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13.jpg

 

 

출력 44W + 44W를 파라싱글로 뽑아내는 파워앰프 아마레 플래티늄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싱글앰프는 푸시풀 앰프의 음색과는 사뭇 다릅니다.

조금 더 섬세하고 조금 더 유연하게 들립니다.

이런 이유로 평생 싱글 앰프만 사용했다는 분도 계십니다.

 

그리고 오디오를 수년간 즐기신 분이라면 싱글 앰프와 푸시풀 앰프의 음질이 다르게 들린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런데, 싱글앰프는 하나의 출력관으로 구성되어 큰 출력을 얻을 수 없으며,

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구조상 출력 트랜스가 자화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출력 트랜스가 자화가 되면 저음이 덜 나오게 됩니다.

여담이지만, 이런 이유로 한때는 자화된 출력 트랜스의 자력을 제거하는 상품이 있었습니다.

 

잡지에 광고도 꽤 많이 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이 상품의 효과는 0%입니다.

이미 자화된 출력 트랜스의 자석 성분을 잠시 없앨 수는 있어도 앰프의 전원 스위치를 ON 하여 출력 트랜스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즉시 자화가 다시 되기에 그렇습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01.jpg

 

 

이렇듯 코일에 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이 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기에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싱글 앰프에서 출력 트랜스의 자화를 방지하는 단, 한 가지의 방법은 출력 트랜스를 크게 키우는 것입니다.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통상 1.5~ 2배 정도 더 큰 크기의 코어를 사용하여 제작하면 됩니다.

 

출력 트랜스를 크게 하여 자화의 영향을 줄이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아마레의 경우 하한 주파수가 -3dB 지점에서 5Hz까지 내려갑니다. 

 

이것은 KT120 푸시풀 앰프 칼리오페와 동일한 하한 주파수 특성입니다.

그러니 싱글 앰프는 저음특성이 떨어진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02.jpg

 

 

만약, 싱글 앰프 중에서 저음 특성이 다소 부족한 경우가 있다면

충분한 물량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은 제품이어서 그런 것이지 싱글 앰프이기에 그런 것은 아닌 것입니다.   

 

다만, 동일한 조건이라면

싱글 앰프가 푸시풀 앰프에 비해 저음에서 불리하다.. 라는 말은 맞습니다.

 

여기서 동일한 조건이란,

같은 크기의 코어를 사용하여 제작한 출력 트랜스를 사용한 경우를 말합니다. 

 

 

싱글 앰프는 음질적인 장점은 많지만, 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싱글 앰프는 한결같이 출력이 작습니다.

 

싱글 앰프로 큰 출력을 얻기 위해서 송신관으로 앰프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음질은 포기해야 합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04.jpg

 

 

 

왜냐하면,

송신관은 처음부터 선형특성을 고려하여 만든 진공관이 아니기에 그렇습니다.

 

송신관의 특징은 

강력한 반송파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해야 하므로 고주파 특성이 좋아야 하고 반송파를 가능한 한 멀리 보내기 위해서는 출력이 높아야 합니다.

 

우리가 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옮긴다고 할 때 차가 찌그러져 있다고 화물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닌 것 처럼 반송파가 찌그러짐이 크다고 하여 반송파에 실려있는 음악 신호가 찌그러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이유로 송신관은 처음부터 선형특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보다는 작은 신호에도 크게 작용하여 큰 전류로 동작하고 높은 전력에도 잘 견뎌 보다 더 멀리 반송파를 보낼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05.jpg

 

 

송신관에 대한 이런 내용을 미리 알고 있다면 송신관으로 만든 앰프를 구입하는 낭패를 당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아마레는 고출력의 싱글 앰프를 제작하기 위해 KT120을 병렬로 구성하였습니다.

울트라 리니어 모드와 트라이오드 모드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드 전환 스위치를 마련하였습니다.

 

이 스위치는 KT120 뒤편에 있습니다.

울트라 리니어 모드일 때는 조금 더 화사하고 힘찬 소리의 음질이며,

트라이오드 모드일 때는 출력은 줄어지지만 조금 더 온화하고 나긋나긋한 음질입니다.

 

스피커의 음색이나 좋아하시는 장르에 따라 모드를 전환하며 들으실 수 있습니다.

이때 L/R로 구분된 두 개의 전환 스위치의 위치는 항상 같아야 합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06.jpg

 

 

아마레 플래티늄의 의 전기적 특성입니다.
형식: KT120을 병렬 접속한 싱글 파워앰프
1. 출력:
울트라 리니어 모드: 44W + 44W
트라이오드 모드: 33W + 33W
2. 이득:
울트라 리니어 모드: 27배
트라이오드 모드: 20배
3. 주파수 특성: -3dB  3W기준
고역 상한 주파수: 49.5KHz
저역 하한 주파수: 5Hz
4. 사용 진공관: KT120 × 4개   6SN7 × 4개
5. 입력 임피던스: 100K
6. 출력 임피던스: 4옴, 8옴
7. 크기: W430   D340   H215

8. 중량: 25kg

 

 

 

아마레 플래티늄의 내부입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20.jpg

 

 

부품의 리드가 러그 단자에 직접 납땜되는 하드와이어링으로 배선하여 우수한 전기적인 특성과 함께 고음질로 완성되었습니다.

 

 

하드와이어링 배선은 하나하나 러그 단자에 직접 납땜되는 특성상 잔고장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장점으로 외국에 사시는 교포분께서도 주문해 주십니다.

지금까지 외국으로 보낸 제품이 고장이 생긴 경우는 단 한 번도 없었습니다. 

 

 

아마레 플래티늄의 후면입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14.jpg

 

좌측에 RCA 입력 단자가 있으며,

중앙에 4옴과 8옴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는 바인딩 포스트 단자가 있습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16.jpg

 

 

후면 사진 한 장 더 있습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18.jpg

 

 

아마레 플래티늄의 밒면입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22.jpg

 

 

아마레 플래티늄은 싱글 앰프의 섬세하고 유려한 음색을 잘 표현하면서도 강력한 출력을 겸비하였습니다.

 

진공관 앰프를 듣게 되면서 다양한 진공관 앰프의 음색을 즐기시지만,

진공관 앰프 중에서도 싱글 앰프는 오직 진공관 소자로만 가능하기에 특별하다 할 것입니다.

 

윤** 선생님의 아마레 플래티늄입니다.

3일간의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가 끝나는 26일(월) 이후 언제든지 납품이 가능합니다.

 

 

20210724아마레플래티늄 010.jpg

 

고맙습니다.


  1. 766 10W +10W 2A3 디퍼런셜 파워앰프 푼타뮤지카 SE2

    푼타뮤지카 SE2는 2A3를 디퍼런셜로 구동하여 출력 10W + 10W를 뽑고 있습니다. 진공관 앰프를 오래 사용하셨더라도 2A3 진공관을 잘 모르시는 분이 많습니다. 3.5W의 작은 출력으로 울리기 쉬운 스피커는 흔하지 않으니 더욱 그럴 것입니다. 웨스턴 일렉트릭...
    Date2021.10.05 By서병익 Reply0 Views386 file
    Read More
  2. 765 네트워크 플레이어 M-1 MK2

    네트워크 플레이어 M-1 MK2입니다. 먼저 소개한 메디움 MK2에 이어 완성하였으나 오늘에야 소개합니다. 지난 6월 그동안 M-1에 사용하던 라즈베리파이 3B+를 4B로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4B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와이파이 5.0GHz(IEEE 802.11ac)가 지원됩니다. ...
    Date2021.10.03 By서병익 Reply0 Views253 file
    Read More
  3. 764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 두 대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두 대 중 한 대는 주문하신 분의 요청으로 음핑고 노브로 하였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두 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혹시... 고가의 하이엔드 앰프에서 리모컨 기능이...
    Date2021.09.29 By서병익 Reply0 Views234 file
    Read More
  4. 763 다기능 고음질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

    쏘나레 콘솔릿 SE입니다. 지난 토요일(18일) 완성하였습니다. 추석 연휴 특별히 다녀올 곳이 없는 사정상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위하여 음악을 들었습니다. 쏘나레 SE는 진공관 프리앰프에서 기대하는 모든 것을 담아낸 프리앰프라 할 수 있습니다. ...
    Date2021.09.21 By서병익 Reply0 Views301 file
    Read More
  5. 762 진공관 DAC 메디움 MK2

    진공관 DAC 메디움 MK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진공관 DAC 메디움 MK2는 근래 수입되는 DAC 제품과는 추구하는 방향이 다릅니다. 수입되는 DAC 제품의 특징은 최신 기술을 사용한 DAC를 사용하여 음질이 좋다.. 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최신형임을 강조합...
    Date2021.09.14 By서병익 Reply0 Views318 file
    Read More
  6. 761 3웨이 멀티채널 디바이더 벨리타스 플러스 SE

    3웨이 멀티 채널 디바이더 베리타스 플러스 SE입니다. 오늘 오전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주문하신 분께서 3웨이용 채널 디바이더인 베리타스 플러스 SE를 주문하셨지만, 우선은 2웨이 멀티 앰핑으로 운용하실 계획이라 ...
    Date2021.09.07 By서병익 Reply2 Views284 file
    Read More
  7. 760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CR형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오늘 완성되었습니다. 오디오를 하다 보면 같은 내용이라도 여러 의견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누구라도 다양한 의견을 말할 수 있지만,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내용이 난무하여 이제 막 오디오를 시작하는 분이라면 더욱 혼...
    Date2021.09.01 By서병익 Reply0 Views212 file
    Read More
  8. 759 10W + 10W A급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하였습니다. 델리카투스 GE를 소개해 올린 지 며칠 되지 않아 같은 내용이 중복될 수 있으니 오늘은 조금 다른 말씀을 간략히 올리겠습니다. 2009년 6월 11일 처음 사진으로 델리카투스를 소개하였는데, 이렇게 소...
    Date2021.08.28 By서병익 Reply2 Views286 file
    Read More
  9. 758 16W + 16W EL34 파라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XE

    비올레타 X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2012년 비올레타를 출시한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제작되고 있습니다. 싱글앰프의 음색을 좋아하시는 분이 많으시어 10년이 넘도록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 차례 초단 및 드라이브단의 회로가 업그레이드되면서 음...
    Date2021.08.25 By서병익 Reply2 Views766 file
    Read More
  10. 757 10W + 10W A급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델리카투스는 EL84를 A급 푸시풀로 구동하여 10W + 10W를 뽑고 있습니다. 델리카투스의 설계 목표가 높은 출력이었다면 17W + 17W를 뽑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델리카투스의 설계 목표는 고음질이었으므로 출력 10W ...
    Date2021.08.18 By서병익 Reply2 Views260 file
    Read More
  11. 756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4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4 메탈형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진공관 DAC 플레누스와 메디움 또는 아리에스에 사용하는 디지털 PCB는 20개 또는 30개를 기본으로 발주하여 사용합니다. 이때 DAC 칩을 바꿀 수도 있어서 이 시기에 발표된 여러 DAC 칩을 면밀히...
    Date2021.08.16 By서병익 Reply0 Views684 file
    Read More
  12. 755 32W + 32W EL34 푸시풀 파워앰프 쎄레노 MK2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파워앰프 쎄레노가 MK2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8월 5일(목) 완성하였으나 명판류가 입고되지 않아 사진으로 소개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명판이 입고되어 소개합니다. 쎄레노 MK2는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여 32W + 3...
    Date2021.08.11 By서병익 Reply0 Views277 file
    Read More
  13. 754 300B/ 2A3-40 19W+19W 파라싱글 모노블록 파워앰프 마그나노바

    300B와 2A3-40을 사용할 수 있는 파라싱글 파워앰프 마그나노바입니다. 10여 년 전에 출시하였던 동일 이름의 모노블록 파워앰프 마그나노바가 있습니다. 당시 획기적인 진공관이라고 평가받던 300B-XLS를 싱글로 구동하여 출력 20W를 뽑아내던 싱글 파워앰프...
    Date2021.08.08 By서병익 Reply0 Views428 file
    Read More
  14. 753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 MK2입니다. 지난 금요일(7/30) 완성하였습니다. 어제저녁 두어 시간 걸려 RCV MK2에 대한 글을 쓰다가 무슨 실수를 하였는지..... 쓰던 글이 모두 날아가니 힘이 빠지고 더 이상 글 쓸 만한 상황이 못되어 이렇게 늦어졌습니다. 지...
    Date2021.08.03 By서병익 Reply0 Views216 file
    Read More
  15. 752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CR형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로샤는 콘덴서와 저항의 감쇠특성을 이용한 CR형 RIAA 포노앰프입니다. 직경 30cm의 LP 면적에 가능한 한 많은 음악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진폭이 큰 저음은 줄이고 진폭이 작은 고음은 진폭을 늘려 주파수...
    Date2021.07.28 By서병익 Reply0 Views15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