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2256 댓글 2


20150106칼리오페 001.jpg


 

 

파워앰프 칼리오페입니다.

 

KT120을 푸시풀 AB급으로 출력 60W + 60W를 뽑고 있습니다.

 

KT120의 최대 정격에는 플레이트 손실 60W로 되어 있습니다.

이 정도의 플레이트 손실이라면, 더 높은 출력의 앰프를 제작해도 좋습니다.

 

실제로 150W까지 출력을 뽑아내도 잘 동작합니다.

 

 

칼리오페의 설계사양이 높은 출력이 목적이었다면,

당연히 150W + 150W로 설계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고음질을 목표로 하였으므로 출력은 조금 낮아져 60W로 만족하였습니다. 

 

 

 

20150106칼리오페 002.jpg


 

 

진공관 앰프의 출력이 60W + 60W라면 대단히 고출력입니다.

 

진공관 앰프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은 작게 표시되는 진공관 앰프의 출력에 걱정이 앞설 수도 있습니다.

그 정도의 출력으로 제대로 스피커를 울리기나 할까!!!

 

당연히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진공관 앰프는 반도체 앰프에 비해 약  10배 정도의 음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진공관 앰프의 출력이 60W라면,

반도체 앰프 600W에 버금가는 음감을 느끼실 수 있는 것입니다.

 

가정에서 진공관 앰프로 60W + 60W 정도라면,

앰프의 출력이 작아서 문제가 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20150106칼리오페 003.jpg


 

 

칼리오페는 음질을 위하여 출력을 조금 줄였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출력도 높이고 음질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인가!!

이런 의구심도 들 것입니다.

 

오늘은 이런 의문을 가지시는 분을 위하여 줄력과 음질의 상관 관계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쉽게 이해하시기 어렵겠지만,

10W앰프나 100W앰프의 설계, 제작과정은 거의 같습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높은 출력의 앰프는 B+ 전원 전압이 높아진다는 것이고 ,

그 전력에 대응할 수 있는 전력 용량이 큰 진공관을 출력관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출력은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윗글에서 전력 용량은 진공관의 플레이트 손실을 뜻합니다.

 

특히, 플레이트 손실이 큰 KT120 같은 출력관은 큰 출력의 앰프를 만드는데 제격입니다.  

 

 

 

20150106칼리오페 004.jpg



 

 

가능한 B+ 전원 전압을 높이면 출력은 나오게 되어 있지만,

사용하는 진공관의 플레이트 손실이 정해져 있어 흐르는 전류는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옴의 공식을 인용하면

전력(W) = 전류(A) × 전압(V) 입니다.

 

위의 공식으로 보면

만약 전력이 정해져 있다면, 두 가지 모두를 동시에 높일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KT120의 최대 플레이트 전력은 60W

EL34의 최대 플레이트 전력은 25W입니다.

 

KT120의 플레이트 최대 손실이 얼마나 큰지 가늠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큰 전력을 가지는 KT120이라도 B+ 전원 전압이 높아지면,

문제가 됩니다.

 

큰 출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전압을 650V까지 올리면 출력관으로 흘리는 아이들링전류는 통상 50mA 정도밖에 흘리지 못합니다. 

 

아이들링 전류를 더 흘리게 되면,

앰프가 동작할 때 최대 전력을 초과하게 되므로 그렇습니다.

 

 

진공관 앰프에서 아이들링 전류를 늘리는 것은 음질의 향상에 직결됩니다.

같은 조건이라면,

A급으로 동작 시 음질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푸시풀 앰프에서는 비록 A급이 아니어도 가능한 아이들링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이 음질 향상에 도음을 줍니다.

 

정해진 전력 조건이라면 B+ 전원 전압을 낮출수록 아이들링 전류를 더 흘릴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음질을 위해서라면, 가능한 출력을 줄여야 하는 이유입니다.

 

 

 

20150106칼리오페 005.jpg


 

오디오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은 대부분, 높은 출력의 앰프가 고급앰프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충분한 물량 투자가 된 상태라면 그럴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대부분, 그렇지 않습니다. 

출력을 강조하는 대부분의 진공관 앰프들은 많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전류를 줄이고 B+ 전원 전압을 높혀 최대의 출력을 뽑아냅니다.

 

이렇게 제작된 앰프들의 음질적 특징은 소리가 가늘고 거칩니다.

출력관을 작은 전류로 동작시키는 결과입니다. 

 

 

같은 진공관을 사용한다면, 가능한 출력이 작은 앰프를 선택하시는 것이 음질이 좋습니다.

이 말씀을 이해 하신다면,

산전수전 모두 겪은 분일 것입니다.

 

통상 출력이 높으면,

스피커 구동력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다만,

전혀 근거없는 내용입니다.

 

출력과 구동력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스피커 구동력이 높은 앰프를 찾으신다면, 충분한 물량투자로 제작된 앰프중에서 찾으셔야 합니다.

 

 

 

20150106칼리오페 006.jpg


 

스피커 구동력이 높은 앰프를 찾으실 때는 귀 기울여 들어보실 내용이 있습니다.

 

혹시,

유려함이 부족하지는 않는지, 온화함이 부족하지는 않은지....

 

스피커 구동력을 높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NFB(Negative Feedback, 부귀환)를 가능한 많이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할 경우 진공관 앰프라도 절도있는 저음이 나오고 구동력 또한, 높아집니다.

 

아주 간단하며,

저항 두 개로 이룩한 결과입니다.

 

그러나 효과는 놀라울 정도입니다.

 

한 가지 문제는,

이렇게 부귀환 (NFB)으로 구동력을 개선한 진공관 앰프는 진공관 고유의 고조파가 부귀환에 의해 감쇠되어 진공관 다운 음색으로 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부귀환이 깊어 갈수록 유려함, 온화함, 나긋나긋한 음질이 모두 사라지고 반도체 앰프와 같은 음질로 되어 갑니다.

 

눈 앞에는 진공관 앰프가 동작하지만, 

귀로 들리는 소리는 반도체 앰프의 음질입니다.

 

요즘 이런 음질을 가지는 진공관 앰프들이 많아졌습니다.

 

물량투자를 하지 않고 부귀환의 도움으로 특성을 개선한 앰프들의 전형적인 음질 특성입니다.

 

앰프를 청음하실 때는 이점을 참고하시어 귀 기울여 들어 보시기를 권유합니다.

 

 

많은 경험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20150106칼리오페 007.jpg


 

칼리오페에는 울트라 리니어 모드와 트라이오드 모드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환 스위치가 있습니다.

 

상황에 맞추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울트라 리니어 모드를 선택하면 조금 더 화려하고 밝은 음으로 되고 힘이 느껴집니다.

트라이오드 모드를 선택하면,

조금 더 부드럽고 나긋나긋함이 더 해집니다.

 

이 전환 스위치는 KT120 진공관 뒷쪽에 있으며,

두 개의 스위치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위 사진상 전환 스위치는 트라이오드 모드에 있습니다.

 

 

  

20150103칼리오페 SE 파워 012.jpg

 

 

 

 

칼리오페의 전기적 제원입니다.
형식: 울트라 리니어 접속에 의한 KT120 푸시풀 파워앰프
1. 출력:

울트라 리니어 모드: 60W + 60W

트라이오드 모드: 32W +32W
2. 이득:

울트라 리니어 모드: 31배

트라이오드 모드: 27배
3. 주파수 특성: -3dB 5W 출력 시 기준
상한 주파수: 83.76KHz
하한 주파수: 4Hz
4. 스피커 임피던스: 4옴, 8옴
5. 사용 진공관: KT120 * 4개    6SN7 * 4개
6. 크기: W420 × D355 × H205
7. 중량: 21k

 

 

 

칼리오페의 후면입니다.

20150106칼리오페 008.jpg

 

 

 

좌측으로 RCA 입력 단자가 있습니다.

 

 

20150106칼리오페 009.jpg

 

 

 

중앙으로는 4옴과 8옴의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는 바인딩 포스트 단자가 있습니다.

 

그 옆으로는 5A의 세라믹 휴즈를 사용할 수 있는 휴즈홀다와 AC인렛이 있습니다.

 

 

 


20150106칼리오페 012.jpg


 

 

 

칼리오페의 음질은 유려하고 나긋나긋합니다.

공간을 가득 채우는 풍성한 배음이 유려합니다.  그러나 부드럽기만 하여서는 좋은 앰프라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칼리오페의 강력한 스피커 드라이브능력은 부드러움 속에서 느껴지는 힘이기에 칼리오페를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2014년 11월 16일 주문하신 서** 선생님의 칼리오페입니다.

 

이렇게 하여 주문하셨던 3 종류의 제품을 모두 제작하였습니다.

 

에이징을 하며, 두루두루 살피고 있습니다.

 

1월 8일(목) 이후에 오시면 납품할 수 있습니다.

 

 

칼리오페의 내부 사진입니다.

20150103칼리오페 SE 파워 005.jpg


(사정상 해상도를 낮추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터구 2015.01.06 22:38
    칼리오페를 보니 참 반갑네요. 서울 문정동에 사는 최경수입니다.
    제가 푼타뮤지카와 칼리오페를 쓰고 있는데 푼타뮤지카는 서브 앰프로, 칼리오페는 메인 앰프로 부족함이 전혀 없습니다. ^^
  • 서병익 2015.01.07 09:34
    안녕하셨습니까?
    선생님.
    그동안 푼타뮤지카와 칼리오페를 사용하시며, 불편하신 점은 없으셨는지요..

    새해에도 더욱 강건하시고 가정내 평안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1. 347 CR형 포노앰프가 내장된 프리앰프 쏘나레플러스

    쏘나레플러스입니다. 어제는 봄이 온 줄 알았는데, 오늘은 바람이 많이 차갑더군요... 얼마 남지 않은 추위겠지만, 감기 조심하시고 이번 추위 잘 넘기셨으면 좋겠습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오늘은 하루 종일 에이징 겸, 히어링 테...
    Date2015.02.26 By서병익 Reply0 Views1989 file
    Read More
  2. 346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

    즐거운 명절이셨는지요? 지금도 귀경길에 계신 분이 많으실 텐데.. 아무쪼록 안전하고 편안하신 귀경길이었으면 좋겠습니다. 크리스틴입니다. 그동안 반제품 상태로 있었는데, 전면 판이 입고되어 체결하므로써 완성되었습니다. 미입고 상태로 있던 크리스틴과...
    Date2015.02.20 By서병익 Reply2 Views1998 file
    Read More
  3. 345 8W + 8W 300B 싱글 인티앰프 리자베타 (LIZABETTA)

    신모델 리자베타입니다. 통상적인 8W + 8W의 출력을 얻고 있습니다만, 회로는 사뭇 다릅니다. 300B가 가지고 있는 음질적 장점들을 충분히 뽑아내는데 그 목적을 두었습니다. 300B는 전기적, 물리적으로 안정된 이상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말로는 ...
    Date2015.02.11 By서병익 Reply4 Views2164 file
    Read More
  4. 344 32W + 32W EL34 푸시풀 인티앰프 플로랄 SE "FLORAL SE"

    플로랄 SE입니다.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여 출력 32W + 32W를 얻고 있습니다. 플로랄을 설계하며 진공관 특유의 음색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가장 진공관다운 음색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12AX7을 초단으로 구성하였고, 드라이브 단에는 12AY7...
    Date2015.01.28 By서병익 Reply0 Views2337 file
    Read More
  5. 343 CR형 포노앰프 로샤

    오래전부터 LP를 들으셨던 분이라면 잘 알고 계시겠지만, LP를 듣기 위해서는 반드시 포노앰프가 필요합니다. 이 포노앰프는 반도체 또는 진공관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등화 방식에 따라 부귀환형과 CR형 포노앰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중 각 증폭소자에 따...
    Date2015.01.18 By서병익 Reply2 Views2076 file
    Read More
  6. 342 22W + 22W KT120 싱글앰프 크리스틴 파워

    오늘 낮은 참 포근하더군요.. 마치 봄이 온 듯 따스한 햇볕에 산책하기 참 좋은 날이었습니다. 기온은 높지 않았지만, 바람이 불지 않아 그런가 봅니다. 작은 동산이 있는 근처 공원을 잠시 걸었던 점심 식사후의 산책길이 유난히도 따스하였습니다. 인티앰프...
    Date2015.01.13 By서병익 Reply0 Views1847 file
    Read More
  7. 341 60W + 60W KT120 푸시풀 파워앰프 칼리오페

    파워앰프 칼리오페입니다. KT120을 푸시풀 AB급으로 출력 60W + 60W를 뽑고 있습니다. KT120의 최대 정격에는 플레이트 손실 60W로 되어 있습니다. 이 정도의 플레이트 손실이라면, 더 높은 출력의 앰프를 제작해도 좋습니다. 실제로 150W까지 출력을 뽑아내도...
    Date2015.01.05 By서병익 Reply2 Views2256 file
    Read More
  8. 340 포노앰프 TCR SE

    새해를 맞아 즐겁게 지내고 계시는지요? 모든 분이 항상 건강하시고 평안하신 한 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꾸벅 요즘, 국내에서도 일부 가수들은 LP로 음원을 출반하기도 하고 세계적으로도 LP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
    Date2015.01.01 By서병익 Reply0 Views1835 file
    Read More
  9. 339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

    크리스틴입니다. KT120을 싱글로 구동하여 출력 22W + 22W를 얻고 있습니다. 진공관 앰프는 독특한 음질로 오디오 마니아에게 인기를 얻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싱글 앰프에 대한 로망을 갖고 계신 분도 많습니다. 싱글앰프는 오직 진공관 앰프에서만 가능하고,...
    Date2014.12.24 By서병익 Reply0 Views2189 file
    Read More
  10. 338 32W + 32W EL34 푸시풀 인티앰프 플로랄 SE

    푸시풀 인티앰프 플로랄 SE입니다. 거의 완성 단계에 있었지만, 일부 부품의 품절로 완성하지 못하고 대기상태로 있었습니다. 오늘 품절이었던 부품이 입고되어 체결하므로써 완성되었습니다.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는 플로랄 SE는 출력 32W + 32W를 출력합니...
    Date2014.12.20 By서병익 Reply2 Views2003 file
    Read More
  11. 337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오늘은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에이징을 겸하여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2009년 출시된 후 몇 차례의 업그레이드를 거쳐 지금은 스페셜 에디션 버전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외형적인 개...
    Date2014.12.12 By서병익 Reply0 Views2205 file
    Read More
  12. 336 TCR SE

    올겨울은 눈이 많다고 하더니 요즘 참 많이 내리는군요!! 보기 좋은 눈이지만, 차량으로 출퇴근하시는 분은 매우 힘드실 것 같습니다. 부디 안전하고 건강하게 올겨울 지내시기를 기원합니다. TCR SE 입니다. 지난 목요일(12월 4일) 제작이 완료되어 전기적 특...
    Date2014.12.08 By서병익 Reply0 Views1584 file
    Read More
  13. 335 오디오용 2kW 차폐 트랜스

    지난 일요일(11월 30일)에 출근하여 제작했습니다만, 오늘 소개해 올리게 되었습니다. 시중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차폐 트랜스들이 존재하지만, 오직, 차폐 본연의 성능만을 최대한 추구하는 차폐 트랜스는 찾기 쉽지 않습니다. 상품성을 조금 더 올리기 위...
    Date2014.12.04 By서병익 Reply1 Views3163 file
    Read More
  14. 334 22W + 22W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

    KT120 싱글 인티앰프 크리스틴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KT120을 싱글로 구동하여 채널당 22W를 얻고 있습니다. 그동안 싱글로 구성하여 출력 22W를 뽑아내기 위해서는 송신관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나 KT120의 출현으로 고음질의 싱글앰프를 제작할 수 ...
    Date2014.11.29 By서병익 Reply0 Views2100 file
    Read More
  15. 333 헤드앰프를 내장한 CR형 포노앰프 쏘나레 XE

    지난 17일(월) 완성하였습니다. 쌍 3극 소신호 전압 증폭관 12AX7로 구성된 헤드앰프를 실장한 포노앰프입니다. 새로운 포노앰프이며, 쏘나레 계열의 신모델입니다. 진공관 포노앰프의 여유있는 논클립 출력전압과 함께, 온화한 음질은 매력적이어서 LP를 즐겨...
    Date2014.11.19 By서병익 Reply0 Views2313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