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20160918벨루스SE 043.jpg


 

 

 

명절 즐거이 지내셨는지요..?

즐거우신 여행이었고, 편안하신 주말이셨기를 기원합니다.

 

 

벨루스 SE입니다.

 

 

수 일전 제작하였는데,

명판이 입고되지 않아 소개해 드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지난번에 사용했던 벨루스 명판은 몇 개 여유가 있어 부착할 수 있었지만,

이번에 제작한 벨루스는 회로를 업그레이드하여 제작하였고,

벨루스 Special Edition으로 명명하였으므로 새로운 명판이 필요하였습니다.

 

 

 

 

20160918벨루스SE 017.jpg

 

 

 

 

회로 업그레이드 내용은

1. 라우드네스 최대 시에 저음 대역에서 2.5dB 더 상승하도록 하였습니다.  

2. 라인단을 새로 설계하여 조금 더 나긋나긋하고 유려한 음질이 되도록 다듬었습니다.

전단이 무귀환으로 동작하는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3. 라인단의 동작 전류를 늘려 출력 임피던스를 더욱 낮추었습니다.

이로 인해 저음에 힘이 더 붙도록 하였습니다.

 

 


좋은 시스템을 갖춰 놓았는데도, 어딘지 저음이 조금 부족하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비교적 작은 음량으로 들을 때 그런 것인데,

우리 주거환경을 고려해 볼 때 마음 놓고 볼륨을 올리기도 쉽지 않으니 적절한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라우드네스 콘트롤기능입니다.

 

 

 

20160918벨루스SE 021.jpg


 

 

사람의 청각기능은 음량이 작아짐에 따라 인지 감도가 저하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현상을 연구하여 그래프로 완성한 것이 플레처 먼슨 곡선입니다. 

 

 

플레처 먼슨 곡선을 기초로 하여 전기적 보정하는 기능을 라우드네스 콘트롤이라고 합니다.

 

 

벨루스에는 본격적 라우드네스 콘트롤 기능을 실장 하였습니다.

가격적으로도 수천 만 원대의 프리앰프에서도 채택하기 어려운, 호화스러운 기능입니다. 

 

 

흔히 라우드네스 라고 하면 과거 인켈이나 그 밖의 염가형 프리앰프에 보았던 라우드네스 기능을 생각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20160918벨루스SE 024.jpg

 

 

 

 

제대로 된 라우드네스 콘트롤 기능을 수행하려면,

증폭하는 능동소자가 필요해지고, 회로도 복잡해지기에 과거에도 고가의 일부 프리앰프에서만 채택되었습니다.

 

 

벨루스에 실장 된 라우드네스 회로는 CR 감쇠형 라우드네스 방식을 사용하였고, 볼륨과 분리하여 사용하는 분의 청감 능력에 대응하는 완벽한 라우드네스 보정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CR 감쇠 방식은 과도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손실이 발생하므로 손실분만큼 미리 증폭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저음 대역에서 28dB의 상승효과를 얻으려면 약 35dB의 손실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라우드네스 증폭단에서의 이득을 35dB로 하였으며,

12AX7 두 개를 사용한 무귀환 증폭기로 구성하였습니다.

 

 

라우드네스 볼륨은 음량 조절용 볼륨과 분리하였습니다.

 

라우드네스 볼륨이 최소(MIN)위치에 있으면, 라우드네스 기능은 전혀 동작하지 않습니다.

 

 

라우드네스 콘트롤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A형 커브 특성을 갖는 라우드네스 볼륨의 특성에 따라 저음과 고음이 강조되기 시작합니다. 

 

 

 

 

20160918벨루스SE 028.jpg


 

 

 

라우드네스 사용법은

먼저 볼륨으로 원하는 음량으로 설정한 후,

라우드네스 볼륨으로 청감상 평탄한 특성을 찾으면 됩니다.

 

이때 사용하는 분의 청감 특성에 맞춘 저음과 고음의 밸런스이기에 자연스럽게 들린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음량이 클 경우에는 라우드네스 볼륨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음량이 아주 크다면 청감상 저음과 고음이 이미 잘 들리고 있을 테니까요........

 

 

우리 가정은 여러 사정상 저음이 상쇄되기 쉬운 환경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은 우퍼를 사용한 스피커 시스템일 경우에도 저음이 부족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이때는 평상시에도 라우드네스 볼륨을 10시나, 12시 방향에 놓고 사용해 보실 것을 권유합니다.

 

 

라우드네스 볼륨이 12시 위치에 있어도 실제 강조되는 양은 전체의 1/10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A형 커브의 볼륨이 기계적 중점일 때 전체 저항치의 1/10을 유지하게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저음에서 약 2~ 3dB 정도만 강조되어도, 자연스럽게 만성적 저음 부족을 해소합니다.

 

 

 

20160918벨루스SE 026.jpg


 

 

위 사진상 우측이 음량 조절용 볼륨이고 두 번째 볼륨이 라우드네스 볼륨입니다.

 

 

 

벨루스 SE의 전기적 제원입니다.

형식: 라우드네스 기능을 실장한 무귀환 프리앰프

1. 이득: 12배
2. 주파수특성: 출력 5V시 -3dB
고역 상한 주파수: 60.23kHz
저역 하한 주파수: 4.0Hz
3. 라우드네스 콘트롤 특성

20Hz: +28dB

20kHz: +9dB

4. 사용 진공관: 12AX7 × 2개,   ECC 82/ 12AU7 × 2개, 6CA4 × 1개
5. 입력: 언밸런스 4 계통

6. 출력: 언밸런스 2 계통

7. 크기: W390 D360(단자류 포함) H93mm

 

 

 

 

  

 

 

벨루스 SE의 후면입니다.

20160918벨루스SE 036.jpg


 

좌측으로 4 계통의 RCA 입력 단자가 있으며,

중앙에 2조의 RCA 출력 단자가 있습니다.

 

이 출력 단자는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깊은 밤 조용히 음악을 듣고 싶으실 때 무선 헤드폰 단자용으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20160918벨루스SE 032.jpg


 

 

벨루스 SE의 음질을 말씀드리면

파워앰프 드라이브 능력이 증가하였고, 더욱 온화하고 나긋나긋하여 진공관 프리앰프에서 기대하시는 음질을 만족할 정도로 들려줍니다.

 

무귀환으로 구성되어 진공관 고유의 고조파가 감쇠되지 않으므로, 유려한 배음이 공간을 가득 채웁니다.  

 

 

오** 선생님의 벨루스 SE입니다.

 

먼저 주문하신 쎄레노와 함께 에이징 잘 되어 있습니다.

 

 

9월 19일 이후 언제든지 납품할 수 있습니다.

 

 

 

20160918벨루스SE 038.jpg


 

고맙습니다.


  1. 439 EL34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

    겨울을 재촉하는 듯 온종일 찬비가 내리는군요.... 이제 가을인가 했더니... 어느새 겨울이 성큼 다가와 있습니다.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어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올로로사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올로로사는 출력 32...
    Date2016.11.30 By서병익 Reply0 Views1244 file
    Read More
  2. 438 가변 E, Q 기능을 실장한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

    TCR PE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만 확인하고 퇴근하고, 오늘 출근하여 온종일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TCR PE는 모노 음반을 즐겨 들으시는 분을 위한 포노앰프입니다. 다양한 EQ 커브를 지원하며, 당연히 RIAA 커브도 지원합니다. ...
    Date2016.11.25 By서병익 Reply0 Views582 file
    Read More
  3. 437 KT120 A급 푸시풀 인티앰프 칼리오페 PE

    인티앰프 칼리오페 플래티늄입니다. 칼리오페 PE는 KT120을 A급으로 구동하는 푸시풀 인티앰프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하여 전기적 스펙만 확인하고 퇴근하였고, 오늘 온종일 히어링테스트를 겸하여 에이징을 하였습니다. KT120은 플레이트 손실 60W로 ...
    Date2016.11.15 By서병익 Reply0 Views793 file
    Read More
  4. 436 진공관 D/A 컨버터 플레누스 MK2입니다.

    플레누스 MK2입니다. 지난 토요일 완성하였습니다만, 오늘 비로소 소개해 올립니다. 요즘은 많은 분이 CD나 음원 파일을 이용하여 음악을 듣습니다. 그러다 보니 DAC의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나 봅니다. DAC는 구성상 디지털 부와 아날로그 부로 ...
    Date2016.11.08 By서병익 Reply0 Views613 file
    Read More
  5. 435 차폐 트랜스 ST-2000입니다.

    차폐 트랜스 ST-2000입니다. D/A 컨버터 플레누스 MK2를 제작 중에 후면판넬이 미입고되어 잠시 로스타임이 발생하였습니다. 플레누스 후면판은 금요일(4일) 입고된다고 하여 미리 준비해 놓고 있던 차폐 트랜스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플레누스를 먼저 제작...
    Date2016.11.04 By서병익 Reply0 Views825 file
    Read More
  6. 434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 입니다.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입니다. 어제 퇴근 무렵 완성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여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히어링 테스트를 겸하여 온종일 칸타레 SE와 먼저 제작한 TCR PE를 통하여 LP를 들었습니다. 덕분에 30분에 한 번씩 푸시업을 하였습니다. 얼마 ...
    Date2016.11.01 By서병익 Reply0 Views716 file
    Read More
  7. 433 가변 E, Q 기능을 실장한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

    가변형 포노 이퀄라이저를 채용한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입니다. 다양한 포노 이퀄라이저 커브를 가진 포노앰프가 필요한 이유는 SP 음반 초창기의 시대적 상황에 있습니다. 많은 음반 제조사들이 각자가 정한 기준으로 음반을 제작하였기 때문입니다. 음반에 ...
    Date2016.10.27 By서병익 Reply0 Views661 file
    Read More
  8. 432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

    어제 내린 비로 가을이 더욱 깊어졌나 봅니다. 오늘같이 고즈넉한 날에는 이브 몽탕의 고엽이 더 멋지게 들립니다. 특히, 바이올린 연주로 듣는 고엽은 가슴을 여미는 가을의 정취가 물씬 풍깁니다. DAC 플레누스 MK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요즘은 디지...
    Date2016.10.18 By서병익 Reply0 Views871 file
    Read More
  9. 431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모델명을 쏘나레로 하는 프리앰프가 몇 가지의 기능을 달리하는 모델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 쏘나레 콘솔릿 SE 쏘나레 프리앰프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우드형 프리앰프입니다. 라우드네스 기능이 있으며, 톤 ...
    Date2016.10.12 By서병익 Reply0 Views702 file
    Read More
  10. 430 CR형 이퀄라이저를 실장한 포노앰프 "로샤" ROCHA

    CR형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이번에는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두 대를 동시에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수일 전 모두 완성하였으나, 전면 판 명판이 한 개 부족하여 소개해 드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명판은 아직 입고되지 않았으나, 두 대 중 한 대를...
    Date2016.10.06 By서병익 Reply0 Views492 file
    Read More
  11. 429 쏘나레 콘솔릿 메탈 버전입니다.

    지난밤에 비가 내려 그런지, 오늘은 계절의 변화가 피부로 느껴지더군요....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어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쏘나레 콘솔릿 메탈형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지난번 푼타 뮤지카 SE3를 제작할 때 자재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잠시...
    Date2016.10.01 By서병익 Reply0 Views769 file
    Read More
  12. 428 10W + 10W 2A3 디퍼렌셜 파워앰프 푼타 뮤지카 SE3

    2A3를 디퍼렌셜로 구동하는 푼타 뮤지카 SE3입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푼타 뮤지카 SE2가 SE3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푼타 뮤지카는 2A3의 음색을 좋아하시지만, 출력이 아쉬웠던 분을 위하여 출시되었습니다. 300B와 쌍벽을 이루...
    Date2016.09.28 By서병익 Reply0 Views979 file
    Read More
  13. 427 라우드네스 기능을 실장한 프리앰프 벨루스 SE

    명절 즐거이 지내셨는지요..? 즐거우신 여행이었고, 편안하신 주말이셨기를 기원합니다. 벨루스 SE입니다. 수 일전 제작하였는데, 명판이 입고되지 않아 소개해 드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지난번에 사용했던 벨루스 명판은 몇 개 여유가 있어 부착할 수 있었...
    Date2016.09.18 By서병익 Reply0 Views1037 file
    Read More
  14. 426 32W + 32W EL34 푸시풀 파워앰프 쎄레노 "SERENO"

    지금쯤.... 고향 가시는 길이거나 이미 도착하신 분도 계시겠지요...!! 아무쪼록 마음 편히 즐기실 수 있는 명절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당분간 날씨도 쾌청하다 하니 다녀오시는 날까지 편안하실 것 같아 다행입니다. 32W + 32W 출력의 EL34 푸시풀 파워앰프 쎄...
    Date2016.09.14 By서병익 Reply0 Views905 file
    Read More
  15. 425 22W + 22W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 "CHRISTINE"

    KT120을 싱글로 구동한 출력 22W + 22W의 크리스틴 인티앰프 우드형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그동안 제작해 오던 크리스틴하고는 구성이 조금 다릅니다. 6SN7을 초단 및 드라이브 관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진공관의 제작 기술이 숙성 단계에 접어들 무렵인...
    Date2016.09.08 By서병익 Reply0 Views912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