외에서 수입되는 수 천만 원대의 진공관 앰프에도 정전압 전원회로가 실장되었다는 말을 들어보진 못하였습니다만, 고품격 비올레타에서는 채택하였습니다.

가격하고는 상관없이 더 고급품으로 제작하고 싶은 저의 마음을 담아 실장하게 되었습니다.

리플제거에 높은 능력을 보여주는 전원회로의 도움으로 매우 높은 S/N비를 실현하였습니다.

EL34 싱글앰프에는 고감도의 풀레인지 스피커를 매칭하여 듣는 경우도 많기에 높은 S/N비는 큰 덕목중 하나일 것입니다.



sd20130109 012.jpg



비올레타는 진공관 고유의 고조파가 감쇠되지 않을 정도의 적은 부귀환으로 인하여 배음이 살아 있습니다.
풍성한 배음은 지극히 진공관적인 음질로 되어 유려하게 들립니다.

스피커 구동력을 향상시키고자 많은 부귀환을 적용한 앰프에서는 고조파가 감쇠되어
배음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분명, 진공관 앰프를 사용하지만 귀에 들리는 소리는 반도체앰프처럼 들리는 진공관 앰프는 의외로 많이 있습니다.

스피커의 구동력을 높이는데 부귀환을 늘리는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지만,  쉽게 해결하려고 부귀환을 크게 늘렸기에 나타난 현상입니다.



sd20130109 013.jpg



비올레타의 음질은 나긋나긋하며 온화합니다.
배음이 풍성하여 공간을 가득 채우는 유려한 음질입니다.

작은 출력에도 불구하고 스피커 구동력은 탁월합니다. 이것이 비올레타를 사용하시는 분이 놀라워하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단지, 부귀환을 크게 늘려 얻는 스피커 구동력하고는 근본적으로 다르게 들립니다.
기술투자와 물량투자로 이루어낸 결과입니다.


비올레타의 밑면입니다.


sd20130109 014.jpg



고맙습니다.


  1. 244 새로운 스피커 베라복스MK2입니다.

    새로운 스피커입니다. 설 연휴에 제작하였습니다. 나름대로 연휴를 즐기면서도 틈틈이 제작하였습니다. 매트릭스 801-3 옆에 있는 스피커입니다. 구성은 지난번 청음실에서 사용하던 스피커와 같지만, 전면폭을 500mm로 줄였고 높이도 조금 줄였습니다. 이제 ...
    Date2013.02.14 By서병익 Reply7 Views6361 file
    Read More
  2. 243 ROCHA 로샤

    CR형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여느집도 그렇겠지만, 오늘 장보러 다녀왔습니다. 멀리 나가있는 막내도 집에 왔으니 모처럼 온 식구가 모여 필요한 음식재료들을 구입하며 즐거운 장보기를 하였습니다. 역시 여식들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잘 살립니다. 서병익오...
    Date2013.02.09 By서병익 Reply2 Views18936 file
    Read More
  3. 242 진공관 DAC 플레누스

    플레누스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하였습니다. 오늘부터 에이징을 겸하여 청음실에서 듣고 있습니다. 서병익 발명 특허회로로 제작되는 플레누스는 진공관 소자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음질적 특성들을, 메마르게 들릴 수도 있는 디지탈음원기기와 조합하...
    Date2013.02.01 By서병익 Reply2 Views6006 file
    Read More
  4. 241 슬림형 포노앰프 로샤

    CR형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로샤에 장착되는 전면판넬을 오늘 받았습니다. 조각집에서 이번주부터 제가 의뢰한 작업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보내온 첫 물건이 로샤에 장착되는 전면판넬입니다. 다른 모델들도 작업하는 대로 순차 보내준다하니 곧 정상적...
    Date2013.01.28 By서병익 Reply0 Views5474 file
    Read More
  5. 240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SE2

    델리카투스 SE2입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델리카투스 SE가 2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2009년 6월 첫 출시된 이후 꾸준히 업그레이드되면서 스페셜 버전까지 출시되었지만, 그 두 번째 SE버전을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EL84를 A급으로 구동하여 10W를 뽑아...
    Date2013.01.15 By서병익 Reply0 Views19595 file
    Read More
  6. 239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EL34 싱글앰프 비올레타입니다. 올 들어 처음 제작한 앰프이군요.. 지난 한해 저의 홈페이지를 찾아주셨던 많은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품질, 고음질 앰프를 제작한다는, 평소의 저의 생각을 실현하기 위하여 올 한 해...
    Date2013.01.09 By서병익 Reply2 Views20207 file
    Read More
  7. 238 메탈형 유피테르 2A3 싱글 파워앰프입니다.

    유피테르 2A3 싱글 파워앰프입니다. 지난 금요일 완성하였습니다만, 아노다이징업체에 보낼 때 밑판을 누락하여 오늘 수령하였습니다. 그동안 밑판 없이 에이징 겸 청음을 하고 있었으나 오늘 제대로 완성하여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오디오마니아에게는 나름대...
    Date2012.12.24 By서병익 Reply1 Views6236 file
    Read More
  8. 237 필드 스피커 전원장치입니다.

    필드 스피커 전원장치입니다. 수 일 전에 제작하였던 것과 유사한 제품입니다. 7V 1.5A를 지원하며 같은 규격의 7V가 2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이 2개의 셋트로 되어 있습니다. 비슷한 구조로 연거푸 제작하다 보니 필드 스피커용 전원장치에 대하여 충분히...
    Date2012.12.21 By서병익 Reply0 Views6009 file
    Read More
  9. 236 EL34 인티앰프 올로로사

    올로로사입니다. EL34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입니다. 지난 일요일 완성하여 청음겸 에이징을 하고 있었으나, 명판이 오늘 입고되어 부지런히 부착한 후 사진을 찍었습니다. 올로로사를 수령하실 분이 잠시후 도착하신다는 통화를 한 후 조금 서둘러 찍었습...
    Date2012.12.20 By서병익 Reply0 Views20864 file
    Read More
  10. 235 필드 스피커 전원장치입니다.

    필드 스피커 전원입니다. 어제 완성되었습니다. 얼마 전 제작하였던 전원의 용량을 늘려 2조의 필드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과거 흔히 사용하던 고전압 저전류의 필드 스피커 전원장치는 간단하게 제작할 수도 있지만, 저전압 대전류로 구...
    Date2012.12.15 By서병익 Reply1 Views7747 file
    Read More
  11. 234 프리앰프 벨루스입니다.

    슬림형 프리앰프 벨루스(BELLUS)입니다. EL34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를 제작하던 중, 중요부품의 입고가 지연되어 발생한 시간을 이용하여 그동안 정리하지 못하고 있던 벨루스의 튜닝을 완료하였습니다. 지난번 제작하여 다양한 히어링 테스트를 하고 여러...
    Date2012.12.14 By서병익 Reply0 Views5684 file
    Read More
  12. 233 CR형 포노앰프 "ROCHA" 로샤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어제 늦은 오후에 완성하였습니다. 오늘 전국에 눈이 온다는 일기예보를 보았는데, 지금 청주도 함박눈이 많이 내립니다. 마음은 공원으로 나가 멋진 사진을 찍어 보고 싶었는데, 몸은 귀찮다는 생각이 듭니다... ^^ 오늘은 로샤의 에이...
    Date2012.12.05 By서병익 Reply0 Views19916 file
    Read More
  13. 232 포노앰프 TCR mk2

    TCR mk2입니다. 요즘 일찍 찾아온 추위로 감기 걸리신 분들이 많다고 하는데, 건강히 지내시고 계시는지요? 저의 홈페이지를 찾아주시는 모든 분들이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포노앰프 TCR입니다. 오늘 완성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그동안에 제작되던 샴...
    Date2012.12.01 By서병익 Reply3 Views6175 file
    Read More
  14. 231 DAC 플레누스 PLENUS

    진공관 DAC 플레누스입니다. 어제 완성되었습니다. 에이징을 겸하여 청음실에서 듣고 있습니다. 오늘은 플레누스의 디지탈 필타에 관련된 회로적인 부분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조금 예민하신 분들은, CD음을 오래 듣고 있으면 머리가 아프다는 말씀을 하...
    Date2012.11.27 By서병익 Reply0 Views6427 file
    Read More
  15. 230 필드 스피커 파워 서플라이입니다.

    필드 스피커 전원장치입니다. 필드 스피커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전원장치가 있어야 하는데, 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전원장치입니다. 필드 스피커를 위하여 전원장치를 제작할 때 어느 방식을 사용해야 할 것인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필드 스피커가 ...
    Date2012.11.21 By서병익 Reply0 Views872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