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조회 수 6044 댓글 0

슬림형 진공관 프리앰프 벨루스입니다.


sd20121010 001.jpg


시제품으로 제작되었을 때 베이스에 관련된 몇 가지 사항들을 보완하여 제작된 벨루스입니다.

버텀카바는 스테인레스 스틸 304 재질로 제작하였습니다.
탑카바는 1.5t의 철판으로 제작한 후 분체도장하였습니다.


sd20121010 002.jpg



이런 조치로 베이스에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여 안정된 베이스로 완성되었습니다.

전원부에 적용된 트로이달 트랜스 무게 때문인지, 시제품에서는 베이스가 약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는데 지금은 아주 튼튼하고 기구적으로도 안정되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sd20121010 003.jpg



벨루스의 전면을 조금 더 다듬었습니다.

VU 메타 부분을 개선하였는데 전원을 ON하면 은은한 전구색 LED 4개가 점등됩니다.
LED의 불빛이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확산되며 전달되는 방식이어서 더욱 은은한 느낌이 듭니다.



sd20121010 004.jpg



처음 제작하였던 벨루스에서는 청색 LED를 사용하였는데 싸늘하다는 느낌이 들어 전구색 LED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시각적인 따스한 느낌과 함께 벨루스의 나긋나긋하고 온화한 음색이 더욱 빛을 발하는 것 같습니다.  



sd20121010 005.jpg


증폭회로를 조금 개선하였습니다.
버퍼단에 사용되던 12AU7를 ECC99로 바꾸었습니다.
버퍼단은 화이트 캐소드 폴로워를 채택하여 매우 낮은 출력 임피던스를 실현하였습니다.
ECC99는 직선성이 매우 뛰어난 소출력, 전압 증폭관으로 2A3나 300B의 드라이브관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음질적 특성은 청아하고 맑은 느낌이 강합니다.


프리앰프의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지면 인터케이블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됩니다.
벨루스에서도 무실드 인터케이블을 사용해도 잡음의 유입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바로 헤드폰을 구동할 정도의 출력 임피던스이므로 헤드폰 단자를 실장할 수도 있지만 가격적인 측면에서 실장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헤드폰을 즐겨 사용하시는 분을 위하여 옵션으로 준비하였습니다.



sd20121010 006.jpg



벨루스의 음질은 온화하며 공간을 가득 채우는 배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형적인 진공관 프리앰프의 음색이지만 부귀환을 사용한 프리앰프보다는 더욱 온화하고 따스한 느낌이 듭니다.

무귀환 프리앰프의 특징인데 배음이 감쇠되지 않아 배음이 풍성하여 유려한 음질로 공간을 가득 채웁니다.


sd20121010 007.jpg



벨루스의 장점중 하나는 S/N비가 매우 높다는 것입니다.
볼륨을 최대로 한 상태에서도 험이나 노이즈가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
(조건은 96dB의 로더 스피커 PM6A와 2A3 싱글파워앰프 유피테르와의 매칭입니다.)


벨루스의 전원 트랜스는 높이를 고려하여 트로이달 트랜스를 적용하였습니다.
가격이 상승하는 부분도 있지만, 벨루스의 높이를 고려하여 채택하게 되었습니다.

방열형 정류관 6CA4에서 정류된 맥류는 평활회로를 거친 후 FET로 구성된 리플필타에 의해 온전한 직류로 됩니다.

이 직류는 배터리에 버금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벨루스의 고 S/N비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sd20121010 008.jpg




VU 메타는 L, R로 나뉘어져 있으며 음악에 따라 흔들리는 지침은 정적인 앰프에 생동감을 줍니다.

따스한 불빛과 함께 흔들리는 지침을 보고 있노라면 더욱 정이 간다는 생각이 듭니다.


벨루스의 후면입니다.


sd20121010 011.jpg


시제품에서는 입력이 언밸런스 4계통이었으나 이번부터 제작되는 정식제품에는 5계통으로 늘렸습니다.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두 계통의 출력 단자를 마련하였고, 메타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를 후면에 장착하였습니다.



sd20121010 009.jpg



벨루스의 전기적 제원입니다.
형식: 화이트 캐소드 폴로워를 버퍼단으로 탑재한 무귀환 증폭 프리앰프
1. 이득: 11배
2. 논 클립 출력 전압: 44V
3. 주파수 특성: 5V 출력시,
고역 상한 주파수: 56.64KHz
저역 하한 주파수: 6.5Hz
4. 크로스 토오크: 43dB
5. 입력 RCA단자: 5계통
6. 출력 RCA단자: 2계통
7. 사용 진공관: 12AU7 * 1 ECC99 * 2   6CA4 * 1


벨루스의 높은 논클립 출력전압을 눈여겨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프리앰프의 논클립 출력 전압이 높게 되면 프리앰프에서 클립핑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증폭기 내부에서 클립핑이 발생하면 음이 탁해지는데, 일반적인 진공관 프리앰프의 논클립 출력 전압이 20V 전후 인 것을 감안하면 벨루스의 논 클립 출력 전압 44V가 의미하는 바를 가늠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벨루스의 음이 부드럽고 유려한 이론적 이유입니다.  


이번에 제작된 벨루스는 청음실용입니다.
풍성한 배음과 함께 유려한 음질로 완성된 벨루스의 청음은 언제든지 가능합니다.


sd20121010 012.jpg


고맙습니다.


  1. 227 EL34 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

    비올레타입니다. 수 일전 거의 완성하였으나 장미목 베이스의 입고가 늦어져 마무리를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장미목 베이스가 입고되어 그동안 하지 못하였던 나머지 배선을 하므로서 비올레타가 완성되었습니다. 아직도 많은 분들은 큰 출력의 앰프가 좋은...
    Date2012.11.07 By서병익 Reply2 Views20345 file
    Read More
  2. 226 쏘나레 콘솔릿 프리앰프 MK2

    쏘나레 콘솔릿 MK2입니다. 쏘나레 MK2는 전형적인 진공관 프리앰프입니다. 진공관 프리앰프에서 기대하시는 지극히 진공관다운 음색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진공관다운 음색이란 달콤하며 나긋나긋한 음색, 공간을 가득채우는 배음이 풍성한 음색이라고 생각합...
    Date2012.10.30 By서병익 Reply0 Views4866 file
    Read More
  3. 225 DAC 플레누스

    플레누스입니다. 2008년 처음 플레누스의 원형이 제작되고, 시간이 흐르면서 개량을 거듭하여 현재의 플레누스에 이르렀습니다. 근래 OP IC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진공관을 아날로그 단에 도입하는 DAC가 많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지면을 통한 광고를 접하...
    Date2012.10.23 By서병익 Reply2 Views5810 file
    Read More
  4. 224 쏘나레 레퍼렌스 포노 SE

    쏘나레 포노앰프 SE입니다. 서병익오디오의 CR형 탑 클래스 포노앰프인 쏘나레 레퍼렌스 포노앰프가 스페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2008년 출시되어 몇 차례 업그레이드 되었지만, 그동안 사용하시는 분이 보내주신 의견을 거의 모두 수렴하여 적용하...
    Date2012.10.17 By서병익 Reply0 Views19332 file
    Read More
  5. 223 슬림형 프리앰프 벨루스 "BELLUS"입니다.

    슬림형 진공관 프리앰프 벨루스입니다. 시제품으로 제작되었을 때 베이스에 관련된 몇 가지 사항들을 보완하여 제작된 벨루스입니다. 버텀카바는 스테인레스 스틸 304 재질로 제작하였습니다. 탑카바는 1.5t의 철판으로 제작한 후 분체도장하였습니다. 이런 조...
    Date2012.10.10 By서병익 Reply0 Views6044 file
    Read More
  6. 222 EL34 싱글 인티앰프 "VIOLETA" 비올레타

    비올레타입니다. 지금 집사람과 여식들은 차례상 음식을 장만하느라 무척이나 분주해 보입니다. 지금쯤 여느 가정에서도 음식을 하느라 한창 바쁘시고, 아직 고향에 도착하지 못하신 분도 계시겠지요...! 아무쪼록 즐거운 명절되시기를 기원합니다. 비올레타입...
    Date2012.09.29 By서병익 Reply6 Views19313 file
    Read More
  7. 221 포노앰프 TCR mk2

    포노앰프 TCR mk2입니다. 지난 토요일 저녁 완성하였습니다. 2009년 2월 전혀 새로운 구성의 TCR이 발표되었을 때, 호기심으로 궁금해 하셨던 많은 분들이 청음을 통하여 TCR의 음질을 인정해 주셨습니다. TCR mk2는 서병익오디오의 특허회로로 제작되었으며, ...
    Date2012.09.24 By서병익 Reply0 Views4995 file
    Read More
  8. 220 CR형 포노앰프 "ROCHA" 로샤

    CR형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이번에 제작한 로샤는 제작해 놓은 지 수 일 되었지만, 전면 판넬에 들어가는 명판의 입고가 늦어져 오늘에야 소개해 올립니다. 혹시 문구가 바뀔 수도 있다는 생각에, 여유분을 만들어 놓지 않았거든요. 회로적인 소개는 지난번에 ...
    Date2012.09.16 By서병익 Reply0 Views5476 file
    Read More
  9. 219 새로운 인티앰프 칼리오페 인티

    KT120 푸시풀 인티앰프 칼리오페입니다. 유례없는 두 개의 태풍으로 전국이 물난리를 겪고 있는 요즘, 어떻게 지내시는지요? 혹시 사시는 곳에 비피해는 없으신지요? 항상 안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메탈형으로 제작된 칼리오페 인티입니다. 지난 주말 완성하...
    Date2012.08.30 By서병익 Reply4 Views6650 file
    Read More
  10. 218 포노앰프 "ROCHA" 로샤입니다.

    CR형 포노앰프 로샤입니다. 요즘 별려놓은 것이 많은데 조각집에서 필요한 것을 해주지 않아 제대로 보여 드리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신모델 EL34인티앰프 올로로사도 한참 진행하고 있습니다. 로샤도 완성해 놓은 지는 오래되었는데 전면 판넬의 명판이 오늘 ...
    Date2012.08.29 By서병익 Reply2 Views6397 file
    Read More
  11. 217 차폐 트랜스입니다.

    2KW의 차폐트랜스입니다. 어제와 오늘 이틀간의 작업 끝에 다섯 대의 차폐 트랜스를 제작하였습니다. 지난번 발표한 후 주문하신 분이 몇 분 계시어 케이스와 자재들을 준비하게 되었고 오늘 작업을 완료하게 되었습니다. 시중에는 많은 종류의 차폐 트랜스 제...
    Date2012.08.17 By서병익 Reply2 Views7278 file
    Read More
  12. 216 쏘나레 콘솔릿 MK2입니다.

    고음질 다기능 프리앰프 쏘나레 MK2입니다. 휴가를 다녀 온후 생활에 리듬이 깨졌는지, 올림픽 중계 보느라 잠을 못 자서 그런 건지, 비몽사몽 지내고 있습니다. 어쩌면 전 국민이 같이 겪는 증상일지도 모르지만요.... ^^ 이번에 제작된 쏘나레는 6일 정도가 ...
    Date2012.08.11 By서병익 Reply2 Views4985 file
    Read More
  13. 215 EL34싱글 인티앰프 "비올레타"입니다.

    비올레타입니다. 요즘 날마다 새롭게 발표되는 폭염주의보 속에 어떻게 지내시는지요? 저도 가까운 곳에 가서 식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만, 아마도 이제 이 더위도 그리 오래 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어제 오후 집에 도착하여 그...
    Date2012.08.02 By서병익 Reply5 Views19825 file
    Read More
  14. 214 벨루스와 로샤입니다.

    벨루스와 로샤입니다. 지난 22일 완성된 프리앰프 벨루스BELLUS와 포노앰프 로샤ROCHA입니다. 두 대의 시제품들은 조각집에서 알루미늄판을 절곡하여 제작하였는데, 모든 검토가 끝난 지금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 의뢰하여 놓은 상태입니다. 스테인레스 스...
    Date2012.07.26 By서병익 Reply10 Views8418 file
    Read More
  15. 213 2A3 디퍼렌셜 인티앰프 "파소스 MK2"

    2A3 인티앰프 파소스 MK2입니다. 어제 늦은 시간에 완성되어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오늘 아침부터 에이징을 겸하여 청음실에서 음악을 듣고 있습니다. 파소스 MK2를 제작할 때 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음이 참 청아합니다. 음이 곱다는 표현이 더 정확하겠...
    Date2012.07.19 By서병익 Reply2 Views477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