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766 댓글 2

202010825비올레타 XE 012.jpg

 

 

비올레타 X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2012년 비올레타를 출시한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제작되고 있습니다.

싱글앰프의 음색을 좋아하시는 분이 많으시어 10년이 넘도록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 차례 초단 및 드라이브단의 회로가 업그레이드되면서 음질은 끊임없이 향상되었지만,

출력만큼은 변함없이 8W+8W입니다.

 

음압감도만 어느 정도 받쳐 준다면 8W + 8W의 진공관 앰프의 출력이 결코 작은 것은 아니지만,

근래의 스피커들의 음압감도가 현저히 낮아지면서 비올레타의 8W + 8W 출력을 아쉬워하시는 분이 많아지셨습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04.jpg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비올레타의 음질과 음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출력을 높인 앰프가 필요해졌습니다.

출력만이 목표라면 30W + 30W의 푸시풀 앰프로 해결되겠지만,

이미 싱글 앰프 특유의 음색적 매력에 심취하신 분이라면, 반드시 싱글 앰프여야 하기에 16W + 16W 출력의 비올레타 XE를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비올레타는 이미 10년의 세월로 음질과 음색을 검증받았기에 초단 및 드라이브단 회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두 배의 출력을 뽑아낼 수 있는 파라렐(병렬) 방식으로 하였습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05.jpg

 

 

이렇게 완성된 비올레타 XE는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저음의 윤곽이 더욱 명료해지고 전체적으로 살집이 붙어 두툼한 음색이 돋보입니다. 

 

비올레타 XE에서도 프리부가 실장 되었습니다.

근래 수입되는 양산형 인티앰프들이 파워앰프의 이득을 크게 올린 후 프리부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제작하여도 소리 나는 데는 문제없지만, 밀어주는 힘이 부족하여 저음이 풀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아래 사진의 중앙에 있는 소형 쌍 3극 전압 증폭관 12AY7이 프리부를 담당합니다.

하나의 쌍 3극관 12AY7을 L/R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양옆에 있는 쌍 3극 전압 증폭관은 드라이브 관으로 사용하는 12AY7입니다.

 

이곳에서 출력관 EL34를 드라이브하는 전압을 증폭하는 곳입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10.jpg

 

 

 

왼쪽에 있는 노브는 밸런스 컨트롤입니다.

밀봉형의 토코스 볼륨을 사용하고 있으며, 묵직한 감촉으로 고급스러운 느낌이 듭니다.

 

밸런스 컨트롤 기능은 음상이 중앙에 맞지 않을 때 적절히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진공관의 에미션 감퇴 등... 으로 L/R 차가 발생할 때 보정 및 검청용으로 사용합니다.

 

중앙에 있는 노브는 입력 선택 셀렉타입니다.

세이덴 셀렉타를 사용하고 있으며 경쾌한 감촉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제품입니다.   

은도금 베이스 위에 금도금한 접점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높였다고 합니다.

 

특히, 서병익오디오의 모든 제품은 셀렉타로 릴레이를 구동하여

릴레이가 입력을 선택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채널간 음이 섞이는 현상인 크로스토크를 개선하고 접점 전환 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없애기 위해 서 입니다.

 

우측에 있는 노브는 음량을 가감하여 조절할 수 있는 볼륨입니다.

알프스사의 블루벨벳 A형 커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좌측에 있는 POWER 스위치입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09.jpg

 

 

 

비올레타 XE의 우측면입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08.jpg

 

비올레타의 명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 비올레타 XE의 전기적 제원입니다.
형식: 파라렐로 구성한 EL34 싱글 인티앰프
1. 출력: 16W + 16W
2. 이득: 16
0배
3. 주파수 특성: -3dB 3W 출력 시 기준
상한 주파수: 54.75kHz
하한 주파수: 6Hz
4. 입력: 언밸런스 4계통
5. 출력: 4옴, 8옴
6. 사용 진공관: 12AY7/ 6072 × 3   EL34 × 4
7. 크기: W400 × H195 × D275 (단자류 포함 300)

 

 

비올레타 XE의 내부입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01.jpg

 

 

비올레타 XE는 EL34  4개를 사용하여 전류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므로 평활용 콘덴서의 용량을 크게 늘려 여유 있는 전원부를 구성하였습니다.

 

MOS FET를 사용한 리플필터를 사용하여 배터리에 버금가는 순도 높은 전원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비올레타 XE가 높은 S/N 비를 구현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입니다.

높은 S/N 비는 스피커의 음압감도가 높거나 스피커와 가까운 곳에서 청취하시는 경우 더욱 돋보입니다.

 

 

부품의 리드가 러그 단자에 직접 납땜되는 하드와이어링을 배선하여 잔류 노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었던 것과 이론에 입각한 이상적인 배선이 가능하여 우수한 음질로 완성하였습니다.

 

하드와이어링으로 배선하여 제대로 제작된 앰프를 사용해 보신 분이라면 하드와이어링 방식의 우수성을 충분히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비올레타 XE의 하판을 장착한 상태입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02.jpg

 

 

45mm 통 알루미늄을 절삭 가공하고 실리콘 고무를 덧대어 만든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확대해 보았습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03.jpg

 

 

비올레타 XE의 후면입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14.jpg

 

좌측으로 4 계통의 RCA 입력 단자가 있습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16.jpg

 

 

LINE 1, LINE 2, CD, TUNER 순입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17.jpg

 

 

중앙에는 4Ω과 8Ω 스피커를 연결 할 수 있는 바인딩 포스트 단자가 있습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06.jpg

 

 

비올레타 XE의 음질은 싱글앰프 특유의 유려함이 돋보이는 앰프라 소개하고 싶습니다.  

공간을 가득 채우는 유려한 배음과 나긋나긋한 음질은 피곤함에 지친 심신을 편안히 이완합니다.

 

 

김** 선생님의 비올레타 XE입니다.

3일간의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가 끝나는 27일(금) 이후 언제든지 납품할 수 있습니다.

 

202010825비올레타 XE 013.jpg

 

고맙습니다.

  • 챈응 2022.02.06 17:18
    가격은 책정 하셨는지요
  • 서병익 2022.03.27 21:46
    제가 이제야 질문하신 글을 보았습니다.

    서병익오디오의 모든 제품은 가격을 공지하고 공지된 가격대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다만, 미리 제작해 놓고 판매할 만한 사정은 되지 못하여 주문 받은 순서에 따라 제작하여 납품하고 있습니다.

    좌측, 작업실 하단에 제품안내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원하시는 항목을 클릭하시면 여러 모델의 사진이 보입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그 제품에 대한 안내 글이 있고 마지막에 가격이 있습니다.

    모든 모델이 이런 식으로 안내 되고 있으니 참고하시고 그래도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한 시간에 전화 주십시오.

  1. 767 44W + 44W KT120 파라싱글 파워앰프 아마레 플래티늄

    KT120을 파라렐 싱글로 구동하여 출력 44W + 44W를 뽑고 있는 아마레 플래티늄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오디오를 시작하여 다양한 앰프를 경험하다 보면 싱글앰프의 음색적 매력을 알게 됩니다. 싱글앰프는 반도체 앰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방식으로 진...
    Date2021.10.15 By서병익 Reply0 Views293 file
    Read More
  2. 766 10W +10W 2A3 디퍼런셜 파워앰프 푼타뮤지카 SE2

    푼타뮤지카 SE2는 2A3를 디퍼런셜로 구동하여 출력 10W + 10W를 뽑고 있습니다. 진공관 앰프를 오래 사용하셨더라도 2A3 진공관을 잘 모르시는 분이 많습니다. 3.5W의 작은 출력으로 울리기 쉬운 스피커는 흔하지 않으니 더욱 그럴 것입니다. 웨스턴 일렉트릭...
    Date2021.10.05 By서병익 Reply0 Views386 file
    Read More
  3. 765 네트워크 플레이어 M-1 MK2

    네트워크 플레이어 M-1 MK2입니다. 먼저 소개한 메디움 MK2에 이어 완성하였으나 오늘에야 소개합니다. 지난 6월 그동안 M-1에 사용하던 라즈베리파이 3B+를 4B로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4B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와이파이 5.0GHz(IEEE 802.11ac)가 지원됩니다. ...
    Date2021.10.03 By서병익 Reply0 Views253 file
    Read More
  4. 764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 두 대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두 대 중 한 대는 주문하신 분의 요청으로 음핑고 노브로 하였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두 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혹시... 고가의 하이엔드 앰프에서 리모컨 기능이...
    Date2021.09.29 By서병익 Reply0 Views234 file
    Read More
  5. 763 다기능 고음질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

    쏘나레 콘솔릿 SE입니다. 지난 토요일(18일) 완성하였습니다. 추석 연휴 특별히 다녀올 곳이 없는 사정상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위하여 음악을 들었습니다. 쏘나레 SE는 진공관 프리앰프에서 기대하는 모든 것을 담아낸 프리앰프라 할 수 있습니다. ...
    Date2021.09.21 By서병익 Reply0 Views301 file
    Read More
  6. 762 진공관 DAC 메디움 MK2

    진공관 DAC 메디움 MK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진공관 DAC 메디움 MK2는 근래 수입되는 DAC 제품과는 추구하는 방향이 다릅니다. 수입되는 DAC 제품의 특징은 최신 기술을 사용한 DAC를 사용하여 음질이 좋다.. 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최신형임을 강조합...
    Date2021.09.14 By서병익 Reply0 Views318 file
    Read More
  7. 761 3웨이 멀티채널 디바이더 벨리타스 플러스 SE

    3웨이 멀티 채널 디바이더 베리타스 플러스 SE입니다. 오늘 오전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주문하신 분께서 3웨이용 채널 디바이더인 베리타스 플러스 SE를 주문하셨지만, 우선은 2웨이 멀티 앰핑으로 운용하실 계획이라 ...
    Date2021.09.07 By서병익 Reply2 Views284 file
    Read More
  8. 760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CR형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오늘 완성되었습니다. 오디오를 하다 보면 같은 내용이라도 여러 의견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누구라도 다양한 의견을 말할 수 있지만,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내용이 난무하여 이제 막 오디오를 시작하는 분이라면 더욱 혼...
    Date2021.09.01 By서병익 Reply0 Views212 file
    Read More
  9. 759 10W + 10W A급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하였습니다. 델리카투스 GE를 소개해 올린 지 며칠 되지 않아 같은 내용이 중복될 수 있으니 오늘은 조금 다른 말씀을 간략히 올리겠습니다. 2009년 6월 11일 처음 사진으로 델리카투스를 소개하였는데, 이렇게 소...
    Date2021.08.28 By서병익 Reply2 Views286 file
    Read More
  10. 758 16W + 16W EL34 파라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XE

    비올레타 X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2012년 비올레타를 출시한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제작되고 있습니다. 싱글앰프의 음색을 좋아하시는 분이 많으시어 10년이 넘도록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 차례 초단 및 드라이브단의 회로가 업그레이드되면서 음...
    Date2021.08.25 By서병익 Reply2 Views766 file
    Read More
  11. 757 10W + 10W A급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델리카투스는 EL84를 A급 푸시풀로 구동하여 10W + 10W를 뽑고 있습니다. 델리카투스의 설계 목표가 높은 출력이었다면 17W + 17W를 뽑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델리카투스의 설계 목표는 고음질이었으므로 출력 10W ...
    Date2021.08.18 By서병익 Reply2 Views260 file
    Read More
  12. 756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4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4 메탈형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진공관 DAC 플레누스와 메디움 또는 아리에스에 사용하는 디지털 PCB는 20개 또는 30개를 기본으로 발주하여 사용합니다. 이때 DAC 칩을 바꿀 수도 있어서 이 시기에 발표된 여러 DAC 칩을 면밀히...
    Date2021.08.16 By서병익 Reply0 Views684 file
    Read More
  13. 755 32W + 32W EL34 푸시풀 파워앰프 쎄레노 MK2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파워앰프 쎄레노가 MK2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8월 5일(목) 완성하였으나 명판류가 입고되지 않아 사진으로 소개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명판이 입고되어 소개합니다. 쎄레노 MK2는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여 32W + 3...
    Date2021.08.11 By서병익 Reply0 Views277 file
    Read More
  14. 754 300B/ 2A3-40 19W+19W 파라싱글 모노블록 파워앰프 마그나노바

    300B와 2A3-40을 사용할 수 있는 파라싱글 파워앰프 마그나노바입니다. 10여 년 전에 출시하였던 동일 이름의 모노블록 파워앰프 마그나노바가 있습니다. 당시 획기적인 진공관이라고 평가받던 300B-XLS를 싱글로 구동하여 출력 20W를 뽑아내던 싱글 파워앰프...
    Date2021.08.08 By서병익 Reply0 Views428 file
    Read More
  15. 753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입니다. 지난 금요일(7/30) 완성하였습니다. 어제저녁 두어 시간 걸려 RCV MK2에 대한 글을 쓰다가 무슨 실수를 하였는지..... 쓰던 글이 모두 날아가니 힘이 빠지고 더 이상 글 쓸 만한 상황이 못되어 이렇게 늦어졌습니다. 지...
    Date2021.08.03 By서병익 Reply0 Views216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