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255 댓글 0

20210610오르페오 MK2 018.jpg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진공관 헤드앰프는 제작하는 곳도 드물고 상품화된 제품도 그리 많지 않아 아직도 생소하게 생각하시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그러나 MM 카트리지를 사용하시는 분은 헤드앰프가 전혀 필요 없습니다.

헤드앰프가 MC 카트리지의 미세한 출력전압을 MM 카트리지의 출력 레벨과 동등한 정도로 증폭하는 용도이기 때문입니다.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승압 트랜스로 MC 카트리지를 사용하시는 분이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이라 하겠습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04.jpg

 

 

그러나 헤드앰프가 만들어진 이유가 있습니다.

오늘은 조금 더 향상된 음질을 위해서라면 왜.... 헤드앰프를 사용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알아봅니다.

 

MC 카트리지는 음질을 향상하기 위해 자석을 외부에 두고 바늘이 붙어있는 캔틸레버 끝에 코일을 감아 만듭니다. 

캔틸레버 끝에 자석이 달린 MM 카트리지는 외부에서 코일을 감으므로 충분히 감을 수 있어 출력 전압은 약 5mV로 비교적 높습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06.jpg

 

 

그러나 MC 카트리지에서는 캔틸레버 끝에 코일을 감는 구조로 충분히 많이 감을 수 없는 구조입니다.

그러다 보니 출력 전압은 MM 카트리지에 비해 1/10~ 1/50 수준으로 약 0.1mV~ 0.5mV 정도가 됩니다.

 

 

이렇게 미약한 MC 카트리지의 출력을 포노앰프에 그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트랜스의 승압비를 이용한 승압 트랜스를 사용하여 레벨업 합니다.

 

승압비는 MC 카트리지의 출력 전압을 기준하여 MM 카트리지와 비슷할 정도의 5mV가 될 수 있는 수치로 정합니다.

 

0.3mV/5mV= 16.6배

이와 같은 수식으로 정합니다.

즉, 0.3mV의 MC 카트리지라면 16배의 승압 트랜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MC 카트리지의 출력 전압을 알면 적당한 승압비를 산출해 낼 수 있습니다.

MC 카트리지의 출력전압에 승압 비를 곱하여 5mV 근처가 나오면 되는 것입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05.jpg

 

 

음질 향상을 위해 코일을 적게 감은 MC 카트리지가 나타났지만,    

출력 전압이 낮아 승압 트랜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모순이 남았습니다.    

 

승압 트랜스를 통하여 레벨업 하기 위해서는 1차보다 2차에 훨씬 더 많은 코일을 감아야 합니다.  

 

32배 승압비를 갖는 승압 트랜스의 경우를 임피던스로 표현하면

1차 임피던스가 10Ω이고 2차 임피던스가 10㏀입니다.

 

임피던스라는 값으로 코일의 길이를 가늠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승압비가 커질수록 2차 측에 더 많은 코일을 감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코일을 많이 감게 되면 분포용량이 커진다는 것으로 승압 트랜스의 코일성분과 분포용량으로 인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반드시 병렬 공진회로가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코일과 콘덴서가 병렬로 연결되면 병렬 공진회로가 되는데,

공진주파수에 대하여 최대의 이득을 갖습니다.

 

승압 트랜스의 주파수 특성은 중 음역에서는 평탄하지만, 고음으로 올라갈수록 분포용량의 영향으로 병렬 공진회로가 형성된 지점에서 상승하기 시작하여 최고점을 찍은 후 급격하게 하강하기 시작합니다.

 

승압 트랜스를 예로 들었지만, 통상적인 모든 트랜스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주파수 특성입니다.

승압 트랜스를 비롯하여 모든 트랜스를 제작할 때는 분포용량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제작기법을 적용하지만,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근본적으로 없앨 수는 없습니다.

 

승압 트랜스마다 음색이 달라지는 근본적인 이유는 분포용량에 의한 공진 주파수가 어디에 있느냐.... 이며 공진주파수의 Q 값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 Q 값이란... 병렬 공진회로에서 나타나는 산봉우리의 높이(첨둣값)를 수치로 표현한 것을 말합니다. Q가 높을수록 공진으로 나타난 산봉우리가 높은 것을 뜻합니다. 

병렬 공진회로는 공진 된 주파수에 대하여 최대의 저항값을 갖습니다.

반면, 직렬 공진회로에서는 골짜기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깊이의 정도를 Q 값으로 표현합니다.

직렬 공진회로는 공진 된 주파수에 대하여 최저의 저항값을 갖습니다.

 

 

헤드앰프는 이처럼 승압 트랜스의 문제로 나타나는 음질 저해 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탄생하였습니다.

 

 

헤드앰프는 반도체 소자로 제작되기도 하고 진공관 소자로 제작되기도 합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만, 음색의 질감이라는 측면에서는 진공관 소자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진공관으로 헤드앰프를 제작하는 것은 정말 쉽지 않습니다.

 

진공관 방식의 헤드앰프를 제작할 수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도 몇 군데 없습니다.

아무래도 수요가 적으니 그럴 수 있겠지만,

제작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도 한몫하였을 것입니다.

 

 

 

오르페오 MK2는 진공관 헤드앰프에서 제기되던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였습니다.

 

오르페오 MK2의 내부입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12.jpg

 

  

부품의 리드가 러그 단자에 직접 납땜되는 하드와이어링을 배선하여 잔류노이즈를 크게 줄였습니다.

이런 과정은 PCB로는 불가능합니다.

3차원 배선이 가능한 하드와이어링만이 이론에 입각한 이상적인 배선을 할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오디오 시스템 중 가장 이득이 높고 입력에 볼륨도 없는 포노앰프 앞에 위치하는 헤드앰프는 최대한 노이즈를 줄여야 합니다.

 

오르페오 MK2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을 적용하였습니다.

전원 트랜스를 외부에 두고 2차에 걸친 MOS FET로 구성된 리플필터와 정전압 전원회로를 거쳐 완성된 직류로 구동하여 높은 S/N 비를 구현하였습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08.jpg

 

오르페오 MK2는 럼블필터 기능을 실장 하였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좌측에 있는 노브입니다. 

 

이득(Gain)을 조절하는셀렉타는 우측 노브입니다.

0배에서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09.jpg

 

 

로드 셀렉타를 이용하여 MC 카트리지의 최적 로드 임피던스로 맞출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좌측 노브입니다.

33Ω,

47Ω,

100Ω,

250Ω,

500Ω,

1,000Ω으로 구분하여 맞출 수 있습니다.  

 

 

오르페오 MK2의 리니어 전원 장치입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02.jpg

 

 

내부에 MOS FET로 구성된 리플필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전원장치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입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15.jpg

 

 

 

이번에는 2.5M로 제작하였습니다.

필요에 따라 원하시는 길이로 제작합니다.

길이에 따른 추가금은 없습니다.

 

그리고 길이가 길어진다고 하여 음질에 영향을 주지도 않습니다.

운용이 편안하실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피는 독일 비아블루사의 익스팬더를 이용하여 고급스럽게 제작하였습니다.

 

 

헤드앰프를 통해 LP를 듣게 되면 대부분 깜짝 놀라십니다.

그동안 이런 소리를 듣지 못하였구나.....!!

 

아무리 좋은 승압 트랜스라도 저음으로 갈수록 레벨이 줄어지기 마련이고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 고음 대역에서는 굴곡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 정도의 차이를 헤드앰프 오르페오 MK2를 통해 경험해 보시기를 기대합니다.

 

김** 선생님의 오르페오 MK2입니다.

 

3일간의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가 끝나는 11일(금) 이후 언제든지 납품할 수 있습니다. 

김** 선생님의 요청으로 실버 색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20210610오르페오 MK2 017.jpg

 

고맙습니다.


  1. 752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CR형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로샤는 콘덴서와 저항의 감쇠특성을 이용한 CR형 RIAA 포노앰프입니다. 직경 30cm의 LP 면적에 가능한 한 많은 음악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진폭이 큰 저음은 줄이고 진폭이 작은 고음은 진폭을 늘려 주파수...
    Date2021.07.28 By서병익 Reply0 Views150 file
    Read More
  2. 751 44W + 44W KT120 파라싱글 파워앰프 아마레 플래티늄

    출력 44W + 44W를 파라싱글로 뽑아내는 파워앰프 아마레 플래티늄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싱글앰프는 푸시풀 앰프의 음색과는 사뭇 다릅니다. 조금 더 섬세하고 조금 더 유연하게 들립니다. 이런 이유로 평생 싱글 앰프만 사용했다는 분도 계십니다. 그...
    Date2021.07.24 By서병익 Reply0 Views258 file
    Read More
  3. 750 10W + 10W A급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델리카투스를 근래 자주 소개하다 보니 같은 내용을 반복하는 것 같아 조금은 다른 말씀 올립니다. 델리카투스 GE의 출력이 10W + 10W이다 보니 어느 정도의 음압감도를 갖는 스피커와 매칭이 되는지... 문의하시는...
    Date2021.07.22 By서병익 Reply0 Views316 file
    Read More
  4. 749 350B/ 6L6G A급 18.5W + 18.5W 푸시풀 파워앰프 칼리스토 MK2

    350B/ 6L6G A급 푸시풀 파워앰프 칼리스토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칼리스토 MK2는 그동안 우드형으로만 제작하였는데, 이번에는 메탈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측면에는 호두나무 원목을 덧대었고 전면에는 출력 메타를 실장하였는데, 음악에 따라 흔...
    Date2021.07.17 By서병익 Reply0 Views387 file
    Read More
  5. 748 라우드네스 프리앰프 벨루스 SE

    프리앰프 벨루스 S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두 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이렇게 두 대를 제작하면 제작 시간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 벨루스 SE는 무귀환(NON NFB) 증폭기로 구성되어 진공관 프리앰프에서...
    Date2021.07.14 By서병익 Reply2 Views213 file
    Read More
  6. 747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입니다. 지난 목요일(8일) 완성하였으나 출장 다녀오느라 오늘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동안 제작해 오던 RCV가 MK2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사용하던 디지털 보드가 소진되어 추가로 제작하면서 두 가지를 개선하였습니...
    Date2021.07.10 By서병익 Reply0 Views212 file
    Read More
  7. 746 가변 E,Q 기능을 실장한 포노앰프 TCR PE 2

    TCR 플래티늄 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그동안 제작되던 플래티늄 버전이 플래티늄 2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달라진 부분은 두 가지인데 그 중 하나는 10kHz Roll-off 를 조정하였습니다. SP를 들을 때 필요한 것이 0dB입니다만, SP는 사용 빈...
    Date2021.07.02 By서병익 Reply0 Views178 file
    Read More
  8. 745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CR형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근래 LP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서인지 진공관 포노앰프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받고 있습니다. 예전에 LP를 사용하셨던 분이라면 당연히 알고 계시겠지만, LP를 경험하지 못했던 세대는 포노앰프가 있어야 LP...
    Date2021.06.29 By서병익 Reply4 Views151 file
    Read More
  9. 744 A급 10W + 10W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2009년 EL84를 채용한 푸시풀 앰프 델리카투스를 구상하며 EL84의 음질적 특성을 최대한 뽑아내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 당시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EL84 앰프는 거의 찾을 수 없었습니다. 앰프 제작사에서는 ...
    Date2021.06.24 By서병익 Reply2 Views378 file
    Read More
  10. 743 16W+16W EL34 파라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XE

    EL34를 파라렐로 접속하여 출력 16W +16W를 뽑고 있는 인티앰프 비올레타 X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며칠 전 리자베타를 소개하며 싱글앰프에 대한 말씀을 올렸기에 오늘은 생략합니다만, 싱글앰프는 하나의 진공관으로 사인파를 증폭하는 구조상 효율이...
    Date2021.06.22 By서병익 Reply2 Views309 file
    Read More
  11. 742 3.5W+3.5W 2A3 싱글 파워앰프 리자베타

    2A3를 싱글로 구동하여 출력 3.5W + 3.5W를 뽑고 있는 파워앰프 리자베타입니다. 신모델입니다. 기존의 2A3 싱글 파워앰프 유피테르를 단종하고 리자베타로 대체합니다. 유피테르를 출시한 지 올해로 10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적용하던 회로를 다시 설계하였...
    Date2021.06.20 By서병익 Reply0 Views197 file
    Read More
  12. 741 네트워크 플레이어 M-1 MK2

    M-1 MK2입니다. 지난 금요일(11일) 완성하였습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네트워크 플레이어 M-1이 MK2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M-1은 라즈베리파이 3B를 기반으로 3A 용량의 리니어 전원부를 구성하여 완성된 네트워크 플레이어입니다. 플레누스와 ...
    Date2021.06.14 By서병익 Reply0 Views283 file
    Read More
  13. 740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 MK2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진공관 헤드앰프는 제작하는 곳도 드물고 상품화된 제품도 그리 많지 않아 아직도 생소하게 생각하시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그러나 MM 카트리지를 사용하시는 분은 헤드앰프가 전혀 필요 없습니다....
    Date2021.06.10 By서병익 Reply0 Views255 file
    Read More
  14. 739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지난 토요일 완성하였습니다. 오후 늦은 시간에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만 확인하고 퇴근하였는데, 오늘 온종일 LP를 들으며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로샤를 출시한 지 10년 만에 외관을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전면...
    Date2021.06.07 By서병익 Reply0 Views211 file
    Read More
  15. 738 고음질 다기능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입니다. 메탈형 쏘나레 콘솔릿 SE는 흑색으로 주로 제작하지만, 실버색으로 주문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그런데 음핑고 노브가 실버 색상과 어울리지 못하는 것을 고려하여 중앙의 큰 노브(지름 52mm)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실버 색상의...
    Date2021.06.03 By서병익 Reply1 Views29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