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351 댓글 4

20191223플레누스mk3 034.jpg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메탈형 버전으로 2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요즘은 CD나 음원 파일이 주요 소스이다 보니 DAC의 음질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시스템 가장 앞에 위치하여 음질의 변화가 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19.jpg

 

 

플레누스는 트랜스를 이용한 I/V 변환회로를 채용하여 OP AMP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회로를 구성하였으며 논 클립 출력 전압 53V를 얻을 수 있는 독특한 회로를 구성하여 발명 특허회로를 획득하기도 하였습니다.

 

요즘은 DAC 칩의 성능이 부족하여 음질이 떨어지는 일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상향 평준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DAC 칩 이후의 아날로그 단을 특화하여 음질의 향상을 추구하는 제품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수천 만 원대의 DAC에서도 당연히 OP AMP로 마무리하던 것을 생각하면 새로운 변화인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07.jpg

 

 

OP AMP는 연산용 소자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지금은 오디오용으로 발표한 OP AMP가 있을 정도로 오디오 회로에도 널리 사용하지만,

OP AMP의 근본적인 구조가  변한 것이 아니어서 오디오용으로 사용할 경우 좋은 음질로 되지는 않습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10.jpg

 

 

OP AMP를 오디오 기기에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는

60dB~ 100dB에 이르는 다량의 부귀환이 적용되고 있다는 것인데, 다량의 부귀환은 과도특성을 현저히 낮춥니다.  

 

. 과도특성이란 빠르게 변화하는 입력 파형의 변화를 얼마나 빠르게 추종할 수 있느냐....! 의 항목입니다.

 

현재로는 과도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어느 정도 악화하였는가 가... 관건이며 부귀환이 깊어질수록 비례하여 과도특성은 악화하여 갑니다.

 

이것이 무귀환 앰프의 음색이 생동감 있게 들리는 이유이며, 좋은 과도특성을 유지하는 비결은 부귀환을 적용하지 않는 방법외는 없습니다.

 

플레누스는 무귀환 방식으로 제작하여 디지털 음원에 배음을 추가하고 생동감 있는 음질로 구현하기 위해 회로를 구성하였습니다.

 

진공관은 증폭하는 과정에서 무수한 고조파를 생성합니다.

진공관마다 생성되는 고조파 성분이 다르므로 각 진공관에 따른 음색의 차이가 나며 이런 고조파 성분이 배음으로 작용합니다.

 

플레누스의 음질이 유려하며 풍성하게 들리는 이유입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09.jpg

 

 

DAC 칩에서는 아날로그 신호가 전류로 출력됩니다.

플레누스에서 OP AMP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트랜스를 이용하여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합니다.

 

이 과정을 거치며 음원 성분에 포함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를 1차 제거합니다. 

 

트랜스는 사용하는 주파수대에 따른 용도로 선택하게 되는데, 크게 저주파용과 고주파용으로 분류합니다.

고주파용이란, 100kHz 이상을 취급하는 용도로 제작된 트랜스이며 높은 주파수대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작된 트랜스를 말합니다.

저주파용이란 100kHz 이하를 취급하는 용도로 제작된 트랜스를 말합니다.

 

플레누스는 저주파용 트랜스는 100kHz 이상에서는 작용하지 못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300kHz 대의 디지털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아니지만, 서병익 발명 특허회로로 제작된 증폭단은 무귀환으로 동작하며 트랜스로 구동하는 출력 증폭단입니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성분이 2차 필터링 됩니다.   

 

좋은 DAC인지 구분하는 방법중의 하나가 2시간 이상 음악을 들어보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잔존하는 디지털 성분이 인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인데, 이런 내용은 이미 수십 년 전에 실험으로 증명된 바 있습니다.

 

간단하게 소개하면 똑같은 구조로 만든 부스, 2개 중 하나에는 상단에서 100kHz 주파수를 피실험자를 향해 내리쏘는 환경으로 만들고 각각 정해진 시간을 보내고 나온 뒤 결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는데, 100kHz 주파수를 몸으로 받은 부스 참가자는 불쾌함을 호소하였다는 내용입니다.   

CD가 출시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에 미국에서 시행된 실험 내용입니다.    

 

 

플레누스 MK3의 내부입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02.jpg

 

 

 

부품의 리드가 러그 단자에 직접 납땜 되는 하드와이어링으로 배선하여 잔고장이 없으며, 이론에 입각한 이상적인 배선을 할 수 있습니다.

 

 

플레누스의 장점 중 하나는 디지털 PCB를 업그레이드한다는 것입니다.

 

디지털 음원 기술은 발전의 속도가 빠릅니다.

2008년 처음 제작할 당시에는 샘플링 주파수 96k가 상한선이었습니다만,

이후 192k가 주류가 되어 PCB업그레이드를 실시하였고, DSD가 출현하여 다시 한번 PCB 업그레이드를 하였습니다.

 

향후 어떤 디지털 음원 기술이 발표되고 상용화될지 모르지만,

새로운 신기술이 발표되고 충분히 검증되었다고 판단될 시점에 새로운 PCB로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PCB 업그레이드 행사에 반드시 참여할 필요는 없으며, 새로 발표된 신기술이 필요할 경우에만 참여하시면 됩니다.

비용도 최소한의 비용으로 진행합니다.

 

플레누스의 장점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플레누스의 밑판을 체결한 상태입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04.jpg

 

 

통 알루미늄을 절삭 가공하고 실리콘 고무를 삽입하여 만든 받침대는 별도의 인슐레이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작은 물리적 충격에 의한 음질 열화를 방지합니다. 

 

 

후면입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24.jpg

 

좌측에 디지털 입력 단자가 있습니다.

USB, 코엑셜, 옵티컬 1, 옵티컬 2, AES/EBU 단자가 있습니다.

 

중앙에는 RCA와 XLR 총 2계통의 출력 단자가 있으며, 우측에는 퓨즈 홀더와 AC인렛 단자가 있습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22.jpg

 

 

. 플레누스 MK3의 디지털 부 제원입니다.

◆ 32-Bit Resolution

◆Accepts 16-, 24-, and 32-Bit Audio Data

Digital Audio input
- USB 2.0 (USB Audio Class 2.0, Support DSD 128, PCM 32bit/192kHz Max.)

- Optic : Optical Cable required(2 EA)
- Coax : 75 Ohm Cable required

- AES/EBU : 110 Ohm Cable required
◆ Analog Performance
Dynamic Range: 123dB

THD+N: 0.0005%
◆Sampling Frequency: 10kHz to 200kHz
◆PCM Data Formats: Standard, I2S, and Left-Justified
◆DSD Format Interface Available
◆ Frequency Response : 20Hz ~ 20kHz
Sine Wave Based @0dB
20Hz : 0dB
20kHz : 0dB

 

. 아날로그 부의 제원입니다.
1. 주파수 특성
하한 주파수 : -3dB 4Hz
상한 주파수 : -3dB 75.18kHz
2. 출력전압
0dB : 2,593mV
-5dB : 1,469mV
-10dB : 825mV
3. 논클립 출력전압 : 53V
4. 사용 진공관 : 전압 증폭관 ECC99 × 2,  정류관 6CA4 × 1개,
5. 크기 : W440 × H138 × D350

 

 

 

20191223플레누스mk3 029.jpg

 

 

플레누스 MK3는 부드럽고 유연한 음색이 돋보입니다.

부드러운 음질에서 디지털적인 이질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으며 편안하게 들립니다.

 

특히 플레누스는 강약의 대비가 돋보이므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큰 음악에서 더욱 진가가 나타납니다.

 

53V의 높은 논 클립 출력전압으로 아무리 큰 진폭의 음악이라도 음이 탁해지지 않으며 클래식의 총주시에도 각 악기들이 섞이는 일이 없습니다.  

 

온종일 디지털 음원으로 음악을 들어도 피곤하지 않으며,

플레누스를 청음하러 오신 분께서 말씀하시길 이제 다시 LP를 시작하지 않아도 좋을 정도로 부드러운 음질이라고 말씀하시기도 하였습니다.

 

오늘 제작한 플레누스 MK3 메탈형은 골드와 실버색 메타반으로 각각 제작되었습니다.

박*희 선생님은 실버색상

조*연 선생님은  골드색상의 메타반 플레누스 MK3입니다.

 

3일간의 에이징과 히어링 테스트가 끝나는 수요일(25일) 이후 납품할 수 있습니다.

  

20191223플레누스mk3 032.jpg

 

고맙습니다.

  • jjjjj 2019.12.24 08:56

      제작하시느라 애를 많이 쓰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젠 네트워크 플레이어도 제대로 오랫동안 들을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에, 벌써 흥분되는 마음입니다.

      저는 27일 금요일날 청주사무실을  방문하여 수령하도록 하겠습니다.

  • 서병익 2019.12.24 09:05
    예... 선생님 고맙습니다.
    금요일 뵙겠습니다.
    그때까지 에이징 잘 해놓고 있겠습니다.
  • jjjjj 2019.12.28 10:17

    어제 청주에 가서 플레누스를 들고  집에 와서, 오렌더 N10에 연결하여 들어 보았습니다.

    역시 기대했던대로 부드럽고 편안하면서 해상력 있는 섬세한 소리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있습니다.

     

    원래 DAC는 노스스타의 수푸리모를 사용하면서, 경질의 소리를 못마땅해 하고 있던차에

    메디움을 들이게 되어서, 진공관 DAC의 편안한 소리에 감탄하고 있었지요.

    그런데 메디움보다도 윗등급인 플레누스가 있다는 것을 알고는, 그 소리가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망설이다가 결국은 플레누스를 주문하게 됐고, 드디어 완벽하게 디지털 음원의 느낌을 지워버린

    소리를 들을수 있게 돼었습니다. 

    메디움보다 훨씬 윗등급으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완벽한 아나로그의 음이라 해도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물건을 두고 명품이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장님께 찬사와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 서병익 2019.12.28 11:32
    예... 선생님
    먼길 다녀 가시느라 힘드셨지요....?
    플레누스가 마음에 드신다니 다행입니다....^^

    사용하시다 조금이라도 불편하시거나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전화주십시오...
    고맙습니다.

  1. 662 8W + 8W 300B 싱글 인티앰프 리자베타 SE 300B

    리자베타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2015년 2월 출시되어 제작되고 있던 리자베타가 스페셜 에디션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5년 만의 업그레이드답게 초단 증폭회로부터 드라이브 단, 출력단까지 모두 개선하여 지난 흔적은 전혀 남지 않았습니다. ...
    Date2020.04.14 By서병익 Reply4 Views573 file
    Read More
  2. 661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와 M-1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와 네트워크 플레이어 M-1입니다.네트워크 플레이어 M-1은 약 20여 일 전에 완성하였고, 플레누스 MK3는 어제 완성하였습니다.플레누스는 외형적으로 호도나무 원목 케이스로 제작되는 우드형과 10T 알루미늄 전면패널로 제작되는 메탈...
    Date2020.04.08 By서병익 Reply0 Views379 file
    Read More
  3. 660 고음질 다기능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퇴근 무렵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만 확인하고 사진을 우선 찍었습니다. 근래 여러 모델을 작업하기 위해 벌려 놓기는 많이 하였는데, 부품 수급으로 완성하지 못하고 반제품 상태로 있습니다. 이런 사정으...
    Date2020.04.05 By서병익 Reply0 Views275 file
    Read More
  4. 659 2웨이 스피커 SP-200 MK2

    2웨이 스피커 SP-200 MK2입니다. 서병익오디오는 총 3종류의 스피커를 발표하였습니다. 그 중 SP-200 MK2는 8인치 우퍼를 채용한 스피커입니다. 오디오를 처음 시작하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지만, 그 중 대표적인 시행착오가 작은 스피커를 구입하는 것이라고...
    Date2020.03.26 By서병익 Reply0 Views2506 file
    Read More
  5. 658 2웨이 동축 스피커 SP-200 MK2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SP-200이 MK2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4년 만의 업그레이드이며 가장 큰 변화는 동축형으로 바뀐 것입니다. 동축 스피커는 탄노이가 유명합니다. 지금부터 동축 스피커의 구조와 특징을 말씀드리려 합니다만, 어떤 경우라도 탄노...
    Date2020.03.25 By서병익 Reply0 Views832 file
    Read More
  6. 657 32W + 32W 2A3-40 푸시풀 인티앰프 엘레간트

    2A3-40 푸시풀 인티앰프 엘레간트입니다. 오늘 전면패널이 입고되어 장착한 후 사진을 다시 찍었습니다. 2A3-40은 플레이트 손실(전력) 40W로 300B와 같습니다. 2A3-40이나 300B 같은 3극 출력관은 구조상 입력과 출력이 마주보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로 인해 ...
    Date2020.03.17 By서병익 Reply0 Views435 file
    Read More
  7. 656 신모델 32W + 32W 2A3-40 푸시풀 인티앰프 엘레간트 Elegante

    신모델입니다. 2A3-40을 푸시풀로 구동하여 출력 32W + 32W를 얻고 있습니다. 며칠 전 어느 정도 완성되어 소리는 나고 있었지만, 전면패널이 입고되지 않아 소개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처음 제작하는 신모델이라 미처 준비하지 못했던 사항들이 생겨 조금씩...
    Date2020.03.14 By서병익 Reply4 Views376 file
    Read More
  8. 655 CR형 포노앰프 로샤 MK2

    오늘 로샤 MK2 두 대를 동시에 완성하였습니다. 오늘 완성된 로샤 MK2를 받으실 분 성함입니다. 김*회 선생님 손*재 선생님입니다. 로샤는 CR형 포노앰프입니다. 국내에서 CR형 포노앰프를 구입하는 것은 쉽지 않은데, 그 이유는 CR형 방식이 양산형에 적합하...
    Date2020.03.06 By서병익 Reply0 Views337 file
    Read More
  9. 654 고음질 다기능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

    코로나19로 인해 애쓰시고 고생하시는 모든 분께 감사의 말씀 올리고 싶습니다. 대구와 경북의 위기상황을 극복하려 전국에서 많은 의료진이 지원하셨다는 뉴스를 보고 감격하여 가슴이 뭉클하였습니다. 어려울수록 힘을 합치던 우리 민족의 끈끈한 정을 느끼...
    Date2020.02.26 By서병익 Reply0 Views629 file
    Read More
  10. 653 오디오용 2kW 차폐 트랜스 ST-2000 XE

    ST-2000 XE입니다. 오늘 5대를 제작하였습니다. 며칠 동안 트랜스의 품절로 완성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전면패널의 준비작업을 비롯하여 미리 해놓을 수 있는 작업은 모두 해놓고 기다리던 중이라 하루에 5대를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3대는 오늘 발송하였고...
    Date2020.02.22 By서병익 Reply0 Views523 file
    Read More
  11. 652 22W + 22W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 SE

    비올레타 XE를 완성하기 전에 이미 어느 정도 완성되어 소리는 나고 있었지만, 전면판의 품절 때문에 사진으로 소개하지 못하고 있던 크리스틴을 오늘 출근하여 완성하였습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크리스틴 MK2가 Special Edition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
    Date2020.02.16 By서병익 Reply0 Views346 file
    Read More
  12. 651 16W + 16W EL34 파라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XE

    신모델 비올레타 XE를 제작하던 중 미처 준비되지 못한 부품 때문에 잠시 중단하고 크리스틴을 먼저 제작하였습니다. 그렇게 제작 순서가 바뀐 크리스틴은 지난주 토요일(8일) 거의 완성하여 소리는 나지만, 아직 전면판을 부착하지 못해 사진으로 소개하지 못...
    Date2020.02.11 By서병익 Reply2 Views572 file
    Read More
  13. 650 진공관 DAC 메디움 MEDIUM

    진공관 DAC 메디움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EL34를 파라 싱글로 구동하여 출력 16W + 16W를 뽑아내는 비올레타 업버전 모델과 신모델인 2A3-40을 푸시풀로 구동하는 인티앰프를 벌려 놓기만 하고 완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어제오늘 작업하여 ...
    Date2020.01.30 By서병익 Reply0 Views627 file
    Read More
  14. 649 오디오용 2kW 차폐 트랜스 ST-2000 XE

    차폐 트랜스 ST-2000 XE입니다. 총 5대를 제작하였습니다. 서병익오디오 홈페이지에서도 카드 결제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BC 카드만큼은 사용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를 BC 카드사에 문의한 결과 판매되는 제품 중 500만 원이 넘는 제품이 1개라도 있다면 모든...
    Date2020.01.22 By서병익 Reply0 Views370 file
    Read More
  15. 648 A급 10W + 10W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며칠 전 델리카투스 2대를 제작하여 소개할 당시 시작은 3대를 하였습니다만, 부품 준비가 2대분만 가능하여 부득이 모두 완성할 수는 없었습니다. 큰 부품 몇 개만 체결된 상태로 있던 중, 품절이었던 부품들이 입...
    Date2020.01.16 By서병익 Reply0 Views49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