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157 댓글 6

20230525벨루스 XE 019.jpg

 

 

 

벨루스 XE 4대입니다.

오늘 로젠택배로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 성함입니다.

송*호 선생님

김*규 선생님

전*진 선생님

윤*수 선생님 이렇게 4분입니다.

 

 

 

벨루스 XE 공동제작에 참여하신 분은 반드시 무상 AS관련 기준을 숙지하여 주십시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무상 AS 관련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www.sbiaudio.com/notice/7383

 

 

20230525벨루스 XE 010.jpg

 

 

 

벨루스 XE를 받으시면 즉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진공관 앰프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을 위하여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내용을 말씀드립니다.

 

1. 진공관 소자는 반도체 소자와 상반된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특징이

진공관 소자는 전압 제어소자이기 때문에 입력 저항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반도체 소자는 전류 제어 소자이기 때문에 입력 저항이 낮습니다.

 

 

이상적인 증폭기의 입, 출력 특성을 보면,

입력 임피던스는 높을수록, 출력 임피던스는 낮을 수록 좋습니다.

 

임피던스라는 용어가 전자공학에서 주로 사용하다 보니 생소할 수 있지만,

임피던스는 교류저항과 직류저항의 합성 저항값을 말합니다.

 

반도체 앰프의 입력 임피던스를 높이기 위해 입력 저항을 470㏀으로 높인다 해도 입력 임피던스가 높아지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반도체 소자의 입력 저항은 수 ㏀ 정도이고 입력 저항 470㏀과 병렬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진공관 앰프에서는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반도체 앰프에 비해 최소 10배 이상 높은 입력 임피던스값을 갖습니다.   

 

 

20230525벨루스 XE 011.jpg

 

 

이런 이유로 진공관 앰프는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습니다.

따라서 반도체 앰프에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경우라도 진공관 앰프를 사용할 때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공유기 노이즈입니다.

 

진공관 앰프(프리 및 인티앰프 포함 )를 연결하였을 때 스피커에서 따다다.....(작은 소리지만 반복되는 특징) 하는 소리가 들릴 때는 대부분 공유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공유기는 디지털 신호를 강력하게 공중에 뿌려줍니다.

 

그러니 입력 임피던스가 높은 진공관 앰프 근처에 이런 공유기가 있다면 쉽게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20230525벨루스 XE 004.jpg

 

 

따다다..... 하는 반복적인 노이즈가 날 때

원인을 확인하는 방법은 이외로 간단한데,

그것은 진공관 앰프는 동작 상태로 그대로 두시고 주위의 전자 기기를 하나씩 차례로 OFF 시켜 보는 것입니다. 

 

가장 먼저 공유기부터 꺼 봅니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주위에 있는 PC, TV 등... 을 끄다 보면 반드시 원인이 나오게 됩니다.

 

 

만약, 노이즈의 원인이 공유기로 확인되면 가능한 한 멀리 놓으면 해결되겠지만, 

사정상 공유기를 멀리 놓을 수 없는 구조일 때는 공유기 안테나를 이리저리 움직여 가며 노이즈가 적어지는 위치를 찾아봅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반드시 노이즈의 원인을 찾으실 수 있고 적절히 조치하실 수 있을 겁니다.

 

 

20230525벨루스 XE 007.jpg

 

 

여기서 한 가지,

이렇게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면 진공관 앰프의 단점이 아닐까....!!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입력 임피던스가 높다는 것은 진공관 소자의 우수한 장점 중 하나입니다. 

 

앞서 이상적인 증폭기의 특성 중에서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피던스는 낮은 것이 좋다는 내용을 기억하시면 나중에라도 반드시 참고가 될 만한 상황이 옵니다.

 

 

20230525벨루스 XE 008-1.jpg

 

 

 

2. 에이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인터넷이나 서병익오디오의 사용후기를 보면 처음에는 까칠한 소리가 나서 실망하였으나 며칠 사용해 보니 에이징이 되어 소리가 많이 부드러워졌다는 글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에이징이 되면 소리가 더 좋아질 것 같아 수일간 전원을 넣고 있다는 글도 가끔 보입니다.

 

진공관 앰프는 며칠 또는 몇 달 사용하였다고 에이징이 되는 것이 전혀 아닙니다.

에이징이란 노화를 의미합니다.

며칠 또는 몇 달 사용하였다고 노화 현상이 나타날까요...!!

 

 

20230525벨루스 XE 014.jpg

 

 

 

진공관 소자는 

히터가 캐소드를 가열하면 열전자가 방출되어 플레이트로 이끌려 갑니다.

캐소드가 충분히 가열되어 안정적으로 열전자를 방출하려면 최소 10분 이상은 걸립니다.

넉넉하게 잡으면 30분 정도 걸린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진공관 앰프를 처음 ON 하였을 때 까칠하게 들릴 수 있는 것입니다.

 

진공관을 동작시키는 바이어스 방법 중에 사용자가 직접 전류를 조정하는 고정 바이어스 방식을 채용한 앰프가 있습니다. (서병익오디오에서는 칼리오페 GR이 고정바이어스 방식의 인티앰프입니다.)

 

이때 전류를 조정하여 확인할 때는 반드시 30분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조정을 해야 합니다.

전류가 안정되기 시작하는 때가 통전 후 약 30분이 지나서이기 때문입니다. 

 

 

20230525벨루스 XE 012.jpg

 

 

진공관 앰프를 처음 사용하는 분이라면

그것도 한 달여 기다리다 받은 진공관 앰프라면 더욱 많은 기대감이 생길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처음 진공관 앰프에서 나오는 소리가 까칠하다면 얼마나 실망감이 크겠습니까... 

우리(오디오 마니아)가 좋은 소리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데는 5초면 충분합니다.

 

그러다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 진공관이 열 받으면 다시 느껴집니다... 

많이 부드러워졌는데.. 역시 에이징을 해야 하나 보다... 

이렇게 생각하게 되는 것이지요...

 

에이징에 대한 급한 마음으로 전원 스위치를 수일간 통전해 놓기도 합니다. 

 

 

20230525벨루스 XE 016.jpg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진공관은 캐소드가 충분히 가열되어야 소리가 좋아진다.. 정도만 이해하시면 거의 대부분 해소될 내용입니다.

 

 

 

20230525벨루스 XE 017.jpg

 

 

오히려 특징적인 것은 진공관 앰프는 전원을 처음 켜면 저음이 잘 안 나옵니다.

 

왜냐하면,

앰프는 저음이 날때 큰 전류가 흘러야 하지만,

캐소드가 충분히 가열되기 이전이라 전류가 충분히 흐르지 못해 그렇습니다.

 

그러나 한 곡 정도 듣고 나면 이런 증상은 완벽하게 해소됩니다. 

 

 

20230525벨루스 XE 018.jpg

 

 

이런 특징들을 미리 알고 있다면 처음 나오는 소리에 실망하는 일도, 수일 간 앰프의 전원을 넣어 두는 일도 없으실 것입니다. 

 

한 가지 

에이징에 대한 부연 설명을 한다면,

진공관을 사용하다 보면 캐소드의 열전자가 소진되어 전류가 줄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현상을 에미션 감퇴라고합니다.

 

신관을 구입하여 일 년 정도 사용하다 보면 음질이 더욱 부드러워졌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진공관의 에이징으로 인한 음색의 변화입니다. 

 

이것이 회로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회로 기법이기도 합니다.

회로 설계를 어떻게 하느냐..!! 에 따라 음질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데 

부드러운 소리가 주목적일 때는 동작 전류를 작게 잡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할  경우 상대적으로 소리는 부드러워지는데 힘찬 소리는 나오지 않습니다.

회로 설계란... 이득의 배분과 동작 전류의 설정이라는 말로 대변되는 이유입니다.

 

이렇게 전류를 적절히 배분하면 부드러우면서도 특유의 소리가 될 수 있도록 각 모델마다 음색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에미션 감퇴로 전류가 점점 줄어지면 소리가 더욱 부드럽게 들리는 이론적 이유입니다. 

 

그렇다고 하여 구관을 구입하여 듣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진공관은 본래 소모품입니다.

즉, 수명이 정해져 있는 부품입니다.

 

구관을 구입한다는 것은 누군가 쓸 만큼 쓰다가 판매하는 것을 잔여 수명도 모르는 채 구입하게 되는 것입니다.

 

가끔 진공관 체크기로 확인하였다는 문구도 있습니다.

그러나 진공관은 반드시 전류가 줄어져 못 쓰는 것만이 아닙니다.

 

전류량은 충분하지만, 노이즈 때문에 못 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가끔 문의 전화가 옵니다.

잘 쓰고 있었는데 갑자기 한쪽에서 이상한 잡음이 들린다고 합니다.

 

진공관 구관으로 꽂으셨지요....?

라는 저의 질문에 대부분 예... 라고 하십니다..

 

여러분이 이 글을 꼭 기억하시기를 기대합니다.

 

 

20230525벨루스 XE 015.jpg

 

 

구관 꽂아서 소리 좋아지는 정도의 음질 향상이라면 

신관으로 일 년 정도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루하루 에이징되는 과정을 즐긴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어떠신지요... 

 

 

벨루스 XE의 제작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음 주에 받으실 분 성함입니다.

 

서남* 선생님

김효* 선생님

전승* 선생님

이필* 선생님 이렇게 4분입니다.

 

 

20230525벨루스 XE 021.jpg

 

 

고맙습니다.

  • nababo 2023.05.30 19:05

    오늘 오후에 텍배 수령하였습니다. 아직 내용물 test는 하지 않았지만, 조심해서 잘 운용해 보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서병익 2023.05.30 20:12
    예... 선생님 많이 기다리셨지요....!!
    이번에는 연휴가 이어져 택배 사장님도 휴일이었다는 사실을 늦게 알았습니다.

    사용해 보시고 조금이라도 불편하시거나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전화 주십시오.
    고맙습니다.
  • 장수동할배 2023.05.30 22:44

    텍배 도착하였습니다.

    인터케이블도 함께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서병익 2023.05.30 23:14

    예... 선생님 연휴로 택배가 많이 늦어졌습니다.

    방금 크리스틴 XE 작업실에 사진 올리고 있었습니다...^^

  • nababo 2023.06.01 20:21

    수령한 프리앰프에 전원 연결하고 ( 프리 단독) POWER ON 하니 가운데 둥그런 눈금창에 불 들어오고, 눈금이

    12시 지나 약 1시 정도에 멈추고가만히 있습니다.

    *

    질문 1 - 정상 상태이지요?

    질문 2 - 눈금창의 용도는 무엇입니가? 참고할 사용설명서가 홈페이지에 있는가요? 있다면 어디?

    *

    간단 설명 부탁합니다.

  • 서병익 2023.06.02 08:34

    예.... 선생님 잘 받으셨군요...

    벨루스 XE를 납품하면서
    작업실 게시판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진공관 앰프를 처음 사용하면서 참고하실 만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납품하면서 저녁에 소개글을 올릴 계획입니다.

    근래 벨루스 XE에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 작업실게시판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답변1, 정상입니다.
    답변2, 정류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정류관의 상태를 가늠하는 용도입니다.

    지침이 12시 위치로 오기 이전에 정류관을 교체하면 되지만, 다이오드 세트를 신청하신 분은 따로 신경쓰실 필요가 없습니다.

    더 필요한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전화로 문의하셔도 됩니다.


  1. 918 유니크와 TCV 그리고 벨루스 XE

    유니크와 TCV 그리고 벨루스 XE 총 5대입니다. 오늘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마지막으로 수거하는 날입니다. 배송은 하시지만, 수거는 오늘까지만 한답니다. 로젠택배 사장님께서 약 보름 전에 이런 상황을 알려주셨기에 금요일 발송분을 미리 준비하여 오늘 발...
    Date2023.09.26 By서병익 Reply2 Views186 file
    Read More
  2. 917 유니크와 TCV 그리고 벨루스 XE

    유니크와 TCV 그리고 벨루스 XE입니다.그동안 벨루스 XE에 대한 소개는 많이 하였으므로 오늘은 유니크에 대하여 알아봅니다.TCV에 대한 내용도 같이합니다.오늘은 프리앰프 3종 공동제작의 첫 번째 납품입니다.이번에 받으시는 분은 강*원 선생님 벨루스 XE ...
    Date2023.09.22 By서병익 Reply2 Views261 file
    Read More
  3. 916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입니다. 지난 11일부터 제작하기 시작하여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지난달 플레누스 MK5를 완성하여 소개하면서 회로 부분에 대해 충분히 말씀드렸으므로 오늘은 어떤 과정을 거치며 플레누스가 탄생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
    Date2023.09.19 By서병익 Reply0 Views226 file
    Read More
  4. 915 2A3-40/300B 겸용 8W+ 8W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XE

    새티늄 XE입니다. 시작은 2대를 동시에 하였지만, 배선하는 과정에서 시간차가 발생하여 오늘 소개합니다. 지난 토요일(9일) 늦은 시간에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오늘 사진찍어 소개 합니다. 오늘은 새티늄 XE의 회로에 대한 소개 말씀입니다. 이...
    Date2023.09.12 By서병익 Reply0 Views254 file
    Read More
  5. 914 2A3-40/300B 겸용 8W+ 8W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XE

    2A3-40/300B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 XE입니다. 두 대를 제작 중 오늘 먼저 완성된 새티늄 XE를 소개합니다. 새티늄 XE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2A3-40과 300B를 바꾸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앰프입니다. 오디오용 진공관 역사상 가...
    Date2023.09.06 By서병익 Reply0 Views197 file
    Read More
  6. 913 A급 20W+20W EL84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파라렐

    A급으로 20W+20W의 출력을 뽑아내는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파라렐입니다. 델리카투스 파라렐을 제작하여 청음실에서 히어링 테스트를 하던 중 어제 판매를 하였습니다. 완성 후 사진은 찍어 놓았으나 요즘 많이 바쁘고 피곤하기도 하여 작업실에 소개 글 올리는...
    Date2023.08.31 By서병익 Reply0 Views234 file
    Read More
  7. 912 진공관 톤 컨트롤 프리앰프 유니크

    톤 컨트롤 기능을 실장 한 프리앰프 유니크입니다. 지난 6일 휴가를 마치고 돌아온 후 완성하여 청음실에서 듣고 있었으나 전면판이 준비되지 않아 소개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전면판이 도작하여 소개합니다. 새로운 프리앰프입니다. 인티앰프를 사용하...
    Date2023.08.21 By서병익 Reply0 Views936 file
    Read More
  8. 911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입니다. 지난 토요일(12일) 완성하였습니다. 약 한 달 전에 플레누스 MK5를 소개하면서 플레누스에는 OP AMP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OP AMP를 오디오 기기에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하여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DAC 칩에서 아...
    Date2023.08.16 By서병익 Reply2 Views257 file
    Read More
  9. 910 진공관 톤 컨트롤러 TCV

    진공관 톤 컨트롤러 TCV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얼마 전 시제품을 소개하면서 톤 컨트롤 기능에 대해서 말씀드렸기에 오늘은 회로적인 부분에 대해 소개합니다. 톤 컨트롤 회로는 크게 CR 감쇠형과 NFB형이 있습니다. 톤 컨트롤 본연의 기능은 어떤 방식...
    Date2023.08.09 By서병익 Reply11 Views278 file
    Read More
  10. 909 A급 20W+20W EL84 파라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파라렐

    델리카투스를 업그레이드했다고 하기에는 너무 많이 달라진 델리카투스 파라렐 버전을 소개합니다. 약 1주일 전에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가혹한 조건으로 청음실에서 히어링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가혹한 조건이란 실사용 환경에서는 있을 수 없...
    Date2023.07.25 By서병익 Reply0 Views307 file
    Read More
  11. 908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CR형 포노앰프 로샤 SE입니다. 오늘 3대를 발송하였습니다. 이번에 받으시는 분 성함입니다. 이*호 선생님 손*호 선생님 조*욱 선생님 이렇게 3분입니다. 오늘 3대를 발송함으로써 로샤 SE 공동제작이 완료되었습니다. 서병익오디오의 무상 AS 관련 내용을 알...
    Date2023.07.22 By서병익 Reply3 Views139 file
    Read More
  12. 907 네트워크 플레이어 M1-MK2

    네트워크 플레이어 M1-MK2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3분이 주문하시어 3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근래 사용하기 좋은 네트워크 플레이어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지만, 리니어 전원으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플레이어는 흔치 않습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M-1...
    Date2023.07.20 By서병익 Reply0 Views209 file
    Read More
  13. 906 진공관 톤 컨트롤러 TCV

    진공관으로 구성된 톤 컨트롤러 TCV입니다. 신모델입니다. 신모델이라 해도 외형은 그동안의 소스 기기와 동일합니다. 공동제작에 꾸준히 참여해 주신 분이면 공감하시겠지만, 하나씩 겹쳐 놓으면 오디오에 필요한 거의 모든 시스템을 구축하실 수 있습니다. ...
    Date2023.07.17 By서병익 Reply4 Views531 file
    Read More
  14. 905 CR형 포노앰프 로샤 SE

    수일간 지속되는 장맛비에 피해는 없으신지요? 아무쪼록 여러분의 가정은 무탈하고 편안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청주도 온종일 비가 세차게 내립니다. 포장 박스 전체를 공업용 랩으로 꼼꼼히 감싸기는 했지만, 비가 쉽게 그칠 것 같지 않아 걱정이 앞섭니다. 오...
    Date2023.07.14 By서병익 Reply0 Views105 file
    Read More
  15. 904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5

    플레누스 MK5입니다. 지난 토요일(8일) 늦은 시간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한 후 청음실에서 히어링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근래 주요 음악 소스가 디지털 음원이다 보니 어떤 DAC를 소장했는가... 에 따라 전체적인 음질에 대한 퀄리티가 결정된다고 해...
    Date2023.07.11 By서병익 Reply0 Views15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