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20210325오르페오 MK2 011.jpg

 

 

어제는 최** 선생님의 오르페오를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지금의 오르페오가 존재할 수 있게 

헤드앰프를 주문해 주시고 "ORPEO" 라는 모델명까지 작명해 주신 분입니다.

 

처음 오르페오를 주문받은 후 회로 설계에 많은 정성을 쏟았습니다.

헤드앰프의 음질적 장점을 잘 알고 계신 분이었기에 회로 설계에 정성을 다하였습니다.  

 

더욱이 이미 진공관 헤드앰프를 사용하고 계시는 중이니 기 제품보다는 음질이 좋아야 했으니까요... 

 

 

그렇게 제작된 오르페오가 완성되어 찾아주셨을 때 음질이 마음에 드신다고 무척 좋아하셨지만,

저는 마음에 꼭 들지는 않았습니다.

 

 

20210325오르페오 MK2 002.jpg

 

 

비록 작지만, 바닥에 깔리는 험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분명, 이상적인 실장으로 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였습니다만, 그렇지 않았습니다.

별도의 전원 장치를 만든다는 것 자체가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한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처음부터 그렇게 하지 못하였습니다. 

 

오르페오를 찾아가시며 헤드앰프에서 이 정도면 험 없는 거라고 하셨지만,

그래도 저의 마음이 편하지 않은 것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이런 저의 마음이 원동력이 되어 외장 전원장치로 구성된 오르페오 MK2를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오르페오의 회로설계가 잘 못 된 것은 아니고 전원 트랜스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었기에 외장 전원 장치를 만들어 구동하면 깔끔하게 해결될 내용이었습니다.

 

이렇게 완성된 오르페오 MK2는 이제 제 마음에 들 정도로 완벽합니다.

 

조건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음압감도 92dB의 스피커가 있는 저의 청음실에서 헤드앰프로 음악을 들을 때 험을 비롯하여 화이트 노이즈도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 

 

오늘 완성된 오르페오 MK2를 찾으러 오시어 외장 전원 장치가 이쁘다고 좋아하셨고, 스피커에 귀를 기울여 험의 정도를 확인하시고도 흡족해하셨습니다.

 

외장 전원 장치는 단지, 전원 트랜스만 떼어 낸 것이 아니라 MOS FET로 구성된 리플필터를 내장한 전원장치입니다.

FET로 구성된 리플필터의 능력은 완벽하여 이곳에서 출력되는 직류는 오실로 스코프로 찍어 보아도 배터리에 버금가는 정도입니다.

 

그리고 오르페오 본체에서도 한 번 더 MOS FET를 통한 전원부를 거치는데,

이곳은 정전압으로 하였습니다.

 

비교적 낮은 레벨을 취급하는 기기이다 보니 엄중하게 전원부를 구성하였습니다.

 

더욱이 오르페오는 무귀환 증폭부를 채용한 기기여서 전원의 중요성이 매우 큽니다.

 

 

20210325오르페오 MK2 003.jpg

 

 

통상적인 경우라면 FET 리플필터 전원부만으로도 충분한 상태이겠지만,

포노앰프와 헤드앰프의 이득만 합쳐도 약 10,000배의 이득입니다.

 

다시 프리앰프 이득 약 10배,

파워앰프의 이득 약 20배를 합치면 총 2,000,000배 증폭입니다...

 

MC 카트리지에서 출력된 미약한 신호 전압이 약 2,000,000배로 증폭되어 스피커로 나오는 겁니다.....

 

물론, 이것은 볼륨 최대 상태인 것을 상정한 것이니 통상적인 음량 크기에서 이런 증폭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그래도 어마어마한 증폭이지 않나요.... 

 

 

20210325오르페오 MK2 009.jpg

 

 

기존에는 로드 임피던스가 33, 47, 100, 500, 1000Ω이었는데,

MK2로 업그레이드하면서 250Ω을 추가하였습니다.

 

그런데,

분명, 청음실에서 운용할 때 전면패널이 깨끗해 보였는데, 사진으로 보니 무언가 많이 묻었습니다....

내일 여쭈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오르페오 MK2 찾으러 오시어 같이 보았을 때도 이렇게 뿌연 것을 알지 못하였습니다.

스트로보 빛이 강하여 그렇게 보이는 것인지..... 꼭 확인해 보아야 할 내용입니다.

 

 

업그레이드된 오르페오 MK2의 내부입니다. 

20210325오르페오 MK2 013.jpg

 

 22일 소개해 드린 제품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회로 부분이 크게 달라진 것이 없어서입니다.

오르페오 종단 회로 부분을 다듬어 음의 질감을 조금 더 높였습니다.

 

하단에 있는 회로부가 MOS FET로 구동되는 정전압 파트입니다.

2단계로 이어지는 전원회로를 통해 배터리로 구동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하판을 체결한 사진입니다.

20210325오르페오 MK2 015.jpg

 

물리적 진동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음질을 향상하는 받침대를 채용하였습니다.

 

서병익오디오의 모든 제품에 적용하고 있지만,

특히, 헤드앰프의 경우 그 효과는 대단합니다.

45mm 통 알루미늄을 절삭 가공하고 실리콘 고무를 덧대어 만들었습니다. 

 

 

20210325오르페오 MK2 012.jpg

 

우측에 외장 전원장치와 결합하는 컨넥타 단자가 보입니다. 

 

이번에는 연결케이블을 1.5m로 제작하였습니다.

 

 

오르페오 MK2로 업그레이드를 하게 된 동기와 성과를 소개하였습니다.

오늘 납품되었습니다.

 

 

20210325오르페오 MK2 005.jpg

 

고맙습니다.


  1. 721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를 MK2로 업그레이드하기

    어제는 최** 선생님의 오르페오를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지금의 오르페오가 존재할 수 있게 헤드앰프를 주문해 주시고 "ORPEO" 라는 모델명까지 작명해 주신 분입니다. 처음 오르페오를 주문받은 후 회로 설계에 많은 정성을 쏟았습니다. 헤드앰프의 음질적 ...
    Date2021.03.25 By서병익 Reply0 Views116 file
    Read More
  2. 720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 MK2

    헤드앰프 오르페오 MK2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두 대를 동시에 시작하였으나 오늘은 한 대만 소개합니다. 전면판을 수정하여 다시 작업하느라 같이 진행할 수 없어서입니다. 지난 토요일 완성하여 청음실에서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는...
    Date2021.03.22 By서병익 Reply0 Views172 file
    Read More
  3. 719 2A3-40/ 300B 겸용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MK2

    새티늄 MK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오래전에 제작하기 시작하였지만, 후면판의 품절로 인해 중단된 상태였습니다. 그동안에 델리카투스 GR도 만들고, TCR 플래티늄 2대도 제작하였습니다. 품절이었던 후면판이 입고되어 중단되어 있던 새티늄 2대를 완성...
    Date2021.03.12 By서병익 Reply0 Views326 file
    Read More
  4. 718 가변 E, Q 기능을 실장한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

    TCR 플래티늄 2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오늘 오전에 완성한 후 번갈아 가며 히어링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동시에 두 대를 제작하게 되었는데, 제작 기간이 많이 단축되었습니다. TCR 플래티늄은 가변 E, Q 기능을 실...
    Date2021.03.09 By서병익 Reply0 Views241 file
    Read More
  5. 717 A급 10W + 10W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EL84는 소형 5극 출력관으로 큰 출력을 뽑을 수는 없으나 감칠맛 나는 음색으로 인기 있는 관 중의 하나입니다. 싱글로 구성할 경우 약 5W 정도의 출력이 나와 풀레인지 스피커 한 개로 구성되는 라디오나 장전축에...
    Date2021.03.02 By서병익 Reply0 Views311 file
    Read More
  6. 716 EL34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 XE

    올로로사 XE입니다. 어제 늦은시간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만을 확인하고 퇴근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온종일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올로로사는 5극 출력관 EL34를 채용한 푸시풀 인티앰프입니다. EL34와 같은 다극관은 스크린 그리드를...
    Date2021.02.24 By서병익 Reply0 Views402 file
    Read More
  7. 715 2웨이 채널 디바이더를 내장한 프리앰프 베리타스 SE

    2웨이 채널디바이더를 내장한 프리앰프 베리타스 S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오디오를 오래 즐기다 보면 멀티앰핑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그러나 멀티 앰핑용으로 제작된 스피커를 찾기 어렵고 채널 디바이더를 마련해야 하는 등... 선행되어야 하는 조건...
    Date2021.02.20 By서병익 Reply0 Views382 file
    Read More
  8. 714 2웨이 스피커 SP-200 MK2

    2웨이 스피커 SP-200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서병익오디오는 총 3종류의 스피커를 발표하였습니다. 그 중 오늘 소개하는 SP-200 MK2는 8인치 우퍼를 채용한 스피커입니다. 오디오를 처음 시작하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지만, 그 중 대표적인 시행착...
    Date2021.02.17 By서병익 Reply0 Views360 file
    Read More
  9. 713 KT120 모노블록 파워앰프 포르투스 XE

    KT120 모노블록 파워앰프 포르투스 XE입니다. 지난 5일 완성하였는데, 오늘에야 소개해 올립니다. 이번에 제작한 포르투스 XE는 파라렐 푸시풀로 제작하였습니다. 초기 포르투스에는 디퍼런셜 방식과 푸시풀 방식 모두 동작하도록 구성한 후에 전환 스위치로 ...
    Date2021.02.11 By서병익 Reply0 Views244 file
    Read More
  10. 712 8W + 8W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SE2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SE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EL34는 5극관이어서 스크린 그리드를 어떻게 결선하느냐.... 에 따라 5극관으로도 또는 3극관으로도 동작할 수 있습니다. EL34를 처음 발표하였던 텔레풍켄의 데이터시트를 보면 5극관 모드로 구...
    Date2021.02.03 By서병익 Reply0 Views343 file
    Read More
  11. 711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입니다. 고급 하이엔드 앰프에서는 리모컨 되는 앰프가 없는데, 그 이유는 리모컨 기능을 실장 하면 음질이 열화되기에 그렇습니다. 리모컨으로 볼륨을 조정하려면 회로 구성상 OP AMP를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OP AMP는 연산용 ...
    Date2021.01.29 By서병익 Reply0 Views269 file
    Read More
  12. 710 EL34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 XE

    올로로사 XE입니다. 전면판의 미입고로 인해 완성은 못 하고 있었지만, 지난 19일 소리가 날 정도로는 제작되어 청음실에서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하고 있었습니다. 어제 품절이었던 전면판이 입고되어 체결함으로써 완성되었습니다. 에이징을 겸한 ...
    Date2021.01.23 By서병익 Reply0 Views295 file
    Read More
  13. 709 A급 10W + 10W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올로로사 XE를 제작하던 중 전면판의 품절로 잠시 중단된 틈에 델리카투스 GE를 제작하였습니다. 청음실용입니다. 청음실에 있던 델리카투스 GE를 판매하고 난 후, 델리카투스 GE를 청음 하실 수 없었으나 이제 청음실을 찾아주시면 청음...
    Date2021.01.21 By서병익 Reply0 Views337 file
    Read More
  14. 708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제작은 거의 되어있었는데, 전면판의 미입고로 사진을 찍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전면판이 입고되어 체결함으로써 완성되었습니다. 흑색 패널의 RCV는 주문에 의해 제작되었고 실버 색상의 RCV는 ...
    Date2021.01.14 By서병익 Reply2 Views265 file
    Read More
  15. 707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 MK2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헤드앰프 오르페오가 MK2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개선된 내용은 전원부를 분리하여 미세하게나마 남아있던 험을 모두 제거하였습니다. 헤드앰프는 포노앰프 앞에 위치하게 되는데, 포노앰프의 이득은 통상 200배 정도 됩니다. ...
    Date2021.01.08 By서병익 Reply0 Views256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