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216 댓글 6

20230601벨루스 XE-31.jpg

 

 

 

벨루스 XE 4대입니다.

오늘 로젠 텍배로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 성함입니다.

서남* 선생님

김효* 선생님

전승* 선생님

이필* 선생님 이렇게 4분입니다.

 

 

그동안 작업실 게시판을 통해 진공관 앰프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을 위해 여러 시각으로 다양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정작 벨루스 XE의 전면에 부착된 메타의 용도에 대해 자주 반복하여 말씀 올리지 못하였습니다. 

 

 

20230601벨루스 XE-27.jpg

 

 

 

디자인 측면에서는 아날로그적인 느낌이 물씬 풍기는 이 메타는 정류관 EZ81/ 6CA4의 성능을 감지하는 용도입니다.

 

지금과 같은 디자인으로 바뀌기 전에는

즉, EX 버전 이전에는 벨루스를 사용하시는 분이 정류관의 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습니다.

 

최소 2년 정도 사용하다 주기적으로 교환 하는 것을 추천하였지만, 

이런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시고 정류관이 수명을 다한 상태에서 사용하시는 분이 계시어 대책이 필요하였습니다.

 

 

20230601벨루스 XE-07.jpg

 

 

그때 마련한 대책이 두 가지인데

그중 하나는 정류관을 통해 나온 B+ 전원 전압을 지시하는 메타를, 전면판에 배치하여 정류관의 에미션 감퇴를 메타의 지침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원 스위치를 켜면 약 1시 정도의 위치를 지침으로 표시하는데 정류관이 에미션 감퇴로 B+ 전원 전압이 점점 낮아지면 메타의 지침도 점점 낮아져 12시 정도에 오면 그때 정류관을 교환하면 됩니다.

 

두 번째는 정류관의 작용과 다이오드의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다이오드에 대한 장점을 알고 처음부터 정류관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20230601벨루스 XE-08.jpg

 

 

 

이런 차원에서 오늘은 정류관에 대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에디슨이 발명한 백열전구에 존 플레밍이 전극을 하나 넣어 만든 것이 정류관인데

정류관의 특징은 한쪽으로만 전류를 흘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교차하는 교류에서 어느 한쪽 파형만 검출해 낼 수 있는 소자이며,

반도체에도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실리콘 정류 다이오드가 있습니다.

 

처음 만들어진 정류관은 직열형 정류관입니다.

히터가 가열되면 히터에서 열전자가 튀어나와 고전압이 걸려있는 애노드로 이끌려 갑니다.

 

이 과정에서 애노드에서 히터 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히터에서 열전자가 방출되어 애노드로 이동하면 전류는 애노드에서 히터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어 결국 플러스만 정류관을 통과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정류라 하고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소자를 정류관이라 합니다.

 

 

20230601벨루스 XE-09-1.jpg

 

 

그런데 정류관은 단점이 있는데,

그것은 사용자가 수명이 다한 정류관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류관을 비롯한 모든 진공관은 히터 또는 캐소드에서 방출되는 열전자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릅니다.

그런데 열전자의 방출은 유한하여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점점 전류의 양이 줄어집니다.

 

증폭용 진공관은 에미션 감퇴가 시작되면

소리가 작아지거나 또는 전에 들리지 않던 특유의 지그럭거리는 노이즈가 들리기 시작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으나 정류관은 아주 서서히 B+ 전원 전압이 낮아지기에 소리로 그 차이를 구분하여 대처할 수 없습니다. 

 

 

20230601벨루스 XE-10.jpg

 

 

이런 이유로 앰프 제조사는 정류관을 대체할 만한 소자가 출현하기를 열망하고 있었으니

바로 셀렌 정류기의 출현으로 대체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셀렌 정류기의 특성이 안정적이지 않아 잦은 고장으로 일부 제조사에서 일부 모델에만 채용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실리콘 정류 다이오드가 출현하면서 여러 오디오 기기 제조사에서는 앞다투어 채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실리콘 다이오드는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기기 안정성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20230601벨루스 XE-04.jpg

 

 

일부 오디오마니아 사이에서는 정류관을 사용해야 음질이 좋다고 주장하는 분이 계십니다.

 

이런 주장은 우선 그럴듯하여 한때는 프리앰프에 정류관이 있느냐... 없느냐..! 는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여러분이 잘 아시는 매킨토시의 C22 프리앰프, 마란츠 #7 프리앰프 모두 실리콘 다이오드로 정류하는 기기입니다.

 

정류관을 사용해야 음질이 좋다는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 기기들의 음질은 어떨까요....!!

 

열거한 두 제조사만 그런 것이 아니고

실리콘 다이오드가 출시되자 그 당시 모든 제조사가 일시에 모든 기기에 다이오드를 적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잘못된 오디오 상식으로 정류관을 선호하는 분이 많아

서병익오디오에서도 어쩔 수 없이 정류관을 채용하여 제품을 만들었지만, 

적극적으로 설명하여 가능한 한 다이오드를 선택하실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요즘은 대부분 다이오드 세트를 선택하십니다.

 

그러나 일말의 아쉬움도 남기지 않으려 여전히 선택하실 수 있도록 정류관 소켓은 남아있습니다.

언제라도 정류관을 사용하고 싶으시면 다이오드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정류관(EZ81 또는 6CA4)을 꽂아 쓰시면 됩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회로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정류관용 소켓마저도 없애는 과정에 있습니다.

굳이 정류관을 사용할 아무런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정류관을 사용하면 히터가 캐소드를 달구고 열전자가 방출되기 시작하면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데 이 과정을 거치면서 B+ 전원 전압이 서서히 증가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런데 서병익오디오의 모든 소스기기 및 프리앰프에는 창업 초기부터 MOS FET로 구성된 리플 필터를 사용하여 배터리에 버금가는 매끈한 직류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 리플필터가 동작하는 회로 구조상 정류관을 사용했을 때보다 더 완만히 B+ 전원 전압이 증가하여 정류관에만 있는 장점이 아닙니다.

 

 

벨루스 XE의 후면입니다.

20230601벨루스 XE-11.jpg

 

 

4 계통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RCA 단자가 있습니다.

 

 

20230601벨루스 XE-13.jpg

 

 

두 조의 RCA 출력 단자가 있습니다.

 

이 두 개의 출력 단자는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측에 AC 인렛 단자가 있습니다.

이 단자 하단에는 예비용 퓨즈가 들어 있습니다.

 

퓨즈가 끊어졌을 때 사용하시면 되는데 어떻게 퓨즈를 교환하는지 모르실 경우 언제든지 전화주십시오..

퓨즈 교환하는 영상을 준비해 두었습니다.

 

 

20230601벨루스 XE-19.jpg

 

 

 

벨루스 XE의 음질은 유려한 배음이 공간을 가득 채우는 나긋나긋한 음질이라고 소개하고 싶습니다.

 

부드러운 음색은 피곤함에 지친 심신을 편안히 이완합니다.

 

비록 반도체 파워앰프 또는 인티앰프를 사용하시는 분이라도 벨루스 XE와 매칭하시면 공간을 가득 채우는 유려한 배음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반도체 소자 앰프가 배음을 만들지는 못하지만,

배음을 없애는 능력까지 있는 것은 아니기에 그렇습니다.

 

 

벨루스 XE를 받으시고 불편하시거나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서슴지 마시고 전화주십시오.

가끔 문자로 문의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문자로 답변할 수 없으니 결국 제가 전화를 드리게 됩니다.

 

그러니 전혀 어려워하지 마시고 편안히 전화주십시오..

전화를 주시면 제가 얼마나 반가워하는지 아시게 됩니다...

 

 

다음주에 받으실 분 성함입니다.

권선* 선생님

박준* 선생님

김도* 선생님

최병* 선생님 이렇게 4분입니다.

 

시간 되실 때 회원 가입 시 남기신 주소를 확인해 주십시오.  

로젠 택배를 등록할 때 오타를 방지하기 위해 홈피의 회원 정보를 복사해 붙여 입력하고 있습니다.

 

문자로 배송지 주소를 보내 주시면 제가 실수하여 회원 정보를 기준으로 발송할 수 있으니 반드시 회원정보를 확인 및 수정해 주셔야 배송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잘못 보내지면 회수하는데만 최소 3일 정도 소요됩니다.

 

다음 주 금요일 이전까지 잔금 입금도 부탁드립니다.

 

 

20230601벨루스 XE-27.jpg

 

 

고맙습니다.

  • 긴나라 2023.06.04 19:42

    앰프 잘 받았습니다. 만족할 만한 소리가 납니다. 더우기 친절한 상담에 감사드립니다. 

  • 서병익 2023.06.04 21:12
    예.... 선생님
    벨루스 XE의 소리가 마음에 드신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사용하시다 조금이라도 불편하시거나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전화 주십시오....!
    고맙습니다...^^
  • nababo 2023.06.04 21:28

    또 다른 질문입니다.

    *

    현재 사용 중인 TR  inti 앰프에 벨루스 XE를 연결하여, TR앰프를 POWER앰프로 사용해보고자 해서, 운용 방법에 대한 설명을 읽어 보고, 인티 앰프 LINE 단에 벨루스 out  단자 연결해 보고자하는데, ( 인티앰프에 PRE-in 단자는 없습니다.),

    **

    이경우 벨루스 XE 에서 들어 온 신호가, 현재의 인티앰프 안의 PRE 부분을 거쳐서 POWER 부분을 거쳐 최종 out 되는 것이 아닌가요? 그럴다면 벨루스XE pre 앰프를 사용하는 것이 아무 소용이 없는게 아닌가 의심이 되어 질문합니다.만약 차이 점이 았다면 무엇일까요?

  • 서병익 2023.06.04 23:13

    예...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www.sbiaudio.com/technology_colum/27598

     

    이 내용은 증폭의 원리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나서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그러니 글로 제대로 답변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궁금해 하시는 분이 많으시니 앞으로

    이 내용에 대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해설하려 합니다.

     

  • 이기자 2023.06.05 16:55

    앰프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서병익 2023.06.05 17:15
    예.... 선생님 사용하시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전화 주십시오.....^^

  1. 918 유니크와 TCV 그리고 벨루스 XE

    유니크와 TCV 그리고 벨루스 XE 총 5대입니다. 오늘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마지막으로 수거하는 날입니다. 배송은 하시지만, 수거는 오늘까지만 한답니다. 로젠택배 사장님께서 약 보름 전에 이런 상황을 알려주셨기에 금요일 발송분을 미리 준비하여 오늘 발...
    Date2023.09.26 By서병익 Reply2 Views186 file
    Read More
  2. 917 유니크와 TCV 그리고 벨루스 XE

    유니크와 TCV 그리고 벨루스 XE입니다.그동안 벨루스 XE에 대한 소개는 많이 하였으므로 오늘은 유니크에 대하여 알아봅니다.TCV에 대한 내용도 같이합니다.오늘은 프리앰프 3종 공동제작의 첫 번째 납품입니다.이번에 받으시는 분은 강*원 선생님 벨루스 XE ...
    Date2023.09.22 By서병익 Reply2 Views261 file
    Read More
  3. 916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입니다. 지난 11일부터 제작하기 시작하여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지난달 플레누스 MK5를 완성하여 소개하면서 회로 부분에 대해 충분히 말씀드렸으므로 오늘은 어떤 과정을 거치며 플레누스가 탄생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
    Date2023.09.19 By서병익 Reply0 Views226 file
    Read More
  4. 915 2A3-40/300B 겸용 8W+ 8W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XE

    새티늄 XE입니다. 시작은 2대를 동시에 하였지만, 배선하는 과정에서 시간차가 발생하여 오늘 소개합니다. 지난 토요일(9일) 늦은 시간에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오늘 사진찍어 소개 합니다. 오늘은 새티늄 XE의 회로에 대한 소개 말씀입니다. 이...
    Date2023.09.12 By서병익 Reply0 Views254 file
    Read More
  5. 914 2A3-40/300B 겸용 8W+ 8W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XE

    2A3-40/300B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XE입니다. 두 대를 제작 중 오늘 먼저 완성된 새티늄 XE를 소개합니다. 새티늄 XE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2A3-40과 300B를 바꾸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앰프입니다. 오디오용 진공관 역사상 가...
    Date2023.09.06 By서병익 Reply0 Views197 file
    Read More
  6. 913 A급 20W+20W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파라렐

    A급으로 20W+20W의 출력을 뽑아내는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파라렐입니다. 델리카투스 파라렐을 제작하여 청음실에서 히어링 테스트를 하던 중 어제 판매를 하였습니다. 완성 후 사진은 찍어 놓았으나 요즘 많이 바쁘고 피곤하기도 하여 작업실에 소개 글 올리는...
    Date2023.08.31 By서병익 Reply0 Views234 file
    Read More
  7. 912 진공관 톤 컨트롤 프리앰프 유니크

    톤 컨트롤 기능을 실장 한 프리앰프 유니크입니다. 지난 6일 휴가를 마치고 돌아온 후 완성하여 청음실에서 듣고 있었으나 전면판이 준비되지 않아 소개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전면판이 도작하여 소개합니다. 새로운 프리앰프입니다. 인티앰프를 사용하...
    Date2023.08.21 By서병익 Reply0 Views936 file
    Read More
  8. 911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입니다. 지난 토요일(12일) 완성하였습니다. 약 한 달 전에 플레누스 MK5를 소개하면서 플레누스에는 OP AMP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OP AMP를 오디오 기기에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하여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DAC 칩에서 아...
    Date2023.08.16 By서병익 Reply2 Views257 file
    Read More
  9. 910 진공관 톤 컨트롤러 TCV

    진공관 톤 컨트롤러 TCV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얼마 전 시제품을 소개하면서 톤 컨트롤 기능에 대해서 말씀드렸기에 오늘은 회로적인 부분에 대해 소개합니다. 톤 컨트롤 회로는 크게 CR 감쇠형과 NFB형이 있습니다. 톤 컨트롤 본연의 기능은 어떤 방식...
    Date2023.08.09 By서병익 Reply11 Views278 file
    Read More
  10. 909 A급 20W+20W EL84 파라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파라렐

    델리카투스를 업그레이드했다고 하기에는 너무 많이 달라진 델리카투스 파라렐 버전을 소개합니다. 약 1주일 전에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가혹한 조건으로 청음실에서 히어링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가혹한 조건이란 실사용 환경에서는 있을 수 없...
    Date2023.07.25 By서병익 Reply0 Views307 file
    Read More
  11. 908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CR형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오늘 3대를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 성함입니다. 이*호 선생님 손*호 선생님 조*욱 선생님 이렇게 3분입니다. 오늘 3대를 발송함으로써 로샤 SE 공동제작이 완료되었습니다. 서병익오디오의 무상 AS 관련 내용을 알...
    Date2023.07.22 By서병익 Reply3 Views139 file
    Read More
  12. 907 네트워크 플레이어 M1-MK2

    네트워크 플레이어 M1-MK2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3분이 주문하시어 3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근래 사용하기 좋은 네트워크 플레이어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지만, 리니어 전원으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플레이어는 흔치 않습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M-1...
    Date2023.07.20 By서병익 Reply0 Views209 file
    Read More
  13. 906 진공관 톤 컨트롤러 TCV

    진공관으로 구성된 톤 컨트롤러 TCV입니다. 신모델입니다. 신모델이라 해도 외형은 그동안의 소스 기기와 동일합니다. 공동제작에 꾸준히 참여해 주신 분이면 공감하시겠지만, 하나씩 겹쳐 놓으면 오디오에 필요한 거의 모든 시스템을 구축하실 수 있습니다. ...
    Date2023.07.17 By서병익 Reply4 Views531 file
    Read More
  14. 905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수일간 지속되는 장맛비에 피해는 없으신지요? 아무쪼록 여러분의 가정은 무탈하고 편안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청주도 온종일 비가 세차게 내립니다. 포장 박스 전체를 공업용 랩으로 꼼꼼히 감싸기는 했지만, 비가 쉽게 그칠 것 같지 않아 걱정이 앞섭니다. 오...
    Date2023.07.14 By서병익 Reply0 Views104 file
    Read More
  15. 904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

    플레누스 MK5입니다. 지난 토요일(8일) 늦은 시간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한 후 청음실에서 히어링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근래 주요 음악 소스가 디지털 음원이다 보니 어떤 DAC를 소장했는가... 에 따라 전체적인 음질에 대한 퀄리티가 결정된다고 해...
    Date2023.07.11 By서병익 Reply0 Views15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