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2814 댓글 0

20150601차폐트랜스 002.jpg

 

 

 

 

오디오용의 2kW 차폐 트랜스입니다.

 

 

가정용 계약 전력이 통상 3kW인 것을 고려하면 2kW의 차폐 트랜스면 용량은 충분할 것입니다. 

 

오히려 전력 용량보다는 차폐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 것인가! 가 더 중요합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차폐 트랜스 중에는 스스로 잡음 발생원으로 동작하는 차폐 트랜스도 있기에 그렇습니다. 

 

잡음 감소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폐 트랜스에서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면,

얼마나 실망이 크겠습니까!

 

그러나 이런 일은 흔히 있습니다.

 

 

주로 AC 전압 안정화 기능을 실장한 차폐 트랜스에서 이런 현상을 보게 됩니다.

 

AC의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AVR 기능은 AC의 위상을 제어하여 구현하는데,

이 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하게 됩니다.

 

 

 

 

20150601차폐트랜스 003.jpg

 

 

 

우리나라의 AC 전압 안정도는 매우 뛰어 납니다.

국토의 면적이 그리 크지 않기에 전압 변동률도 그리 크지 않다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전기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우리가 매우 취약합니다.

 

접지 사정도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각 가정 간의 거리가 가까워 유도성 노이즈를 서로 주고받으며 살고 있습니다. 

 

 

앰프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잡음이 유도성 잡음이며,

유도성 잡음은 차폐 트랜스를 사용함으로써 완벽하게 차단합니다. 

 

 

 

20150601차폐트랜스 005.jpg


 

 

차폐 트랜스의 성능을 좌, 우하는 트랜스는 CE 인증을 받은 업체에 주문하여 납품받았습니다.

 

트랜스는 본래, 1차 권선에서 유도된 전압을 이용하는 구조이기에 미세하나마 물리적 울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출력 트랜스에 사용되는 Z코어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완성된 차폐 트랜스의 외형은 조금 독특하지만,

이상적인 내용의 이론을 추구하다 보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외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트랜스가 동작할 때는 열이 발생합니다.

이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측면을 오픈한 상태로 하였습니다.

 

 

유도성 전압을 이용한 트랜스를 철제 케이스로 제작하면 물리적인 울림 현상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자성체인 3T의 알루미늄 판재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런 내용을 적용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완성된 차폐트랜스의 외형입니다.

 

 

 

20150601차폐트랜스 004.jpg

 

 

 

 

220V의 콘센트를 3개 장착하였으며,

100V의 콘센트는 2개 마련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220V 콘센트가 3개라면 부족하실 것입니다.

이때는 멀티 탭으로 연장하여 사용해도 좋습니다.

 

이때는 반드시 접지 단자가 부착된 요즘 판매되는 멀티 탭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둥근 모양의 AC 플러그라면 접지 단자가 있는 멀티 탭이 맞습니다.

 

오래전부터 사용되는 멀티 탭 중에는 접지 단자가 없는 멀티 탭도 있으며 이런 경우 접지가 분리되어 차폐 효과는 상실됩니다. 

 

 

 

제원
1. 정격 전력 용량: 2kW

2. 크기:
W185, H225 (손잡이를 접었을 때 195), D250
3. 중량: 19.5kg
4. 차폐 트랜스의 규격: 181코어 90 적층 (181코어 90 적층이란 뜻은 181mm의 코어 90장을 겹친 후, 그 위에 코일을 감아 만들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20150601차폐트랜스 001.jpg


 

 

차폐 트랜스의 전력이 여유가 있다 하여도

차폐 트랜스에는 반드시 오디오 기기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다른 전자기기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가정용 전자기기에서 발생한 잡음이 오디오 기기로 유입되면 여전히 잡음이 발생하기에 그렇습니다.  

 

이것이 오디오용 차폐 트랜스라 명명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20150601차폐트랜스 008.jpg


 

 

 

 

20150601차폐트랜스 007.jpg

 

 

 

 

3대를 제작하기 위하여 준비하였는데,

오늘은 2대만 완성되었습니다. 

100V용 콘센트 1개가 불량품이어서 오늘 완성하지 못하였습니다.


독일제 콘센트인데 장착하려 보니 귀퉁이가 조금 깨져있네요....


2대는 주문으로 제작하였고 1대는 여유로 제작해 놓으려 하였습니다.


내일 콘센트가 도착하면 완성해 놓겠습니다.



2kW의 차폐 트랜스가 필요하신 분은 내일 이후에는 즉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20150601차폐트랜스 003.jpg



고맙습니다.

 

 


  1. 362 CR형 포노앰프 로샤

    근래, 다양한 가격대의 포노앰프들이 국내외에서 출시되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LP를 즐겨들으시는 분 입장에서는 그만큼 포노앰프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내용을 자세히 보면 NFB 형식의 등화회로를 탑재한 보급형의 포노앰프를 다양...
    Date2015.06.26 By서병익 Reply0 Views2066 file
    Read More
  2. 361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입니다. 지난 16일(화) 디지털 PCB 두 장을 받았습니다. 몇 차례에 걸쳐 제작된 새로운 펌웨어가 적용된 PCB입니다. 디지털 음원에 대한 동작은 충분히 검증하였지만, 셀렉팅할 때 디지털 잡음이 발생하여 펌웨어 수정을 요구하였습니...
    Date2015.06.20 By서병익 Reply0 Views1328 file
    Read More
  3. 360 300B 싱글 파워앰프 유피테르 SE

    300B 유피테르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그동안 제작되던 유피테르 MK2가 SE 버전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전기적 특성은 그대로 유지한 채 정전압 전원을 탑재하여 더욱 안정된 동작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정류관 5U4G를 통과한 맥류는 평활회로를 거쳐 FET...
    Date2015.06.13 By서병익 Reply0 Views3101 file
    Read More
  4. 359 멀티앰핑 겸용 스피커 SP-03 3웨이 버전

    청음실에 있던 2웨이 버전의 스피커 SP-03을 3웨이로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로더의 PM6A를 중음용으로만 사용하고, PM6A의 분할진동이 발생하는 부분에는 모렐의 ET338 트위터로 동작시키는 3웨이 버전입니다. 분명, 2웨이의 장점이 존재하고 지금까지 잘 사...
    Date2015.06.10 By서병익 Reply3 Views1942 file
    Read More
  5. 358 오디오용 2kW 차폐 트랜스

    오디오용의 2kW 차폐 트랜스입니다. 가정용 계약 전력이 통상 3kW인 것을 고려하면 2kW의 차폐 트랜스면 용량은 충분할 것입니다. 오히려 전력 용량보다는 차폐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 것인가! 가 더 중요합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차폐 트랜스 중에는 스스...
    Date2015.06.01 By서병익 Reply0 Views2814 file
    Read More
  6. 357 고음질 다기능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

    쏘나레 콘솔릿 S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2008년 출시된 후, 몇 차례 업 그레이드를 하여 지금은 SE 버전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브랜드명을 서병익 오디오로 바꾼 후, 출시된 첫 모델이었고, 제가 추구하던 이상형의 프리앰프를 제품으로 표현한 프리...
    Date2015.05.24 By서병익 Reply0 Views2015 file
    Read More
  7. 356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2

    플레누스 MK2입니다. 지난 1월 공지사항으로 플레누스 MK2의 출시를 알린 후 오늘 비로소 소개해 올립니다. 2010년 6월 진공관으로 구성된 첫 모델 DAC를 출시 한 후, 2012년 4월 두 번째 버전인 플레누스를 거쳐 오늘, 플레누스 MK2로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
    Date2015.05.09 By서병익 Reply4 Views2391 file
    Read More
  8. 355 포노앰프 쏘나레 레퍼렌스 SE

    포노앰프 쏘나레 레퍼렌스 SE 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LP에 관심을 갖게 되시면서 자연스럽게 포노앰프에도 관심을 갖게 됩니다만, 다양한 방식과 다양한 모델의 포노앰프로 인하여 혼란스러워하시는 분도 계실 것입니다. 가격을 생각하신다면 반도체로 ...
    Date2015.05.06 By서병익 Reply0 Views1628 file
    Read More
  9. 354 32W + 32W EL34 푸시풀 인티앰프 올로로사

    올로로사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여 출력 32W + 32W를 얻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출력이 적당할까요.! 요즘 흔한 87dB 정도의 음압감도를 가진 스피커를 사용하고 비교적 크지 않은 공...
    Date2015.04.29 By서병익 Reply0 Views2009 file
    Read More
  10. 353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SE

    비올레타 SE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비올레타 SE의 음질은 진공관 싱글앰프에서 기대하는 나긋나긋하고 온화한 음질입니다. EL34가 가지고 있는 선예한 느낌이 싱글 앰프 특유의 온화함으로 감미롭게 느껴집니다. 비올레타 SE의 풍성한 배음과 유려한 음...
    Date2015.04.18 By서병익 Reply0 Views2586 file
    Read More
  11. 352 CR형 포노앰프 로샤

    코엑스 전시회로 출발하던 날 새벽, 가경천 둑길을 화려하게 수놓던 살구꽃이 전시회 일정이 끝나고 찾아보니 바닥에 떨어진 꽃잎으로 흔적만을 남겨놓고 있더군요.. 7km의 둑길에 심어진 3,000여 그루의 살구나무는 봄이 되면 진한 분홍색의 꽃으로 가경천 일...
    Date2015.04.10 By서병익 Reply0 Views1976 file
    Read More
  12. 351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

    오늘 출근 중 유연히 바라보다 눈에 비친 개나리꽃입니다. 화사하게 핀 개나리꽃이 온 동네를 밝게 만듭니다. 어제는 무심히도.. 저렇게 곱게 핀 꽃을 못 보고 지나쳤나 봅니다. 가경천 둑길에는 큰 꽃망울을 머금은 목련화와 영산홍 꽃망울들이 곧 터질 듯 부...
    Date2015.03.24 By서병익 Reply0 Views2638 file
    Read More
  13. 350 KT120 싱글 파워앰프 크리스틴

    크리스틴 우드형 파워앰프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인티앰프로 출시한 크리스틴을 파워앰프 버전으로 제작한 두 번째입니다. 89dB 정도의 음압감도를 가진 스피커를 소장하신 분이라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출력이라고 생각합니다...
    Date2015.03.18 By서병익 Reply2 Views1954 file
    Read More
  14. 349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SE

    오늘이 경칩이라 그런지 날이 참 포근합니다. 봄은 어느결에 다가와 가경천 둑방길에는 이름 모를 새싹들이 무수히도 파랗게 돋아나 있습니다. 그런데도 겨울 철새인 청둥오리들은 아직 안 가고 있더군요.. 출근길에 보면 항상 두 마리씩 짝지어 다닙니다. 비...
    Date2015.03.06 By서병익 Reply0 Views2052 file
    Read More
  15. 348 2kW 차폐 트랜스

    차폐 트랜스입니다. 오디오용으로 제작된 2kW의 차폐트랜스입니다. 다른 용도로 사용해도 무방한 차폐 트랜스를 굳이 오디오용이라 하는 것은 잡음에 민감한 오디오 기기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완벽한 노이즈 차단을 목표로 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오디오...
    Date2015.03.01 By서병익 Reply0 Views9106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