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294 댓글 0

20200111ROCHA MK2 015.jpg

 

 

CR형 포노앰프 로샤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지난 토요일(1월 4일) 오래전에 쏘나레 콘솔릿을 구입하셨던 이*선 선생님께서 방문하셨는데, 쏘나레 콘솔릿의 소리가 예전 같지 않은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점검한 결과 B+ 전원 전압이 210V 정도로 낮았는데 정류관 6CA4를 교체하니 정상적인 B+ 전원 전압인 295V~300V 사이로 되었고, 나긋나긋하면서도 힘찬 소리로 돌아왔습니다.

 

며칠 전 공지사항으로 말씀 올렸던 다이오드 세트 우선 적용을 시행하게 된 동기이며,

이번에 제작한 로샤 MK2에 첫 적용 하였습니다.

 

경험이 많은 분이라면 정류관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최상의 상태에서 사용하시겠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도 고려하여 다이오드 세트를 기본으로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서병익오디오에서 소스 기기 및 프리앰프를 구입하시어 대략 3년 정도 사용하셨다면 이번 기회에 정류관 6CA4를 교체해 보시기를 권유합니다.

. 이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언제든지 전화주십시오.

 

위의 사진이 정류관 대신에 다이오드 세트를 사용한 경우입니다.

정류관 6CA4를 뽑고 그 자리에 다이오드 세트를 꽂았습니다.

 

 

아래 사진은 정류관 6CA4를 사용한 경우입니다.

20200111ROCHA MK2 017.jpg

 

 

메디움이나 플레누스, 여러 포노앰프, 프리앰프 등..... 모든 소스 기기 및 프리앰프에 방열형 정류관인 6CA4를 사용하는 관계로 대량 구입하여 아직도 50여 개가 남아 있습니다.

 

정류관으로 주문하실 분도 계시니 언젠가는 모두 사용하겠지만,

가급적이면 다이오드 세트로 주문하시는 것이 안정적인 특성으로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이오드 세트를 사용하시다 정류관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나중에 다이오드 세트를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제가 정류관에 직접 꽂아 사용할 수 있는 다이오드 세트를 별도로 판매하지 않아서입니다.

 

저의 사정도 고려하여 좋은 음질을 오래도록 사용하시기 바라는 마음으로 주문하실 때 1회에 한하여 다이오드 세트를 제작합니다.  

 

 

20200111ROCHA MK2 006.jpg

 

 

로샤 MK2는 CR형 등화회로(이퀄라이저)를 채용한 RIAA 포노앰프입니다.

특별히 RIAA 포노앰프라 하지 않아도 근래 제작되는 포노앰프는 1955년 제정된 RIAA 특성에 맞추어 제작합니다. 

 

등화 하는 방식은 크게 CR형과 NFB형으로 나뉩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만, 로샤에서는 저항과 콘덴서의 감쇠 특성을 이용한 CR형을 채택하였습니다.

 

CR형은 과도특성이 우수하여 음의 생동감과 해상력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대량으로 생산하는 양상형에는 적합하지 않아 널리 보급되지는 못하였고 고가의 제품에 주로 채용되고 있습니다.

 

서병익오디오의 모든 제품이 그렇지만, 로샤도 하드와이어링으로 배선되어 CR형에서 불리할 수 있는 모든 조건들을 기술적으로 완벽하게 해결하여 고음질 CR형 포노앰프로 발표하였고 지금은 MK2 버전으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반면, NFB(부귀환)형은 소자의 성능이 다소 미흡해도 부귀환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어 양산형 포노앰프에 널리 채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NFB 방식의 등화 특성상 고음으로 갈수록 최대 40dB 이상의 부귀환이 걸려야 하므로 과도특성이 열화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과도특성이란 입력된 신호의 흐름을 얼마나 빠르게 추종하여 증폭할 수 있는가...! 에 대한 항목입니다.

동특성이라 분류하며 부귀환의 양이 증가할수록 악화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정특성은 부귀환의 양이 증가할수록 개선됩니다.

정특성으로는

주파수특성, 왜율특성, 잡음특성 등... 이 있습니다.

 

 

로샤 MK2의 내부입니다.

20200111ROCHA MK2 008.jpg

 

 

신호부와 증폭부로 나뉘어 있으며

신호가 흐르는 부분에는 PRP 1/2W +- 1%급의 저항을 사용하였고, 전력이 필요한 곳에는 열에 강한 산화피막 3W 1%급의 저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로샤의 외형 특성상 높이가 낮은 트로이달 전원 트랜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로샤의 S/N 비를 향상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론에 입각한 이상적인 배선을 할 수 있는 하드와이어링 배선과 MOS FET로 구성된 리플필터 전원부에 있습니다.

 

고음질의 CR형 포노앰프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S/N 비이지만,  

이와 같은 회로적 배려로 인해 반도체 포노앰프에 버금가는 높은 S/N 비를 실현하였습니다.     

 

 

. 로샤 MK2의 전기적 제원
형식:  CR형 RIAA 등화회로를 탑재한 무귀환 포노앰프
1. 증폭도: 180배  1kHz 기준
2. 논 클립 출력전압: 44V
3. 사용 진공관: 12AX7/ ECC83S × 3, 6CA4× 1(또는 정류용 다이오드 세트)
4. 크기: W390  D370(단자류 포함)  H93mm       

5. 옵션: 내부에 승압 트랜스를 내장할 수 있습니다.

 

 

로샤 MK2의 후면입니다.

20200111ROCHA MK2 026.jpg

 

 

좌측부터 포노 1, 포노 2 순으로 RCA 입력 단자가 있으며, 중앙에는 RCA 출력 단자가 있습니다.

포노 1에는 16배의 승압비를 가지는 승압 트랜스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20200111ROCHA MK2 005.jpg

 

 

  

로샤 MK2의 전원을 ON/ OFF 하는 릴레이 PCB 부근입니다.

20200111ROCHA MK2 007.jpg

 

 

로샤 MK2의 전원 스위치는 세이덴 셀렉타가 릴레이를 구동하여 전원을 ON/ OFF 합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여유 있는 회로 설계로 빈번히 사용하는 전원 스위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20200111ROCHA MK2 018.jpg

 

 

로샤 MK2는 CR형 포노앰프 특유의 화사함과 더불어 부드러운 음색이 특징입니다.

한없이 올라가는 고음에서도 전혀 자극적이지 않습니다. 

 

장* 수 선생님의 로샤 MK2입니다.

3일간의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가 끝나는 15일(수) 이후 언제든지 납품할 수 있습니다.

 

20200111ROCHA MK2 021.jpg

 

고맙습니다.


  1. 647 CR형 포노앰프 로샤 MK2

    CR형 포노앰프 로샤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지난 토요일(1월 4일) 오래전에 쏘나레 콘솔릿을 구입하셨던 이*선 선생님께서 방문하셨는데, 쏘나레 콘솔릿의 소리가 예전 같지 않은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점검한 결과 B+ 전원 전압이 210V 정도로 낮...
    Date2020.01.12 By서병익 Reply0 Views294 file
    Read More
  2. 646 A급 10W + 10W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2대를 동시에 제작하던 중 한 대는 어제, 나머지는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델리카투스는 2009년 6월 첫 출시 후 지금에 이르러 10년이 넘었습니다. 그동안 음질 향상을 위한 회로기술의 발전을 반영하기 위해 몇 번의 업그레이드를 하였고...
    Date2020.01.04 By서병익 Reply0 Views1097 file
    Read More
  3. 645 30W + 30W KT120 디퍼런셜 파워앰프 인뎁스 XE 우드형

    2020년 새해를 맞아 서병익오디오를 즐겨 찾아주시는 회원 여러분에게 인사 올립니다. 새해에도 더욱 강건하시고 하시는 일 순조로우시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첫 작품을 소개합니다. 오늘 출근하여 완성하였습니다. KT120을 디퍼런셜로 구동하여 논클립 실효출...
    Date2020.01.01 By서병익 Reply0 Views456 file
    Read More
  4. 644 오디오용 2kW 차폐 트랜스 ST-2000 XE

    차폐 트랜스 ST-2000 XE 6대입니다. 지난 토요일 완성하였지만, 미처 사진을 찍지 못하여 오늘 소개합니다. 얼마 전부터 옥션이나 G마켓에서 차폐 트랜스 ST-2000 XE를 판매하기 시작하였는데, 홈페이지 결제창에서 BC카드 결제가 불가능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Date2019.12.30 By서병익 Reply0 Views470 file
    Read More
  5. 643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 메탈형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메탈형 버전으로 2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요즘은 CD나 음원 파일이 주요 소스이다 보니 DAC의 음질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시스템 가장 앞에 위치하여 음질의 변화가 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
    Date2019.12.23 By서병익 Reply4 Views351 file
    Read More
  6. 642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입니다. 지난 월요일 16일 오전에 완성하였습니다. 며칠 전 플레누스 MK3를 소개하면서 자세히 말씀드렸으므로 오늘은 조금 간략히 소개 말씀 올립니다. 위의 사진 전면판 뒤로 ECC99가 조금 보입니다. 이 진공관은 초단 및 드라이브용...
    Date2019.12.18 By서병익 Reply0 Views314 file
    Read More
  7. 641 EL34 A급 트라이오드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 XE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인티앰프 올로로사가 XE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EL34는 방열형 5극관으로 플레이트 손실 25W로 가정용으로 사용하기 적당한 출력을 뽑아내는 데는 부족함이 없고 음질 또한 좋습니다. 5극관은 서프레서 그리드를 어떻게 결...
    Date2019.12.12 By서병익 Reply0 Views467 file
    Read More
  8. 640 라우드네스 프리앰프 벨루스 SE

    라우드네스 프리앰프 벨루스 S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오디오 시스템을 구성할 때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음질적으로 더 유리합니다. 그러나 처음 오디오를 시작하며 분리형으로 시작하는 경우도 흔치 않으며, 인티앰프로 시작...
    Date2019.12.09 By서병익 Reply3 Views298 file
    Read More
  9. 639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지난 토요일 거의 제작하였으나 완성하지는 못하고 퇴근하였습니다. 오늘 출근하여 완성하였고,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평소 FM클래식(청주는 94.1MHz) 방...
    Date2019.12.02 By서병익 Reply0 Views310 file
    Read More
  10. 638 CR형 포노앰프 로샤 MK2

    CR형 RIAA 포노앰프 로샤 MK2입니다.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를 제작하고 있고 거의 마무리 단계에서 오늘 받기로 한 전면판을 받지 못하였습니다. 택배로 받다 보니 오늘 받기 위해서는 어제 발송하여야 했는데, 일정상 그러하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플레누...
    Date2019.11.29 By서병익 Reply0 Views199 file
    Read More
  11. 637 CR형 포노앰프를 실장한 프리앰프 쏘나레 플러스

    쏘나레 플러스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쏘나레 플러스는 CR형 포노앰프를 내장하여 별도의 포노앰프 없이 LP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특히, 쏘나레 플러스는 포노부를 특화하여 LP를 즐겨 사용하시는 분에게 유용할 수 있는 럼블필터와 스크래치 필터, 그...
    Date2019.11.23 By서병익 Reply0 Views401 file
    Read More
  12. 636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 ORPEO

    신모델입니다. 승압 트랜스를 대신해 사용할 수 있는 진공관식 헤드앰프 오르페오입니다. 포노앰프도 오디오 시스템의 가장 앞에 위치하여 높은 S/N 비가 필요하지만, 헤드앰프는 포노앰프 앞에 위치하는 만큼, 더욱 높은 S/N 비가 필요합니다. 이런 이유로 소...
    Date2019.11.16 By서병익 Reply0 Views401 file
    Read More
  13. 635 2kW 차폐 트랜스 ST-2000 XE

    차폐 트랜스 ST-2000 XE입니다. 승압트랜스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헤드앰프 "오르페오"를 제작하던 중 전면판에 긁히는 기스가 발견되어 다시 제작하였습니다. 이렇게 발생한 예기치 않은 시간에 ST-2000 XE 5대를 제작하였습니다. 주문하신 분은 총 3분이고, 2...
    Date2019.11.11 By서병익 Reply2 Views329 file
    Read More
  14. 634 가변 E, Q기능을 실장한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

    TCR 플래티늄입니다. 어제 완성하였는데 집안일로 사진을 찍지 못하여 오늘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RIAA 커브를 비롯하여 다양한 특성으로 제작된 모노 음반까지 들을 수 있는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입니다. LP를 듣기 위해 필요한 것이 포노앰프입니다. 대부분...
    Date2019.11.08 By서병익 Reply0 Views215 file
    Read More
  15. 633 3웨이 멀티앰핑용 채널 디바이더 베리타스 플러스 SE

    3웨이 진공관 채널 디바이더 베리타스 플러스 SE입니다. 어제(금요일) 늦은 오후에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만 확인한 후 퇴근하고, 오늘 출근하여 3웨이 멀티앰핑으로 결선하여 히어링테스트를 하였습니다. 2웨이용 채널 디바이더 베리타스도 있고 3웨이 채널 디...
    Date2019.11.03 By서병익 Reply0 Views33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