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8145 댓글 3

350B 푸시풀 파워앰프입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2.jpg

 

  

신모델 파워앰프입니다.

 

350B을 A급 푸시풀로 구동하여 18.5W + 18.5W를 얻고 있습니다.

출력을 크게 올리려면 AB급으로 구동하면 되고 그때는 4~50W 급의 앰프로 되지만, 특히 음질을 중시하다 보니 위와같은 설계를 하게 되었습니다.

 

 

350B는 6L6패밀리의 정점에 있는 진공관으로 웨스턴 일렉트릭에서 발표된 빔출력관입니다.

이 회사는 자사에서 제작되는 영사기용 앰프에만 350B를 독점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런 이유로 다양한 회로로 발전할 수 없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4.jpg

 

  

현재 기술인의 시각으로 본다면 과거의 회로는 회로적 관점에서 개선할 여지가 많습니다.

350B가 갖는 능력을 제대로 뽑아내고 싶었습니다.

 

저의 이런 말씀에 자세한 내용을 모르시는 분은 옛날 회로가 좋은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가지실 수도 있습니다.

 

옛회로에 의한 복각을 주로 하는 우리나라 사정상 더욱 그럴 수도 있습니다.

 

칼리스토 350B의 초단과 드라이브단에 채용된 회로도 옛회로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회로이지만, 재현되는 음질은 "이것이 바로 진공관의 음이다...!"라는 생각이 드실 정도로 지극히 진공관적인 음질입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1.jpg

 

  

진공관 소자의 특별한 장점은 좋은 선형특성으로 인하여 무귀환으로도 실용이 된다는 것입니다.

 

단지, 실용이 되는 정도가 아니라 무귀환 증폭 방식으로 인하여 진공관 앰프의 특성이 돋보이는 음의 세계를 구현할 수 있었다는 것이며, 무귀환 증폭만큼은 반도체 소자가 흉내낼 수 없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5.jpg

    

  

모든 진공관은 저마다 고유한 고조파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각각의 특징적인 음질이 나옵니다.

 

그런데 이런 음질적 특성도 부귀환을 많이 적용하면 고조파의 감쇠로 진공관 고유의 음색은 퇴색되는데, 부귀환이 깊어갈 수록 반도체 앰프와 유사한 음질로 됩니다. 

 

이런 이유로 진공관 앰프에 많은 량의 부귀환을 적용하는 것은 좋은 음질로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부귀환에 의하여 얻어지는 장점도 있기에 양자를 아우르는 합리적인 설계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6.jpg

 

 

칼리스토 350B는 빔관의 특성을 살리는 것과 함께 3 극관의 음질도 같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두 개의 350B 뒷 쪽에 전환 스위치를 마련하였습니다.

 

빔관모드(상판 표기상으로는 펜토드)로 설정하면 조금 더 화려하고 감칠 맛나는 음질로 되며,

3극관(트라이오드)모드로 설정하면 조금 더 나긋나긋하며 세련된 음질로 됩니다.

 

 

그러나 트라이오드 모드 시 출력은 낮아지는데, 칼리스토가 부족하여 그런 것은 아니고 3 극관으로 동작할 경우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비교적 음압감도가 낮으면, 펜토드 모드로

풀레인지 스피커나 음압감도가 높은 스피커를 사용한다면, 트라이오드 모드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스피커의 음압감도에 관계없이 비교적 소편성의 현악기의 음악이라면 트라이오드 모드를 추천합니다.

 

현 특유의 섬세함과 감성을 조금 더 가슴깊이 느끼실 수 있습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7.jpg

  

 

칼리스토 350B 의 전기적 제원입니다.
1. 형식: 350B를 A급 푸시풀로  구동하는 파워앰프
2 . 실효 출력:

펜토드(빔) 모드 시: 18.5W + 18.5W

트라이오드 모드 시: 6W + 6W
3. 이득:

펜토드 모드 시: 27배

트라이오드 모드 시: 20배
4. 주파수 특성: 3W출력 시 -3dB 기준
상한 주파수: 99.5KHz
하한 주파수: 6Hz
5. 사용 진공관: 6SN7 * 3    350B  * 4
6. 크기: W390  H195  D330mm
7. 중량: 21.5kg 

 

  

칼리스토 350B의 후면입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8.jpg

 

  

좌측으로는 RCA 입력 단자가 있습니다.

중앙으로는 4옴, 8옴을 지원하는 바인딩포스트 단자가 있으며, 옆으로는 30mm의 5A 세라믹 휴즈를 사용할 수 있는 휴즈홀다가 있습니다.

  

 

후면 사진 한 장 더 있습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9.jpg

 

  

칼리스토 350B의 음질은 진공관 350B의 가능성을 최대한 뽑아 내었다고 생각합니다.

화려하며 나긋나긋하고 고음대역에 있어서 감칠맛나는 음질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나긋나긋하며 유연한 음질은 왜! 350B가 명관인지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현재 슈광에서 복각 판매되고 있습니다.

 

여유가 되시는 분은 웨스턴 일렉트릭사의 350B를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먼저 칼리스토를 모델명으로 하는 EL34 파라 싱글 파워앰프가 있었습니다.

싱글앰프의 음질을 좋아하시고, 필요하신 분을 위하여 발표하였던 모델이지만, KT120의 출현으로 존재 의미가 퇴색하여 단종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모델명 그대로 350B파워앰프에 적용하였습니다.

그 이유로 칼리스토 350B라 명명하였습니다.

 

진공관 350B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관으로는

6L6(철관), 6L6G(항아리관), 6L6GC, 5881등이 있습니다.

 

단, EL34관과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20130925칼리스토 002.jpg

  

 

청음용으로 사용할 칼리스토 350B를 가능한 빠른 시일내 준비해 놓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가고지비 2013.09.27 10:28
    350B 진공관이 6L6 패밀리라니
    오늘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군요.

    처음 6L6GC 의 소리를 들어보고 예사롭지 않다고 생각하여
    제 비올레타 주문 시 6L6GC 를 실장해 달라고 했었는데...
    저의 귀가 틀리지는 않았나 봅니다. ^^*

    요번 가을 청주 방문 시
    이 350B의 소리와 300B XLS 의 토니타 소리를
    꼭 다시 한번 더 들어 보았으면 합니다.
    가능하겠죠 ~ ^^**

    환절기 입니다.
    운동 나가 실 때 따뜻하게 하고 나가십시오.... ^^/
  • 서병익 2013.09.27 17:16
    예.. 우 선생님. 잘 알겠습니다.
    우 선생님 일정에 맞추어 우선 SP-03부터 제작해 놓으려 합니다.
    먼길 오시는데, 좋은 음을 듣고 가셔야 될 것 같아서요...
    그리고, 칼리스토 350B도 최대한 맞춰보겠습니다.
  • 서병익 2013.09.27 17:34
    아참... 토니타도 들어보신다고 하셨는데 모든 준비는 다 되어 있으니 그것도 부지런히 해보겠습니다..

  1. 272 EL34 싱글 인티 앰프 비올레타 MK2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MK2입니다. 오늘 완성되었습니다. 앰프에서 초단 증폭단은 앰프의 전체적인 음질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중요합니다. 첫 번째 단은 비올레타의 프리부입니다. 12AX7로 증폭하며 무귀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2A...
    Date2013.10.03 By서병익 Reply0 Views5778 file
    Read More
  2. 271 A급 푸시풀 파워앰프 칼리스토 350B

    350B 푸시풀 파워앰프입니다. 신모델 파워앰프입니다. 350B을 A급 푸시풀로 구동하여 18.5W + 18.5W를 얻고 있습니다. 출력을 크게 올리려면 AB급으로 구동하면 되고 그때는 4~50W 급의 앰프로 되지만, 특히 음질을 중시하다 보니 위와같은 설계를 하게 되었습...
    Date2013.09.26 By서병익 Reply3 Views8145 file
    Read More
  3. 270 디퍼렌셜 모노블록 파워앰프 포르투스 SE2

    주문에 의해 전면 판넬 디자인을 조금 변경한 포르투스 SE2입니다. 추석 명절은 즐거이 지내셨는 지요. 지금쯤 귀경길을 재촉하시는 분도 계시겠지요.... 아무쪼록 편안하신 귀경길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전면 판넬 우측에 V,U메타를 설...
    Date2013.09.19 By서병익 Reply0 Views20535 file
    Read More
  4. 269 20W + 20W 300B-XLS 싱글 파워앰프 토니타

    어제 오후 늦은 시간에 완성하였습니다. 일요일이었지만, 토니타를 완성하기 위하여 휴식을 조금 덜 취했답니다... ^^ 요즘 아침, 저녁으로 걷기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계절의 변화를 느끼고 있는데, 어느새 가을이 깊어가는 지 떨어진 낙엽이 많이 ...
    Date2013.09.09 By서병익 Reply3 Views21080 file
    Read More
  5. 268 멀티앰핑 겸용 2웨이 멀티 패시브 스피커 SP-03

    새로운 스피커를 소개합니다. 28일 늦은 오후에 완성하였습니다. 신모델 SP-03입니다. 로더 PM6A로 중고역을, 풀레인지 스피커의 약점인 저음 대역을 15인치 대구경 스피커로 보완하여 풀레인지 스피커의 장점인 자연스러운 음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광대역을...
    Date2013.08.31 By서병익 Reply4 Views21585 file
    Read More
  6. 267 CR형 포노앰프 "ROCHA" 로샤

    로샤입니다. 참 많이도 더운 요즘 어떻게 지내시는 지요! 그래도 이제 어느 듯 새벽이면 서늘한 기운으로 잠이 깹니다. 올 여름은 그리도 덥더니 이제 여름의 끝이 보이는 듯합니다....! 요즘은 포노앰프에 대한 문의가 많아졌습니다. 한동안 멀리했던 LP를 다...
    Date2013.08.30 By서병익 Reply0 Views7451 file
    Read More
  7. 266 EL34 인티앰프 비올레타 MK2

    비올레타 MK2입니다. 그동안 제작되고 있던 비올레타가 MK2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2012년 2월 18일 첫 출시되었던 비올레타는 그동안 꾸준히 향상되었으며, 오늘부터 MK2 버전으로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회로를 개선하여 고음대역에서의 과...
    Date2013.08.11 By서병익 Reply0 Views6497 file
    Read More
  8. 265 CR형 포노앰프 로샤

    로샤입니다. 수 일 전에 배선은 모두 끝나 에이징을 하고 있었으나, 전면판넬을 다시 아노다이징해 오느라 오늘 비로소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CR형 포노앰프의 음질은 화사하고 생동감 있는 음질로 부귀환형으로 대변되는 마란츠 포노앰프나 맥퀸토시 포노앰프...
    Date2013.08.02 By서병익 Reply0 Views5961 file
    Read More
  9. 264 KT120 파라렐 디퍼렌셜 파워앰프 포르투스 SE2

    포르투스 SE2입니다. 폭염과 장마가 맹위를 떨치는 요즘, 모진 무더위 속에 어떻게 지내시는지요...!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온 국민이 휴가를 떠나는 시기라 지금쯤 휴가지에 계신 분도 많으시겠지요..! 그동안 제작하고 있던 포르투스 SE2가 오늘 완...
    Date2013.07.28 By서병익 Reply3 Views5141 file
    Read More
  10. 263 KT120 파라싱글 파워앰프 "AMARE MK2" 아마레 MK2입니다.

    커스텀 주문으로 제작된 아마레 MK2입니다. 어제 완성하였습니다. KT120을 파라렐로 구성한 싱글앰프입니다. 아마레는 싱글앰프의 음질적 장점을 잘 알고 계시고 반드시, 싱글앰프이어야 하지만, 스피커의 감도가 낮아 어느 정도의 출력이 필요하신 분을 위하...
    Date2013.07.16 By서병익 Reply0 Views6043 file
    Read More
  11. 262 CR형 포노앰프의 메타형 "ROCHA" 로샤

    CR형 무귀환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VU메타를 전면에 실장하기 위하여 벨루스 베이스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전기적 회로는 기존 로샤와 같지만, VU메타를 장착한 것만 다릅니다. 로샤에 VU메타를 실장하는 것은 아무래도 가격적인 ...
    Date2013.07.10 By서병익 Reply7 Views6593 file
    Read More
  12. 261 커스텀 "BELLUS" 벨루스입니다.

    기존 벨루스의 베이스에 몇 가지 내용들을 추가하여 제작된 커스텀 벨루스입니다. 프리앰프 벨루스입니다. 협소한 랙에서도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높이를 크게 낮추어 반도체 앰프에 버금가는 정도로 제작되었습니다. 버퍼단에는 흔히 사용되는 캐소드 폴...
    Date2013.07.08 By서병익 Reply0 Views6920 file
    Read More
  13. 260 디퍼런셜 파워앰프 푼타 뮤지카 SE

    푼타 뮤지카 SE입니다. 2A3를 디퍼런셜로 구동하는 파워앰프 푼타 뮤지카 SE입니다. 디퍼런셜 방식은 싱글앰프의 음질적 장점을 살리는 동시에 푸시풀앰프의 음질적 장점을 취합하여 완성도 높은 음질을 얻기 위하여 고안된 증폭 방식입니다. 디퍼런셜 방식의 ...
    Date2013.07.03 By서병익 Reply0 Views7185 file
    Read More
  14. 259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비올레타입니다. EL34를 싱글로 동작시키고 인티앰프로 제작한 비올레타는 출력 8W + 8W로 300B 싱글앰프와 같은 출력을 갖고 있습니다. 같은 조건이므로 음질을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직열 3 극관인 300B가 좋은 음질로 정평이 나 있지...
    Date2013.06.22 By서병익 Reply2 Views24481 file
    Read More
  15. 258 오디오 전용 2KW 차폐트랜스

    오디오 전용 차폐트랜스입니다. 일반 가정의 계약 전력이 통상 3KW인 것을 고려하면 정격 2KW의 용량이라면 오디오 기기를 운용하면서 용량이 부족하여 낭패를 겪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차폐 트랜스의 용량이 조금 여유 있다 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
    Date2013.06.09 By서병익 Reply2 Views774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