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실

*포인트 : 댓글작성(5)

20200908쏘나레SE메탈 010.jpg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입니다.

지난 월요일 완성하여 소개하였던 쏘나레 SE와 같이 제작하기 시작하였는데, 중앙에 있는 음핑고 노브의 품절로 사진을 찍지 못해 오늘 소개합니다.

음핑고 노브는 어제 입고되었고 사진을 찍은 후 납품되었습니다.

 

사진은 어제 찍었지만, 오늘 소개합니다.

 

마침 비슷한 시기에 두 분이 주문하시어 두 대를 동시에 제작하였습니다.

이렇게 두 대를 동시에 제작하면 시간은 많이 단축되는 것 같습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08.jpg

 

 

 

쏘나레의 여러 기능 중 하나인 톤 컨트롤 기능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80년대 초 모든 기능을 생략하고 오직 볼륨과 입력 선택 셀렉타만을 남겨둔 앰프를 판매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기능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그즈음 수입되는 거의 모든 앰프가 기능을 생략하였으니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톤 컨트롤 기능이 있는 프리앰프라면,

저음이 부족하면 베이스를 조금 올리면 해결되었고 고음이 지나쳐서 피곤하게 들릴 때면 트레블을 조금 내리는 것으로 해결되지만 톤 컨트롤 기능이 없다면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저음 부족이 아쉽다면 스피커를 바꾸어야 하죠...

 

톤 컨트롤 기능을 사용하면 음질이 나빠진다고 주장하는 오디오 평론가도 있었으니.. 

톤 컨트롤 기능이 없어진 건 음질 향상을 위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04.jpg

 

 

그러나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어떤 연주자라도 녹음을 하는데 소홀히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 연주를 담은 음반 하나를 온전하게 제작하기 위해 음향 엔지니어를 비롯하여 얼마나 많은 분이 정성을 다하겠습니까...!

 

그러나 그렇게 정성을 들인다고 모두 명반으로 통하지는 않습니다.

 

어떤 음반은 저음이 유난히 강조되어 부자연스러운가 하면 저음이 부족하여 아쉬운 음반도 있는 것입니다.

 

음악을 녹음할 때 악기마다 또는 주요 위치마다 마이크를 설치하고 각 마이크에서 수집되는 악기 간의 레벨에 따른 균형을 잡는 작업을 합니다.   

음향 엔지니어의 판단으로 저음이 부족하게 들리면 저음의 레벨을 올릴 것이고 저음이 과하다 싶으면 적절한 수준으로 내릴 것입니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모니터 스피커를 비롯하여 여러 요인으로 전체적인 음의 균형이 무너진 음반도 있는 것입니다.

 

이때 톤 컨트롤 기능이 있다면 얼마든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보정하여 들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요나 팝송을 들을 때면 BASS를 2시나 3시 방향에 놓고 듣는 것이 더욱 감칠맛 나게 들립니다. 

 

클래식 음악은 베이스는 그대로 둔 채 트레블을 2시 정도로 올려놓고 듣는 것이 더 좋게 들리기도 합니다. 

장르에 따라 적절히 가감하며 그때그때 상황에 맞추어 최적의 음으로 들을 수 있는 것이 톤 컨트롤 기능이 주는 즐거움 중 하나입니다. 

 

 

톤 컨트롤 기능을 유효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지나친 것은 부족한 것만 못하다.... 라는 말은 톤 컨트롤 조정하는데도 적용됩니다.

. 과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저음이 부족할 경우

BASS를 조금 올리며 청감상 균형이 잡힌 지점을 찾습니다.

저음을 더욱 강조해야 할 상황이라면 TREBLE를 조금 내려 보면서 최적점을 찾습니다.

 

저음의 양을 늘리고 싶을 때는 TREBLE을 동시에 올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음과 고음을 동시에 강조하면 저음에 대한 증강은 이루어지지 않고 중음만 빠지는 결과로 됩니다.

 

즉, 톤 컨트롤 기능을 가장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BASS와 TREBLE을 동시에 올리는 것입니다.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만 적절히 강조합니다.

 

이런 주의사항을 고려하여 운용한다면 톤 컨트롤 기능은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여 음질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06.jpg

 

쏘나레에는 총 6개의 소신호 증폭용 진공관 ECC83S 또는 12AX7이 사용됩니다.   

전면판 있는 쪽의 3개가 L 채널용이고, 후면판 있는 쪽의 3개가 R 채널용입니다.

 

좌측 끝으로 방열형 정류관 6CA4/ EZ81이 보입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05.jpg

 

 

트로이달 트랜스와 전원 ON/ OFF 용으로 사용되는 조그만 트랜스가 보입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07.jpg

 

 

출력 상황을 메타의 지침으로 표시하는 V, U 메타입니다. 

이 메타의 감도를 조정하는 셀렉타는 후면 출력 단자 옆에 있습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12.jpg

 

 

쏘나레 SE의 후면입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15.jpg

 

 

좌측으로 5계통의 RCA 입력 단자가 있고, 중앙에는 두 조의 출력 단자가 있습니다.

바로 옆에는 V, U 메타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셀렉타가 있습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18.jpg

 

 

쏘나레 SE의 내부입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01.jpg

 

 

항상 똑같이 작업하지만, 하드와이어링의 특성상 아주 조금씩 다릅니다.

 

하드와이어링은 고전압으로 동작하는 진공관 소자의 특성상 반드시 필요한 방식으로 잔고장이 없으며, 여러 전기적 특성이 개선됩니다.

 

이런 이유로 하드와이어링 방식은 음질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단지, 하드와이어링 방식으로 배선하였다고 음질이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이론에 입각한 이상적인 배선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실장 기술의 정도에 따라 그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이 하드와이어링 방식의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02.jpg

 

 

쏘나레 SE의 밑면입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03.jpg

 

45mm 통 알루미늄을 절삭 가공하고 실리콘 고무로 마감하여 만들었습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20.jpg

 

 

손** 선생님의 쏘나레 SE입니다.

중앙의 가장 큰 노브가 품절이어서 사진만 찍지 못하였을 뿐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는 계속하고 있었으므로 노브가 입고된 어제 납품이 되었습니다.

 

 

20200908쏘나레SE메탈 021.jpg

 

고맙습니다.


  1. 692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 ORFEO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입니다. 제작한 지는 꽤 오래되었는데, 이제야 소개합니다. 지금 쏘나레 로열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잘 진행되고 있지만, 오늘 문득 오르페오를 제작하고 작업실에 올리지 않은 것이 생각났습니다. 오르페오의 회로 업그레이드를 한 ...
    Date2020.10.09 By서병익 Reply0 Views214 file
    Read More
  2. 691 A급 10W + 10W 2A3 디퍼런셜 파워앰프 푼타뮤지카 SE2

    푼타뮤지카 SE2입니다. 지난 토요일(26일) 완성하였으나 사정상 사진을 찍을 수 없었고, 오늘 사진 찍어 소개합니다. 푼타뮤지카 SE2는 2A3를 디퍼런셜로 구동하는 파워앰프입니다. 디퍼런셜 방식은 완벽한 A급 동작을 하며, 싱글 앰프의 장점과 푸시풀 앰프의...
    Date2020.09.28 By서병익 Reply0 Views335 file
    Read More
  3. 690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 우드형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며칠 전 소개하였던 플레누스 MK3는 메탈형으로 높이가 138mm이고, 오늘 제작한 우드형은 198mm입니다. 사용하시는 랙의 높이 또는 취향에 맞추어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우드형은 호두나무 25t 원목으로...
    Date2020.09.19 By서병익 Reply0 Views315 file
    Read More
  4. 689 진공관 DAC 플레누스 MK3 메탈형

    진공관 DAC MK3입니다. 지난 월요일(14일) 완성하였으나 오늘 소개해 올립니다. 같은 모델을 10년 넘게 소개하다 보니 이제 비슷비슷한 내용을 반복하여 소개하게 됩니다. 시각을 조금씩 바꾸어 가며 새로운 면을 알려 드리려 노력하고 있는 중이니 같은 내용...
    Date2020.09.17 By서병익 Reply0 Views227 file
    Read More
  5. 688 신모델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입니다.

    진공관 리모트 컨트롤러 RCV(Remote Controller operated by a Vacuum tube)입니다. 리모컨 기능이 없는 모든 진공관 앰프나 반도체 앰프에 사용합니다. 특히, 빈티지 앰프에 사용하면 입력 선택이나 볼륨 조정시 발생하는 잡음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올해 초...
    Date2020.09.14 By서병익 Reply4 Views740 file
    Read More
  6. 687 다기능 고음질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입니다. 지난 월요일 완성하여 소개하였던 쏘나레 SE와 같이 제작하기 시작하였는데, 중앙에 있는 음핑고 노브의 품절로 사진을 찍지 못해 오늘 소개합니다. 음핑고 노브는 어제 입고되었고 사진을 찍은 후 납품되었습니다. 사진은 어...
    Date2020.09.09 By서병익 Reply0 Views220 file
    Read More
  7. 686 가변 E. Q기능을 실장한 포노앰프 TCR 플래티늄

    TCR 플래티늄입니다. 지난 토요일(5일) 90% 이상은 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퇴근하였는데, 오늘 출근하여 완성하였고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 후 온종일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TCR 플래티늄은 모노 음반을 듣기 위한 포노앰프입니다. 근래 출시되는...
    Date2020.09.07 By서병익 Reply0 Views136 file
    Read More
  8. 685 다기능 고음질 프리앰프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형

    쏘나레 콘솔릿 SE 메탈버전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쏘나레는 다기능 고음질을 목표로 설계, 제작하였습니다. 오디오를 즐기는 과정에 한 번쯤 필요성을 느꼈을 거의 모든 기능을 넣는 것으로 하고 그 기능 때문에 음질이 저하하거나 험이 증가하지 않도...
    Date2020.09.02 By서병익 Reply0 Views213 file
    Read More
  9. 684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 ORPEO 업그레이드

    진공관 헤드앰프 오르페오입니다. 헤드앰프는 포노앰프 앞에 위치합니다. 포노앰프는 입력에 볼륨도 없는 상태로 오디오 기기 중 이득이 가장 높습니다.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통상 150배~ 200배 정도 됩니다. 이렇게 높은 이득을 갖는 포노앰프...
    Date2020.08.27 By서병익 Reply2 Views273 file
    Read More
  10. 683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2

    트랜스 프리앰프 칸타레 SE2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칸타레는 트랜스 프리앰프의 음색을 좋아하시는 분을 위하여 출시하였습니다. 칸타레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분리형 칸타레와 2008년 V41을 기반으로 설계한 칸타레가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스페셜 ...
    Date2020.08.22 By서병익 Reply3 Views519 file
    Read More
  11. 682 라우드네스 프리앰프 벨루스 SE

    프리앰프 벨루스 SE입니다. 어제(17일) 오전에 완성하였으나 전면판 중앙에 장착되는 모델명 장식판이 입고되지 않아 사진을 못 찍고 있었습니다. 마침 금요일 토요일로 이어지는 휴일이라 택배가 오늘 도착하였고, 장식판을 부착한 후 사진을 찍을 수 있었습...
    Date2020.08.18 By서병익 Reply0 Views263 file
    Read More
  12. 681 진공관 DAC를 내장한 프리앰프 아리에스 SE

    진공관 DAC를 내장한 프리앰프 아리에스 SE입니다. 어제 오후 거의 완성해 놓은 상태였는데 오늘 출근하여 완성한 후, 온종일 에이징을 겸한 히어링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요즘에는 주 음원 소스로 디지털 파일이나 CD를 사용하다 보니 좋은 음질의 DAC에 관심...
    Date2020.08.11 By서병익 Reply0 Views394 file
    Read More
  13. 680 32W + 32W EL34 푸시풀 인티앰프 플로랄SE FLORAL SE

    플로랄 SE입니다. 그동안 틈틈이 제작하여 반제품 상태에 있었는데,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아리에스 SE를 제작하던 중 후면판 품절로 잠시 중단된 상태여서 그동안 반제품 상태로 있던 플로랄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플로랄 SE는 EL34를 푸시풀로 구동하여 3...
    Date2020.08.07 By서병익 Reply0 Views361 file
    Read More
  14. 679 2웨이 채널 디바이더를 내장한 프리앰프 베리타스 SE

    베리타스 SE입니다. 어제 퇴근 무렵 완성하여 전기적 특성만 확인하고 퇴근하였습니다. 오늘 오전에는 베리타스 SE의 프리부만을 사용하여 2A3-40 싱글 파워앰프 새티늄과 매칭하여 음악을 들었고, 오후에는 인뎁스 XE를 추가하여 멀티 앰핑용 스피커로 전환되...
    Date2020.08.04 By서병익 Reply3 Views364 file
    Read More
  15. 678 10W + 10W A급 푸시풀 인티앰프 델리카투스 GE

    델리카투스 GE입니다. 오늘 완성하였습니다. 베리타스 SE를 제작하던 중 자재의 품절로 인해 잠시 중단하고 델리카투스 GE를 먼저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델리카투스는 EL84를 A급 푸시풀로 구동하여 출력 10W + 10W를 뽑고 있습니다. 진공관마다 특유의 음색이...
    Date2020.07.30 By서병익 Reply2 Views38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65 Next
/ 65